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2023.11.03~2023.11.05
무료
오픈 스튜디오
강희정, 김보민, 김신애, 김예슬, 김우진, 김재민이, 신정균, 안진균, 양정애, 양지원, 엄지은, 이수지, 이진형, 이현수, 이희준, 장진택, 정재경, 한성우, 홍이현숙, Kosuke Nagata
이규식 02-2124-8845
서울시립미술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는 11월 3일부터 5일까지 2023 오픈스튜디오 《그 후에도 Ever After》를 개최합니다. 2023년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는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레지던시가 가지고 있는 교류의 기능에 주목하고 연례 스튜디오 방문과 토크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며 국제적인 네트워크 형성의 장으로 작동되었습니다. 교류와 공유의 시각에서 한 해의 프로그램을 갈무리하며, 과정 중심의 창작 현장을 소개하는 오픈 스튜디오를 진행합니다.
2023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오픈스튜디오 《그 후에도 Ever After》는 입주 기간만을 산정하여 한시적으로 이해되는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재고하고 입주자의 활동을 입주 이전과 이후를 잇는 통시적인 관점으로 바라보기를 제안합니다. 입주자별 아카이브 자료를 통해 현재까지의 궤적을 추적하고, 창작이 이루어지는 현장을 공유하며 지금의 모습과 이후의 여정을 그려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난지 한강공원 내에 위치한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는 2006년 유휴시설을 개조해 개관한 이래 지난 17년간 국내를 대표하는 국제 레지던시 프로그램으로 기능했습니다. 그 후에도 지속될 다음을 상상하며, 이번 행사는 작업실 전면 개방과 더불어 워크숍, 퍼포먼스, 토크 프로그램, 입주자 아카이브 룸, 스크리닝으로 구성됩니다.
연계 프로그램
아카이브 룸 Archive Room
난지전시실 1
입주자 상영회 Screening Program
11.03.(금)–11.05.(일), 13:00 / 15:00 / 17:00, 난지전시실 2
김예슬, 김우진, 김재민이, 신정균, 엄지은, 정재경, 홍이현숙, Kosuke Nagata
퍼포먼스-누가 우리의 그림을 지우는가
11.03.(금), 14:00–15:00 사이, 난지전시실 1
이태호, 기획: 양정애
한강변 산책 프로그램―'난지도 버드나무' 만나러 가다
11.03.(금), 17:00–18:20,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고양대덕생태공원
홍이현숙, 양정애
신진미술인-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를 경유하며
11.04.(토), 14:00–15:50, 스튜디오 B 회의실
김신애, 안진균, 양지원, 이현수, 모더레이터: 이지민
[레지던시 X 예술 제도 X 미술사]
1. 「연구 프로젝트」 관 주도 문화예술지원 체제와 미술사 기술 간의 상관관계
11.04.(토) 16:00–18:00, 스튜디오 B 회의실
권시우, 류성실, 윤율리, 윤태균, 기획 / 모더레이터: 장진택
2. 「연구 프로젝트」 제도로서의 레지던시 그리고 예술을 향한 공적 지원의 방향성
11.05.(일) 14:00–16:00, 스튜디오 B 회의실
김미정, 신지현, 이은진, 정시우, 기획 / 모더레이터: 장진택
작업과 글쓰기―작가노트 어떻게 써야 할까?
11.05.(일) 16:30–18:00, 스튜디오 B 회의실
허경
오시는 길
- 자동차
서울 마포구 하늘공원로 108-1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주차장 이용
- 대중교통
지하철 2호선 당산역 6, 7번 출구, 100m 직진 후 9707 버스 환승
지하철 6호선 마포구청역 1번 출구, 271, 7011 버스 환승
광역버스 9707번: ‘난지한강공원’ 정류장에서 하차, 도보 3분
간선버스 271, 6715번: ‘월드컵파크 3단지 정문’ 정류장에서 하차, 난지천공원 가로질러 도보 15분
간선버스 172, 670, 7011, 7016, 7019번: ‘월드컵파크 3단지, 난지천공원’ 정류장에서 하차, 난지천공원 가로질러 도보 15분
지선버스 8777번: ‘노을공원입구’ 정류장에서 하차, 도보 2분 ※ 주말에만 운영
미술관 셔틀버스 운영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 운영 요금: 1,000원 (왕복)
SeMA → Nanji 12:00 / 14:00 / 17:00
Nanji → SeMA 13:00 / 15:00 / 19:00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는 미술가들을 위한 레지던시 지원 공간입니다. 난지한강공원, 노을공원, 하늘공원 사이에 있는 침출수 처리장을 개조하였으며, 서울 중심에 위치해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25개의 작업실, 연구실, 원형 전시실과 야외 작업장에서는 국내외의 역량 있는 작가와 연구자를 양성하고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상시 운영합니다. (전경사진: ⓒ Kim YongKwan)
서울 중구 덕수궁길 61
(대표번호)
02–2124–8800
, 02–120
(직원찾기) 직원 및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