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2010 유럽연합고등상원 미디어아트 석사 졸업, 프랑스
2007 유럽연합고등상원 미술 학사 졸업, 프랑스
개인전
2019 《다리의 감정》, SeMA 창고, 서울
2018 《희연한 잠》, 송은아트큐브, 서울
2016 《관찰 실험실: 인체풍경》, 스페이스9, 서울
주요 단체전
2019 《번외편: A-side-B》, 금천예술공장, 서울
《Summer Love》, 송은아트스페이스, 서울
《미시적 삶: 버섯되기》, 서울은미술관 녹사평역, 서울
2018 《콘크리트 산책》, 위켄드 2/W, 서울
《이동하는 예술가들》,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고양
《Echolocation》, KHOJ, 뉴델리, 인도
《두 동반자의 비》, SeMA 창고, 서울
《No matter how thick the glass》, 바시스(Basis), 프랑크푸르트, 독일
《미세한 기울임》, 청주시립대청호미술관, 청주
《일부러 불편하게》, 소마미술관, 서울
2017 《팝업랩》, 대전시립미술관 창작센터, 대전
《Art Island Tokyo》, 진노 마루(Jinno Maru), 도쿄, 일본
《마이크로폴리틱스》, 스페이스xx, 서울
2016 《Laboratory Another Death》, 웨일리아트(Waley Art), 타이베이, 타이완
《실눈뜨기》, 성북도원, 서울
2015 《(CON)TEMPORARY OSMOSIS - Audiovisual Media festival》, 타이베이, 타이완
스크리닝 및 공연
2019 비디오/스펙트럼/댄스, 엘리펀트스페이스, 서울
더 스트림 스크리닝 데이 #22, 신촌극장, 서울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롯데시네마 홍대, 서울
2018 이동하는 예술가들, 국립현대미술관 미디어아트월, 서울
겨울나그네: 방랑의 몽타주, 플랫폼엘, 서울
2017 도시시도 미래도시,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 서울
수상
2012 Des fils et d’encres selection, 프랑스 문화재청, 프랑스
기금
2019 서울시립미술관 신진미술인 전시지원 프로그램
2018 주인도한국문화원 KHOJ 선정작가, 인도
서울문화재단 문래창작촌 지원사업 MEET
레지던시
2019 금천예술공장
2018 바시스(고양레지던시 국제교환 입주프로그램), 독일
고양레지던시
2017 노마드 에어(Nomad AIR)_오슬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해외레지던스참가지원 선정)
2016 웨일리아트, 타이완
2015 바림
2013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2012 라세큐(Lasecu), 프랑스
2011 파리국제예술공동체, 프랑스
www.sinifie.com
다리의 감정
SeMA 창고
2019.5.10. - 2019.5.29.
봄로야
신이피는 사체의 냄새가 휘발된 매끄러운 박제 동물을 응시하고 불에 탄 자연사 박물관의 표면을 만지며, 상실이 시작하는 역사적 풍경을 찾는다. 그녀는 박물관의 근대성이 함유하고 있는 죽음과 상실, 이를 체감하는 개인의 경험과 정서를 중첩하여 역사의 이미지를 모호하게 만든다. 거대 담론을 의도적으로 축소하고 사적 경험을 미시적으로 접근하는 이러한 작가적 태도는 선형적으로 읽히기 쉬운 개인과 사회, 자연과 인공의 시간성과 관계성을 우회한다. 이는 인간 중심적 사고로는 그 어떤 대상도 해석할 수 없음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작가가 표방하는 과학자의 몸짓은 도시의 구조물에 초음파를 쏘며 움직임을 조직할 수밖에 없는 박쥐의 날갯짓, 그리고 죽었지만 핀에 꽂히며 다리가 덜덜 떨리는 벌의 진동과 동기화된다. 집단 학살된 듯 진열된 각종 박제 동물의 유의미함은 작품 속에서 중심을 잃고 휘청거리기를 반복하며, 박물관의 위상은 세포화되고 파편화된다. 또한, 전소한 자연사 박물관의 흔적들은 마치 인류의 비극적 미래를 예고하는 듯 보인다.
그럼에도 흘끗 나타났다 사라지는 애도의 문장은 복원의 찰나를 꿈꾸게 만든다. 누가 그 뜻을 알까 . 그녀가 더듬은 다리들은 전시장에서 되살아나 충실하게 걷기 시작한다. 죽은 것도, 산 것도 아닌 웅얼거림이 벽에 새겨진다.
서울시립미술관(Seoul Museum of Art. SeMA)은 2008년부터 역량있는 신진작가들에게 전시장 대관료, 홍보 및 인쇄비, 작품 재료비, 전시컨설팅 등을 지원해 왔습니다. 2016년부터는 유망기획자까지 지원의 폭을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역량 있는 신진미술인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서울 중구 덕수궁길 61
(대표번호)
02–2124–8800
, 02–120
(직원찾기) 직원 및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