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는 시니어(50플러스) 참여자와 함께, 미술 표현 활동으로 ‘나의 삶’ 생애주기의 중요한 순간들 – 만남과 시작, 사랑과 관계, 이별과 마무리 – 을 돌아보는 워크숍 〈미술로 기록하는 나의 삶 이야기〉를 진행합니다. 패브릭 콜라주, 판화 등 다양한 미술 기법으로 유년기의 기억과 사랑하는 사람과의 관계, 미래의 나에게 건네는 인사를 기록해 보며 각각의 순간들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겨 봅니다. 이 프로그램은 〈미술로 다시 쓰는 삶의 이야기〉의 연계 프로그램으로 차 의과학대학교와 함께 운영됩니다.
운영 개요
- 일시
① 만남과 시작: 2025년 7월 8일(화) 또는 7월 22일(화) 10:30~16:00
② 사랑과 관계: 2025년 8월 5일(화) 또는 8월 19일(화) 10:30~16:00
③ 이별과 마무리: 2025년 9월 12일(금) 또는 9월 26일(금) 10:30~16:00
※ 오전 프로그램(10:30~12:30)과 오후 프로그램(14:00~16:00) 사이에 휴식시간(12:30~14:00)이 있습니다. 중식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 〈미술로 기록하는 나의 삶 이야기〉는 총 3일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같은 내용의 프로그램이 2차례 운영됩니다.
- 장소: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배움동 모두의 교실 (서울시 종로구 평창문화로 99)
- 대상: 50세 이상 일반 관람객
- 정원: 회차별 12명
- 진행: 김지은, 박민정 (차 의과학대학교)
- 신청 방법: 신청서 작성 바로가기
세부 일정 및 내용
회차
| 일자
| 시간
| 주제
| 내용
|
---|
1 | 7월 8일(화), 22일(화) | 10:30~12:30 | 만남 | 유년기의 기억, 소중했던 인생의 전환점을 되짚으며 기억의 단편을 천 조각을 잇듯 패브릭 콜라주로 추억을 엮습니다. |
2 | 14:00-16:00 | 시작 | 삶을 건너온 나의 손 ― 그 손을 그대로 본떠 에칭으로 표현합니다. 손끝에 스민 감정과 기억을 되짚으며, 나의 삶을 깊이 있게 기록합니다. |
3 | 8월 5일(화), 19일(화) | 10:30~12:30 | 사랑 | 가슴 깊이 간직한 첫 사랑의 순간들을 떠올리며, 두 개의 마음을 담아 젤판화(Gel press printing) 기법의 만다라로 표현합니다. 겹겹이 찍힌 흔적은 나의 사랑의 기록이 됩니다. |
4 | 14:00-16:00 | 관계 | 사랑하는 사람을 떠올리며 감정이 번져가는 결을 따라 번지기 기법(Wet-Into-Wet)으로 마음을 그립니다. 우연히 번지고 쌓이는 색의 여운 속의 나의 관계가 담깁니다. |
5 | 9월 12일(금),26일(금) | 10:30~12:30 | 이별 | 인생의 마지막 페이지, 이별의 기억을 민화 속 꽃으로 다시 피워냅니다. 한 송이 꽃에 담긴, 나만의 작별 인사를 기록합니다. |
6 | 14:00-16:00 | 마무리 | 색지로 달항아리를 만들고, 지금의 내가 미래의 나에게 건네는 따뜻한 작별 편지를 달항아리에 담아 봅니다. |
진행자 소개
김지은 (차 의과학대학교 교수)
예원·서울예술고등학교, 수원대학교에서 미술(조소)을 전공하였고, 이화여자대학교와 미국 위스컨슨 대학교에서 미술교육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롱아일랜드 대학교에서 임상미술치료전공 석사 학위를 받은 후 미국 레슬리대학교에서 표현예술치료학 미술치료전공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미술치료사협회 협회장이며, 미국 미술치료 전문가(ATR-BC), 미술치료 수퍼바이저(ATCS), 뉴욕주 미술치료사(LCAT)이며, 한국미술치료학회 수련감독임상미술심리상담사(S-ATR)이다. 차 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학과, 심리학전공 및 미술치료대학원, 일반대학원 의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임상실습 및 슈퍼비전』, 공저로 『함께하는 커뮤니티 그리프 케어: 공동체를 위한 애도와 미술치료 마음챙김 워크북』이 있으며, 다수의 KCI논문을 저술하였다. 국내외 4회 개인전과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박민정 (차 의과학대학교 강사)
서울여자대학교 공예학과에서 학부 과정을 마치고, 동대학교 미술치료 석사, 차 의과학대학교 임상미술치료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술이 인간의 정서와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민하며, 임상 현장과 교육 현장을 넘나들며 활동해 왔다. 현재 차 의과학대학교, 을지대학교, 서울디지털대학교에서 강의 중이며, 삼성노블카운티 미술치료 슈퍼바이저, 뮤지엄교육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유의사항
- 회차별 1회만 신청 가능, 중복 신청 시 자동 취소됩니다.
- 프로그램 안내와 운영을 위해 개인정보 수집·이용 및 초상권 사용에 동의해 주세요.
- 선착순 신청 마감되며, 사전 신청자의 불참으로 인한 공석 발생 시 예비등록 순서대로 연락드립니다.
- 신청 후 참여가 어려우신 분은 다음 예비 신청자를 위해 02-2124-7417 혹은 ths5451@citizen.seoul.kr로 불참 의사를 미리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제공되는 자료에 수록된 이미지 등에 대한 저작권은 각 저작권자에 있으며, 서울시립미술관과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무단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프로그램 참여 후 만족도 조사에 참여해 주세요.
문의
02-2124-7417 (응대 가능 시간 평일 9:00~18:00 / 공휴일 및 점심시간 12~13시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