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모음동 3층 리서치랩
2022.06.24 오전 0:00– 2022.08 오전 0:00
성인
비회원
세마피칭 파일럿
SeMA PITCHING PILOT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는 개관을 앞두고, 우리에게 친숙하면서도 아직은 낯선 ‘아카이브’에 다가가는 다양한 시도들을 표면화하는 사전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아카이브를 수집하고 새로운 미술관을 만들어 나가면서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가 현장에 펼쳐진 문서와 기록, 자료들을 목도하고 경험했던 것처럼, 미술기록을 찾아내고 들춰보며 새로운 해석과 실천의 가능성을 열어온 이들의 생생한 경험을 들어봅니다. 현장의 그 때, 그 자리를 기록하고 보존해 온 미술언론의 아카이빙, 천차만별의 작가 아카이브를 전시의 모티프와 내용으로 꾸려온 큐레이팅, 스스로를 아카이빙하는 아티스틱 프랙티스에 대한 조사연구, 컬렉션의 아이템, 계층을 밀착 있게 바라보고 새로운 지층을 발굴해내는 해제연구, 그리고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의 소장 기록과 함께 새로운 아카이브 활용 가능성을 열어본 워크숍과 이미지텔링 프랙티스까지, 아카이브를 둘러싼 여러 층위의 활동들을 펼쳐 보이며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가 지나온, 그리고 향할 그라운드를 탐색합니다.
8월 한 달간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SeMA AA)의 디지털아카이브에서 각 프로그램의 세부를 살펴볼 수 있는 도큐먼트 포스트가 게재됩니다.
SeMA AA 디지털아카이브에 방문하시어 생생한 대화의 기록, 현장감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세마피칭 파일럿 자세히 보기
라운드테이블
〈작품, 기록, 큐레이팅〉 2022.6.21. 14:00
〈저널링, 지금 여기를 기록하기〉 2022.6.24. 14:00
〈작가 Sasa[44]의 와당탕퉁탕 엉망인 세상을 기록하는 방법〉 2022.7.11. 13:00 워크숍
〈도전! 아트 프로파일러〉 2022.7.1. 14:00 / 2022. 7.2. 14:00 / 2022.7.8. 14:00
〈아트라이팅-미래에 오픈할 텍스트〉 2022.7.18. 11:30 / 2022.7.19. 11:30 프랙티스
〈해제연구-또 하나의 목소리〉
〈이미지텔링〉
| 주최
서울시 문화본부, 서울시립미술관
| 기획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유예동 학예연구사
이다영 학예연구원
| 협력기획
B파운데이션
호경윤, 권주희, 우아름, 임다울, 최정윤
| 디자인
조은지스튜디오
| 영상제작
프로덕션이은정, CJYART STUDIO 조준용
| 촬영
CJYART STUDIO 조준용
미술아카이브는 미술의 역사를 보존하고 연구하는 미술관입니다. 미술아카이브는 예술인 개인과 단체가 남긴 미술사의 발자취를 좇아 수많은 기록과 자료를 수집 선별하여 보존하고 연구합니다. 또한 아카이브를 매개로 한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들과 관계를 맺고, 새로운 예술을 상상합니다. (전경사진: ⓒ Kim YongKwan)
수집·이용 항목 | 수집·이용 목적 | 보유기간 |
---|---|---|
이름, 생년월일, 휴대폰, 이메일 | 이벤트 신청자 확인 | 2년 |
수집·이용 항목 | 수집·이용 목적 | 보유기간 |
---|---|---|
주소 | 이벤트 신청자 확인 | 2년 |
서울 중구 덕수궁길 61
(대표번호)
02–2124–8800
, 02–120
(직원찾기) 직원 및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