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k-SeMA 미술아카데미]
2000년 이후 한국 현대미술 - 미술을 둘러싼 구조, 그리고 현장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은 작년에 개관 10주년을 맞이하여 <1950년대 이후 한국 현대미술>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올해, 작년과 이어지는 후속 아카데미 프로그램으로 2000년 이후 한국 현대미술에서 전개된 중요한 흐름을 살펴보는 강의를 마련했습니다. 강의는 지난 20여 년 동안 미술을 둘러싼 큰 구조를 도시, 대중문화, 제도, 기술, 페미니즘이라는 다섯 개의 주제를 살펴보는 전반부와, 큐레이팅과 미술시장, 다원예술 등 현장을 만들어갔던 실천들을 조명하는 후반부로 구성됩니다. 급속한 기술의 발전과 다원화된 사회적 흐름에 발맞춰 변화해 온 동시대 미술을 들여다보는 여덟 개의 강의가 세상을 이해하는 시각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 강의를 들으시면서 함께 보실 수 있도록 강의 자료 PDF 파일을 제공합니다. [해당 페이지 가장 하단으로 내리시면, 관련 출판물 게시물에서 파일 다운로드 가능하십니다.]
미리 다운로드 받거나, 인쇄하여 사용 가능하십니다.
동일한 내용의 강의 자료 책자를 출석 확인과 함께 입장 시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교육 장소: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지하1층 다목적홀
(출결 확인을 위해 강의 시작 10분 전까지 도착해 주세요.)
-교육 대상: 강의별 최대 300명
-교육 일시: 2024. 5. 3 - 6. 28
-신청 기간: 2024. 4. 2. (화) 15:00 - 2024. 6. 25. (화)
강의 개별 신청 필요, 선착순 선별 (매주 월/화 모집 마감)
* 사전예약제로 운영 중이나 잔여석이 발생하는 경우 당일 현장접수를 통해 선착순으로 입장이 가능하오니, 직접 방문하시거나 문의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신청 확정: 강의가 있는 주의 화/수요일마다 최종 확정 개별 연락
○ 수업 일정 및 신청 링크 [강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신청 링크로 연결됩니다.]
미술을 둘러싼 구조 – 도시, 제도, 문화, 기술 등 |
1강 | 글로벌 도시의 현실과 환상 사이에서 [선착순마감] | 윤원화 (미술비평가) | 5월 3일 14:00-16:00 |
2강 | 자본, 소비문화와 미술 [선착순마감] | 기혜경 (홍익대학교 예술기획과/미술사학과 교수) | 5월 10일 14:00-16:00 |
3강 | 2000년 이후 미술관, 제도, 정책 [선착순마감] | 양지연 (동덕여자대학교 큐레이터학 전공 교수) | 5월 17일 14:00-16:00 |
4강 | 기술에 개입하는 예술, 미디어아트 [선착순마감] | 김성은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운영부장) | 5월 23일 14:00-16:00 |
5강 | 페미니즘 미술, 이론과 실천의 (오)작동 [선착순마감] | 이진실 (미술비평가) | 5월 31일 14:00-16:00 |
현장 – 전시, 비평, 시장 등 |
6강 | 상호조우체의 직조: 21세기 현대-한국-미술의 큐레이터십 [선착순마감] | 임근준 (미술·디자인 이론/역사 연구자) | 6월 14일 14:00-16:00 |
7강 | 미술계와 미술시장 [선착순마감] | 주연화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 대학원 부교수) | 6월 20일 14:00-16:00 |
8강 | 불완전한 공동체: 신체, 무대, 시선 그리고 자기지시 [선착순마감] | 서현석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교수) | 6월 28일 14:00-16:00 |
○ 강의 내용 상세보기
Part 1. 미술을 둘러싼 구조 - 도시, 제도, 문화, 기술 등
1강. 글로벌 도시의 현실과 환상 사이에서
윤원화 (미술비평가)
5월 3일 (금) 14 - 16시
국가 주도의 근대화가 일단락된 이후, 서울은 글로벌 도시라는 새로운 목표하에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변화를 통과했다. 현실과 이상,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 진동하는 세기 전환기의 과도기적 조건이 구체화 된 공간으로서 도시를 탐사하고 그에 개입했던 예술적 실천의 양상들을 살펴본다.
2강. 자본, 소비문화와 미술
기혜경 (홍익대학교 예술기획과/미술사학과 교수)
5월 10일 (금) 14 - 16시
글로벌 기업들은 국가 간 경계를 넘나들며 하나의 세계로 우리의 삶을 묶어나가고, 고도화된 자본이 스펙터클이 되어 우리를 감싸는 가운데, 그에 대응하는 동시대 미술의 새로운 질서와 반응들을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지금, 여기를 살핀다.
3강. 2000년 이후 미술관, 제도, 정책
양지연 (동덕여자대학교 큐레이터학 전공 교수)
5월 17일 (금) 14 - 16시
2000년대 이후 미술관의 급격한 성장과 미술관 제도의 전개 양상을 그 동인으로 작용한 예술 정책 환경 안에서 검토한다. 이를 통해 동시대 미술 생태계를 구성하는 미술관, 제도, 정책의 역할을 성찰하고 전망해 본다.
4강. 기술에 개입하는 예술, 미디어아트
김성은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운영부장)
5월 23일 (목) 14 - 16시
미디어아트라는 말은 앞에 ‘뉴’가 붙지 않아도 늘 새로움을 암시한다.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 미디어를 매체로 사용하여 새로운 형식을 개척하는 데에서 나아가, 그 기술이 사회에 일으키는 변화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생산하고자 기술에 개입하는 예술이기 때문이다. 웹과 인터넷, 무빙 이미지, 게임과 로봇,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인공지능에 이르기까지, 기술 지형의 격변 속 한국 미디어아트의 주요 장면들을 살펴본다.
5강. 페미니즘 미술, 이론과 실천의 (오)작동
이진실 (미술비평가)
5월 31일 (금) 14 - 16시
2000년대 이후 서구와 한국 사회에서는 미투 운동을 비롯한 페미니즘 운동이 다시 부상했고 문화 전반에 있어서 인식적, 실천적 변화들이 일어났다. 이러한 변화가 미술이라는 제도 내에서 가져온 이론적/실천적 갱신과 전환, 그리고 부조화를 살펴본다.
Part 2. 현장 - 전시, 비평, 시장 등
6강. 상호조우체의 직조: 21세기 현대-한국-미술의 큐레이터십
임근준 (미술·디자인 이론/역사 연구자)
6월 14일 (금) 14 - 16시
외환 위기 이후 오늘날까지 한국의 큐레이터와 미술인은 어떤 전시를 통해 투쟁하며 현대미술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해왔을까?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현대-한국-미술의 역사를 규정하는 주요 큐레이팅 사례들을 재고찰하고 그 흐름과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강의는 평균적인 큐레이터십의 개괄 대신, 언어, 신화, 예술, 종교와 같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상징형식으로서 구성되고 제시되는 비평적 인터페이스인 ‘상호조우체(encounterface)’를 주목한다. 정보/아카이브/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관람객의 능동적인 대응과 성찰을 촉구하는 상호조우체의 직조가 돋보이는 큐레이터십은 어떤 양태로 실험과 변주가 이루어졌는지, 그 도약의 계보를 추적할 예정이다.
7강. 미술계와 미술시장
주연화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 대학원 부교수)
6월 20일 (목) 14 - 16시
본 수업은 미술계가 하나의 커다란 생태계라는 관점에서 20세기 이후 미술시장이 전체 미술계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쳐왔는지 살피고, 그 영향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다룬다. 더불어 청중에게 미술시장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기반으로, 동시대 미술계의 가치결정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8강. 불완전한 공동체: 신체, 무대, 시선, 그리고 자기지시
서현석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교수)
6월 28일 (금) 14 - 16시
1990년대 이후 자기지시적 제스처로 무대에 던져진 근원적인 질문들이 어떻게 주체와 공동체에 대한 모더니즘의 주제들을 소환하면서도 균열과 불완전성을 통한 해방의 단초들을 모색했는가를 탐구해본다.
○ 문의
유선 양혜숙 학예사 02-2124-5273/
서다빈 코디네이터 02-2124-5288
(응대시간 평일 9:00-18:00)
이메일 dabin9712@citizen.seoul.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