SeMA 옴니버스 《아카이브 환상》 전시연계 프로그램
[작가와 연구자와의 대화]
참여작가와 연구자의 대담과 관람객 질의를 통해 작품의 비하인드 스토리와 함께 작가의 작업 세계를 폭넓게 조망해보는 대담, 강연 프로그램입니다.
장소: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나눔동 2층 다목적홀
일시 | 작가 X 연구자
| 내용
|
# 1 10. 24.(목) 오후 2시 - 4시 | 곽남신 x 이인범(IBLee인스티튜트 대표)
| 곽남신의 ‘그림자’와 형식 실험
|
# 2 11. 02.(토) 오후 2시 - 4시
| 이교준 x 이슬비(미술비평)
| 이교준의 주름들: 평행과 역설을 향하여
|
# 3 11. 16. (토) 오후 2시 - 4시
| 이성휘(하이트문화재단 큐레이터)
| 전국광, 모더니스트
|
● 신청방법
아래 신청서 작성 후 제출
-> 진행이 완료되었습니다.
[영상 스크리닝]
극·실험·다큐멘터리 영화, 설치 작업 등 다양한 형식을 다루며 영화와 미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손광주 작가의 다른 주요 작품을 추가 상영합니다.
장소: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나눔동 2층 다목적홀
일시: 11.23.(토) 오후 2시-4시
*3회 상영 14:00 - 14:40/ 14:40 - 15:20/ 15:20 - 16:00
상영작 | 내용 |
# 1 <요요기 공원>, 2006 DV, 실험/다큐멘터리, 컬러, 사운드, 11:00
| 2005년 한일 우정의 해에 방문한 짧은 일본 여행의 기록. 일본 까마귀들로 온통 뒤덮인 요요기 공원의 위압적인 풍경은, 과거의 아픈 역사를 직접 겪어보지 못한 개인에게 여전히 집단적인 기억과 트라우마의 흔적을 남긴다.
|
# 2 <APPARITION>, 2007 실험/다큐멘터리, DV, 컬러, 사운드, 10:30
|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곤돌라에 갇혀 가만히 밖을 들여다보다, 마치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듯 언제나 그 자리에 그대로 있는, 한 그림자를 바라보다.
|
# 3 <모순론>, 2015-2017 HD 비디오설치(2-채널), 가변크기, 컬러, 사운드, 08:15
| “거북이에 패한 후 상하이에 머물던 망명토끼는 영화 ‘현기증’을 보다 잠이 들었는데, 꿈 속에서 두 마리의 초록눈의 괴물을 보게 되었다.” 사회주의와 자본주의가 공존하는 현대 중국의 상황에 빗대어, 정신을 혼미하게 하는 초록색과 분열증적 리듬을 통해 최면을 걸듯 상반된 것의 불안한 합일을 꿈꾸는 개인적 이야기를 풀어낸다.
|
# 4 <가위 바위 보>, 2020 실험, HD, 흑백, 사운드, 09:00
| 현재를 살아가는 아이들의 놀이에서 시간에 풍화되어 버린 유년의 기억을 떠올리며, 현재의 ‘나’와 과거의 ‘나’가 섬광처럼 만나는 꿈을 통해 나만의 고유한 기억의 지도를 그린다.
|
● 신청방법
아래 신청서 작성 후 제출
-> 진행이 완료되었습니다.
[작가 워크숍]
참여작가와 함께 작업의 과정을 이해해보는 제작 워크숍으로, 매체별 작업 방식과 기법을 탐구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장소: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배움동 2층 모두의 교실
| 일시 | 작가 | 대상 | 내용 |
# 1 | 2024년 12월 06일(금) 오후 4시 - 5시30분 | 임선이 | 어린이 가족 (어린이 + 보호자 동반 1인 이상 필수 참석)
* 정원 12명 (1개 그룹 최대 4인, 총 3개 그룹~6개 그룹) | 오리고 쌓는 인왕산 탐색 |
# 2 | 2025년 1월 11일(토) 오후 2시 - 4시 | 윤가림 | 성인
* 정원 12명 | 매화 손거울 수놓기 워크숍 |
● 신청방법
아래 신청서 작성 후 제출
-> 진행이 완료되었습니다.
○ 유의사항
- 모든 프로그램은 선착순으로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 신청일 다음 날 확정 문자가 발송되며, 선착순 마감 이후 예비 신청자에게는 별도의 연락(전화/문자) 드립니다.
- 프로그램 신청 및 참여를 위해 개인정보 수집·이용 및 초상권 사용에 동의해주세요.
- 프로그램 기록을 위해 사진 또는 영상 촬영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참석이 불가능할 경우 예비 신청자를 위해 취소 연락을 해주세요.
○ 문의
김효정, 조현아 코디네이터
02-2124-7416, 7419 (응대시간 평일 10:00~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