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가기
  • 전체메뉴 바로가기
  • 하단 바로가기
서울시립미술관 SEOUL MUSEUM OF ART
서울시립미술관 SEOUL MUSEUM OF ART
메뉴
  • 전시와 프로그램
  • 소장품과 미술연구
  • 방문하기
  • 로그인
  • 검색
  • 사이트맵
  • EN
서울시립미술관 SEOUL MUSEUM OF ART
서울시립미술관 SEOUL MUSEUM OF ART
서울시립미술관 SEOUL MUSEUM OF ART
서울시립미술관 SEOUL MUSEUM OF ART
  • 전시와 프로그램
  • 소장품과 미술연구
  • 방문하기
  • 로그인
  • 검색
  • 사이트맵
  • EN
뒤로가기 메뉴
소장품과 미술연구 / SeMA 소장품
김인순 컬렉션
김인순 컬렉션은 한국 여성주의 미술의 흐름을 보여줍니다. 작가 김인순은 사회를 반영하는 리얼리즘 미학과 현실주의 태도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한국 여성해방운동을 예술로 실천하고 여성성의 가치를 그림으로 표현한 작가입니다. 2020년 김인순은 한국 여성주의 미술 연구와 미술사적 기록 보존을 위해 양평 작업실에 있는 작품 106점을 서울시립미술관에 기증했습니다. 본 컬렉션은 김인순의 개인 작품 96점과 1980-90년대 여성미술과 노동미술 활동 단체인 여성미술연구회(여성미술분과, 1986-95), 그림패 둥지(1987-89), 엉겅퀴(1988-90), 노동미술위원회(1990-93) 등에서 공동 제작한 걸개그림 10점으로 구성됩니다.
김인순은 1941년 서울에서 출생하여 1962년 이화여자대학교 생활미술과를 졸업했습니다. 가부장적 사회에서 주부로 지내던 김인순은 1982년 작업을 재개해 1984년 첫 개인전을 열며 작가로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고, 1985년 윤석남(1940-), 김진숙(1947-)과 함께 여성주의 미술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시월모임을 결성했습니다. 이후 여성미술연구회(여성미술분과) 위원장, 그림패 둥지 대표, 노동미술위원회 위원장, 민족미술협의회 공동대표, 민족미술인협회 공동회장을 역임하면서 민중미술 계열의 미술단체에서 여성 민중의 현실을 발언했습니다. 한국여성단체연합 문화위원, 한국여성노동자협의회 이사, 여성문화예술기획 이사를 역임하며 여성단체에서도 활발히 활동했습니다. 1984년 첫 개인전 《김인순》(관훈미술관, 서울)을 시작으로 7회의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1986년 제2회 《시월모임—반에서 하나로》(그림마당 민, 서울), 1999년 《‘99 여성미술제-팥쥐들의 행진》(예술의전당, 서울)을 비롯한 120여 회의 단체전에 꾸준히 참여하였습니다. 2003년 예술 활동 공로를 인정받아 문화관광부장관 표창을 받았습니다. 1997년부터 경기도 양평에 거주하며 작업하고 있습니다.
태몽 12-2 김인순 2012
여성해방 노동해방 김인순 1999
평생 평등 노동권 쟁취 노동미술위원회 1991
89 노동자 등반대회도 엉겅퀴 1989
여성노동자 만만세 그림패 둥지 1989
노동자는 지금 - 노동자 방송국 그림패 둥지 1989
여성운동사 민족미술협의회 여성미술분과 1988
제국의 발톱이 할퀴고 간 이 산하에 그림패 둥지 1988
숨쉬며 살고 싶다 그림패 둥지 1988
여성노동자 만세 그림패 둥지 1988
맥스테크 민주노조 그림패 둥지 1988
해방의 햇새벽이 떠오를 때까지 하나되어 나아가세! 민족미술협의회 여성미술분과 1987
1 / 9 페이지
다음
  • 그림패 둥지(6)
  • 김인순(96)
  • 노동미술위원회(1)
  • 민족미술협의회 여성미술분과(2)
  • 엉겅퀴(1)
  • 김인순(5)
  • 김인순(43)
  • 김인순(35)
  • 노동미술위원회(1)
  • 그림패 둥지(6)
  • 김인순(13)
  • 민족미술협의회 여성미술분과(2)
  • 엉겅퀴(1)
『여성 인간 예술정신』
606.3-김759ㅇ
『민중미술, 역사를 듣는다. 1』
609.11-민871-v.1
『22명의 예술가, 시대와 소통하다 : 1970년대 이후 한국 현대미술의 자화상』
609.11-전893ㅇ
『김윤수 저작집, 3, 현대미술의 현장에서』
609.11-김733ㄱ-v.3
『여성과 미술: 규곡 김홍희의 현대미술 담론과 현장』
609.11-김974ㅇ
『이탈과 변이의 미술: 1980년대 민중미술의 역사』
609.11-서831ㅇ
『민중미술』
609.11-김956ㅁ
『팥쥐들의 행진』
608-여268ㅍ
『언니가 돌아왔다(Eonni is back) : 2008 경기미술프로젝트-경기 여성 미술전』
M 606.911-경155ㅈ-2008-7
『(경기아트프로젝트) 시점 시점 1980년대 소집단 미술운동 아카이브』
M 606.911-경155ㅈ-2020-5
<span style='color:#d43d4f;'>김인순</span> 컬렉션 《일어서는 삶》 전시연계 콜로키움 <한국 여성미술 궤적을 그리다>
김인순 컬렉션 《일어서는 삶》 전시연계 콜로키움 <한국 여성미술 궤적을 그리다> 2024/10/24~2024/10/24 SeMA > 전시와프로그램 > 문화행사
가나아트 컬렉션 기획상설전: 허스토리 리뷰
가나아트 컬렉션 기획상설전: 허스토리 리뷰 2020/07/22-2022/11/20 전시와 프로그램 > 지난전시
[모집마감] 모두를 위한 예술프로그램 「나의 손을 너의 등에 - 되기, 기억하기, 함께 움직이기」
[모집마감] 모두를 위한 예술프로그램 「나의 손을 너의 등에 - 되기, 기억하기, 함께 움직이기」 1 전시와프로그램 > 지난교육
[모집마감] 미술관 접근성 향상 프로그램 <움직여보자! 몸으로 만나는 미술관>
[모집마감] 미술관 접근성 향상 프로그램 <움직여보자! 몸으로 만나는 미술관> 1 전시와프로그램 > 지난교육
서울시립미술관 SEOUL MUSEUM OF ART
서울시립미술관 SEOUL MUSEUM OF ART
  • 응답소
  • SeMA 뉴스레터
  • 도슨팅앱 다운로드
자주 묻는 질문
  • 시립미술관에서 발간한 전시 관련 도서 및 도록은 어디서 구매하나요?
  • 전시실에서 사진 촬영이 가능한가요?
  • 소장품의 수집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는 어떤곳인가요?
  • 미술관 소개
  • 뉴스와 공지
  • 지원과 양성
  • 시설대관
  • 후원회 SeMA人[in]
전시와 프로그램
  • 전시
  • 교육프로그램
  • 문화행사
  • 오늘부터
  • 이번 주말
  • 다음 주
  • 과거
소장품과 미술연구
  • SeMA 소장품
  • 미술아카이브
  • 모두의 연구실 '코랄'
  • SeMA 도서와 자료
방문하기
  •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 서울시립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 SeMA 백남준기념관
서울시립미술관 공식 페이스북 서울시립미술관 공식 트위터 서울시립미술관 공식 인스타그램 서울시립미술관 공식 유튜브 서울시립미술관 공식 네이버TV 서울시립미술관 공식 네이버 블로그

서울 중구 덕수궁길 61
(대표번호) 02–2124–8800 , 02–120
(직원찾기) 직원 및 연락처

  • 개인정보처리방침
  • 접근성 안내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함께한 사람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접근성) 품질인증 마크, 웹와치(WebWatch) 2024.2.22 ~ 2025.2.21 서울책방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