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시
무료
행사명 : 2018 서울사진축제
주 제 : 멋진 신세계
기 간 : 2018년 11월 1일 (목) - 2019년 2월 10일 (일)
장 소 :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전시실 1, 프로젝트갤러리 1,2
주 최 : 서울시립미술관
맑은 하늘과 풍족함을 느끼게 하는 만추에 국내외 사진전을 대표하는 제9회 서울사진축제를 서울시립미술관에서 개최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서울사진축제는 2010년 제 1회를 시작으로 서울시가 매년 사진의 달을 맞아 추진했던 서울의 대표 프로그램으로 서울과 사진을 주제로 서울 전역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2018 서울사진축제는 본 전시와 특별전, 장소 특정적 현장설치 프로젝트, 상영회, 부대행사로 구성됩니다. 본 전시인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에서는 6개국 19명의 작가가 참여하여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를 주제로 한 기획전을, SeMA창고에서는 2개국 4팀이 참여하여 연계전 경계를, 시간을, 세계를, 차원을. 신체는, 링크는, 언어는, 형태는 선보이며 풍부하고 다채로운 전시를 구성합니다. 또한 플랫폼창동61의 지역문화공간과 협업하여 축제의 현장감 있는 현장설치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예술 영화상영관 아트나인이 참여한 전시 주제와 관련된 예술 영화와, 대중성 있는 영화 상영 프로그램을 마련하였습니다.
2018 서울사진축제를 찾아주시는 시민 여러분의 아낌없는 성원과 관심을 부탁 드립니다. 특히 이번 2018 서울사진축제를 위해 함께 애써주신 특별전 협력 큐레이터, 영화 프로그램 디렉터, 외부 협력 기관 담당자 분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앞으로 건립을 계획하고 추진하는 서울사진미술관의 추이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서울시립미술관장 직무대리 유병홍
주제 : 멋진 신세계기간 : 2018년 11월 1일 (목) - 2019년 2월 10일 (일)
장소 :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프로젝트갤러리 1, 프로젝트갤러리 1,2
2018 서울사진축제는 고전소설 올더스 헉슬리의 1932년 발표작 『멋진 신세계』를 바탕으로 과학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 모두가 인공적으로 제조되고 관리되는 미래 사회를 소재로 한다.
이번 전시는 A.F. 632년으로 지칭되는 소설 속 배경이 근대화 이후 기술 발전의 양상과 모순을 총체적으로 담지하고 있다고 보면서, 이러한 신기술의 등장과 확산이 단지 산업과 물질 사회를 변화시키는 주된 원천만이 아니라 정치 체계 및 사회 구성, 인간의 가치 체계를 전복시키는 주요 동력임을 보이고자 한다.
본 전시에 참여한 19명의 작가들은 포드원년 632년의 통일된 세계로 비견되는 동시대의 보안과 감시, 커뮤니케이션 형태의 진화 등 초 공리주의 방식으로 운영되는 현대 정보 시스템의 관리 양태를 소재로, 변화하는 세계 정치와 사회 그리고 환경 문제에 대한 작가들 개인의 대응과 저항의 일면을 이번 전시에서 선보인다. “개인이 감동하게 되면 전체가 비틀거리게 되요” 라고 말한 여주인공 레니나의 말처럼, 우리 모두가 여기에서 ‘이성이 잠든’ 비틀거리는 순간을 만들어 내기를 기대한다.
참여작가
전시 1
김명수, 노순택, 백승우, 박선민, 박진영, 윤향로, 한성필, 김경태(EH), 코바야시 켄타, 고 이타미, 하타케야마 나오야, 가와우치 링코, 코야마 다이스케, 미즈타니 요시노리, 요시다 카즈오, 장커춘, 키트라 카하나, 알레한드로 카르타헤냐, 세실 에반스
전시 2
이성민x권영찬, 압축과 팽창(안초롱, 김주원)
전시 3
김주원, 오연진, 이민지, 더 카피 트래블러스
전시기간 : 2018년 11월 1일 (목) - 2019년 2월 10일 (일)
전시장소 :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프로젝트갤러리 1, 프로젝트갤러리 1,2
전시주제 : 멋진 신세계
2018 서울사진축제는 고전소설 올더스 헉슬리의 1932년 발표작 『멋진 신세계』를 바탕으로 과학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 모두가 인공적으로 제조되고 관리되는 미래 사회를 소재로 한다.
이번 전시는 A.F. 632년으로 지칭되는 소설 속 배경이 근대화 이후 기술 발전의 양상과 모순을 총체적으로 담지하고 있다고 보면서, 이러한 신기술의 등장과 확산이 단지 산업과 물질 사회를 변화시키는 주된 원천만이 아니라 정치 체계 및 사회 구성, 인간의 가치 체계를 전복시키는 주요 동력임을 보이고자 한다.
본 전시에 참여한 19명의 작가들은 포드원년 632년의 통일된 세계로 비견되는 동시대의 보안과 감시, 커뮤니케이션 형태의 진화 등 초 공리주의 방식으로 운영되는 현대 정보 시스템의 관리 양태를 소재로, 변화하는 세계 정치와 사회 그리고 환경 문제에 대한 작가들 개인의 대응과 저항의 일면을 이번 전시에서 선보인다. “개인이 감동하게 되면 전체가 비틀거리게 되요” 라고 말한 여주인공 레니나의 말처럼, 우리 모두가 여기에서 ‘이성이 잠든’ 비틀거리는 순간을 만들어 내기를 기대한다.
참여작가
김명수, 노순택, 백승우, 박선민, 박진영, 윤향로, 한성필, 김경태(EH), 코바야시 켄타, 고 이타미, 하타케야마 나오야, 가와우치 링코, 코야마 다이스케, 미즈타니 요시노리, 요시다 카즈오, 장커춘, 키트라 카하나, 알레한드로 카르타헤냐, 세실 에반스
전시기간 : 2018년 11월 1일 (목) - 2018년 11월 30일 (금)
전시장소 : 플랫폼창동61
전시주제 : Walking, Jumping, Speaking, Writing.
境界を、ソウルを、世界を、次元を.
경계를, 시간을, 세계를, 차원을.
신체는, 링크는, 언어는, 형태는.
김익현
가깝거나 먼 미래의 시간을 상상하는 일은 언제부터 하게 되었을까? 플랫폼창동61이 위치한 자리는 다가올 미래의 시간을 임시로 가설한 장소로 가까운 미래에는 박물관, 미술관 등이 세워질 예정에 있다. 전시의 참여 작가들은 이러한 장소적, 시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그들에게 구체적으로 다가올 미래의 시간과 공간을 제시한다.
참여작가
이성민x권영찬, 압축과 팽창(안초롱, 김주원)
전시기간 : 2018년 11월 1일 (목) - 2018년 11월 30일 (금)
전시장소 : SeMA창고
전시주제 : Walking, Jumping, Speaking, Writing.
境界を、ソウルを、世界を、次元を.
경계를, 시간을, 세계를, 차원을.
신체는, 링크는, 언어는, 형태는.
김익현
어떤 시간은 되감을 수 있지만 어떤 시간은 되감을 수 없다. 한 손으로 무엇이든 볼 수 있지만 바로 만져 볼 수는 없다. 우리는 분명히 물리적 법칙에 아래 살아간다. 한편, 이러한 법칙을 따르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세계를 겹쳐 가며 살고 있기도 하다. 조금 비약해서 말하자면 과거 같아 보이는 과거, 현재 같아 보이는 현재 미래 같아 보이는 미래의 어딘가에 서 있다. 여전히 앞으로 걷거나 혹은 뒤로 걸어가는 시간을 스쳐 가며 언제인지 무엇인지 모를 선명한 세계를 보는 일은 익숙한 것이 되었다.
매 순간 낯선 세계를 만나게 된다면 우리는 그곳을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서 시작한 이 전시의 고민은 그곳만의 언어 체계가 있다면 상호 번역할 수 있는 것일까? 하는 질문으로 이어진다. 만약 그 중 일부라도 번역할 수 있게 된다면, 우리는 일일이 눈앞의 모든 세세한 것들을 시시콜콜하게 비교 대조하는 일부터 다시 시작하게 되지 않을까? 이전의 절차를 반복하면서 알게 되는 세계는 어떤 시간이 흐를까.
참여작가
김주원, 오연진, 이민지, 더 카피 트래블러스
전시제목
Walking, Jumping, Speaking, Writing.
境界を、ソウルを、世界を、次元を.
경계를, 시간을, 세계를, 차원을.
신체는, 링크는, 언어는, 형태는.
전시기간 : 2018. 11. 1 ― 2018.11.30
전시장소 : SeMA창고
전시소개
어떤 시간은 되감을 수 있지만 어떤 시간은 되감을 수 없다. 한 손으로 무엇이든 볼 수 있지만 바로 만져 볼 수는 없다. 우리는 분명히 물리적 법칙에 아래 살아간다. 한편, 이러한 법칙을 따르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세계를 겹쳐 가며 살고 있기도 하다. 조금 비약해서 말하자면 과거 같아 보이는 과거, 현재 같아 보이는 현재 미래 같아 보이는 미래의 어딘가에 서 있다. 여전히 앞으로 걷거나 혹은 뒤로 걸어가는 시간을 스쳐 가며 언제인지 무엇인지 모를 선명한 세계를 보는 일은 익숙한 것이 되었다.
매 순간 낯선 세계를 만나게 된다면 우리는 그곳을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서 시작한 이 전시의 고민은 그곳만의 언어 체계가 있다면 상호 번역할 수 있는 것일까? 하는 질문으로 이어진다. 만약 그 중 일부라도 번역할 수 있게 된다면, 우리는 일일이 눈앞의 모든 세세한 것들을 시시콜콜하게 비교 대조하는 일부터 다시 시작하게 되지 않을까? 이전의 절차를 반복하면서 알게 되는 세계는 어떤 시간이 흐를까.
참여작가
김주원, 오연진, 이민지, 더 카피 트래블러스
전시제목
Walking, Jumping, Speaking, Writing.
境界を、ソウルを、世界を、次元を.
경계를, 시간을, 세계를, 차원을.
신체는, 링크는, 언어는, 형태는.
전시기간 : 2018. 11. 1 ― 2018.11.30
전시장소 : 플랫폼창동61
전시소개
어떤 시간은 되감을 수 있지만 어떤 시간은 되감을 수 없다. 한 손으로 무엇이든 볼 수 있지만 바로 만져 볼 수는 없다. 우리는 분명히 물리적 법칙에 아래 살아간다. 한편, 이러한 법칙을 따르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세계를 겹쳐 가며 살고 있기도 하다. 조금 비약해서 말하자면 과거 같아 보이는 과거, 현재 같아 보이는 현재 미래 같아 보이는 미래의 어딘가에 서 있다. 여전히 앞으로 걷거나 혹은 뒤로 걸어가는 시간을 스쳐 가며 언제인지 무엇인지 모를 선명한 세계를 보는 일은 익숙한 것이 되었다.
매 순간 낯선 세계를 만나게 된다면 우리는 그곳을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서 시작한 이 전시의 고민은 그곳만의 언어 체계가 있다면 상호 번역할 수 있는 것일까? 하는 질문으로 이어진다. 만약 그 중 일부라도 번역할 수 있게 된다면, 우리는 일일이 눈앞의 모든 세세한 것들을 시시콜콜하게 비교 대조하는 일부터 다시 시작하게 되지 않을까? 이전의 절차를 반복하면서 알게 되는 세계는 어떤 시간이 흐를까.
참여작가
김주원, 오연진, 이민지, 더 카피 트래블러스
시행 (주)디투씨
총괄 기혜경
학예총괄 서주영
전시기획 정재임
전시코디네이터 신지원
외부기획 김익현, 천수림
홍보 문덕기, 김채하
홍보코디네이터 정예인
공간디자인 포스트스탠다즈
그래픽디자인 페이퍼프레스
작품운송설치 동부아트
영상장비 멀티텍
홍보물 남이에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