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
최성록 (b.1978)
학력
2012 M.F.A, 카네기멜론대학교 대학원, 순수미술전공 졸업, 피츠버그, 미국
2004 B.F.A,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 서울, 한국
개인전
2015 유령의 높이, 갤러리 조선, 서울, 한국 2014 그 집에 빛- 오래된 집 재생 프로젝트, 오래된 집, 서울, 한국 2011 Call of Duty: Operation 100, Pittsburgh Center for the Arts, 피츠버그, 미국
2006 The Rocver Project-The First Landing, 아트스페이스 휴, 서울, 한국
주요 기획전
2015 아트오마이 모멘텀, 토탈미술관, 서울 2014 DMZ, 통일을 그리다, 파주에코뮤지엄거리, 파주, 한국 2014 Metamorphcity, 인천아시안게임선수촌, 인천, 한국 2014 공간을 점령하라, 아트스페이스 정미소, 서울 2014 플랫폼 리포트,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 2013 From I to I 2013청년 미술프로젝트, 대구, 한국 2013 백령도 평화미술프로젝트, 인천, 한국 2013 Residency, NoW, 송원아트센터, 서울, 한국 2013 신진기예전, 토탈미술관, 서울, 한국 2013 플랫폼 액세스 4기 입주작가전,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 2012 제 9회 부산 국제비디오 아트 페스티발, 부산, 한국 2012 오프앤프리 국제 실험 영화제, 한국영상자료원, 서울, 한국 2012 The You Inside of Me, Miller Gallery, 피츠버그, 미국
2012 Casting Memories, Artgate Gallery, 뉴욕, 미국
2011 AHL Contemporary Art Auction, Space on White, 뉴욕, 미국
2011 Two Minute Film Festival, Carnegie Museum of Art, 피츠버그, 미국
2010 Fresh Baked Goods, Future Tenant gallery, 피츠버그, 미국
2010 Quite in Land, Future Tenant Gallery, 피츠버그, 미국
2010 BYOB, Space Gallery, 피츠버그, 미국 2008 Battle of Tastes, 갤러리상상마당, 서울, 한국
2007 Stress Fighter, 대안공간 풀, 서울, 한국
2007 Nice to Meet You, Arthouse, 런던, 영국 2007 일기예보, 서울시립미술관 남서울 분관, 서울, 한국
수상
2015 SeMA Emerging Artists: 신진작가 전시지원 프로그램,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3 파라다이스 문화재단 아트오마이 뉴욕 레지던시 참가 지원 수상, 서울, 한국 2011 The 8th AHL Foundation 시각예술공모전 대상 수상, 뉴욕, 미국
2010 피츠버그 아트센터 개인전 기획공모 당선, 피츠버그, 미국 2006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뉴스타트 선정, 서울, 한국
레지던시 참가 경력
2013 아트 오마이 레지던시, 뉴욕, 미국 2013 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 프로그램, 인천, 한국 2006 난지창작스튜디오 1기, 서울, 한국
Sung Rok Choi(b.1978)
Education
2012 M.F.A, Carnegie Mellon University, School of Art, Pittsburgh, PA, U.S
2004 B.F.A, Hongik University, Department of Painting, Seoul, Korea
Solo Exhibition
2015 The Height of Phantom, Gallery Chosun, Seoul, Korea 2014 The Light in the House, Old House Project, Seoul, Korea 2011 Call of Duty: Operation 100, Pittsburgh Center for the Arts, Pittsburgh, PA, U.S
2006 The Rocver project-The First Landing, Artspace HUE, Seoul, Korea
Group Exhibition
2015 Art Omi The momentum, Total Contemporary Museum of Art, Seoul 2014 DMZ The Line, Paju Eco Museum, Paju 2014 OccupyJungmiso, Artspace jungmiso, Seoul 2014 Metamorphcity, Incheon Asian Game Media Zone, Incheon 2013 i to YAP Project, Daegu Exco, Daegu, Korea 2013 Baekryoung Peace Art Project, Incheon, Korea 2013 Residency Now, Songwon Art Center, Seoul, Korea 2013 Up and Comers,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2013 Platform Access, Incheon Art Platform, Incheon, Korea 2012 Busan International Video Art Festival, Busan, Korea
2012 Off and Fre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Korea Film Archive, Seoul, Korea
2012 The You Inside of Me, MFA Thesis show, Miller Gallery, CMU, Pittsburgh, PA
2012 Casting Memories, Artgate Gallery, NYC, NY
2011 AHL Contemporary Art Auction, Space on White, NYC, NY
2011 Two Minute Film Festival, Carnegie Museum of Art, Pittsburgh PA, U.S 2010 Fresh Baked Goods, Future Tenant gallery, Pittsburgh, PA
2010 Quite in the Land, Future Tenant Gallery, Pittsburgh, PA, U.S
2010 BYOB, Space Gallery, Pittsburgh, PA, US
2008 Battle of Tastes, Gallery Sangsang Madang , Seoul, Korea
2007 Stress Fighter, Alternative Space POOL, Seoul, Korea
2007 Nice to Meet You, Arthouse, London, U.K
2007 Iigiyebibo,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2006 Surrounding In & Out, Gallery IHN, Seoul, Korea
2006 Art-Holic 'Shining Future of Art, DUPLEX Gallery, Seoul, Korea
2005 Seoul Young Artist Festival,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2005 Popcon, Kimiart gallery, Seoul, Korea
2005 Artist project Art and Science, Museum Savina, Seoul, Korea
2005 Hangul Dada, Alternative Space Loop, Seoul, Korea
2005 Gulliver's Travels, SungGok Museum Seoul, Korea
Residency
2013 Art Omi Residency Program, Ghent, NY, U.S 2013 Incheon Art Platform Residency, Incheon, Korea
2006 Nanji Art Residency Program,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Selected Honors
2015 SeMA Emerging Artists Support program, Seoul Museum of Art, Seoul 2013 Paradise Cultural Foundation Art Omi Fellowship, Seoul, Korea 2011 The 8th AHL Foundation Visual Arts Competition First Prize, NYC, NY
2009~2012 Carnegie Mellon University Graduate Assistant Fellowships
2007 Seoul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Fellowship, Seoul Cultural Foundation, Seoul, Korea
최성록 개인전 <유령의 높이> : Being Ghost, Scrolling the World
글. 유원준 (미술비평)
#1 고정된 개체, 변화하는 현실
화면 중앙에 작은 자동차가 나타난다. 화면은 빠르게 자동차의 움직임을 쫓는다. 모든 것이 숨 가쁘게 변화하지만 자동차와 화면은 고정되어 있다. 익숙한 풍경들을 스쳐 지나가는 순간에도 중앙의 자동차는 화면의 중심을 지킨다. 자동차에 뒤따르는 연기만이 자동차의 움직임을 드러내며 어딘가를 향해 달려가고 있음을 짐작하게 만든다. 최성록의 신작 는 우리에게 이와 같이 고정된 개체로부터 변화하는 현실을 보여준다. 현실 속의 개체가 변화하는 것이 아닌 고정된 개체 주변을 현실이 변화하며 쫓는 것이다.
과거로부터 우리에게 현실-세계는 고정된 상수 값으로 존재했다. 변화하는 것은 그 ‘세계 속의 나’였으며, 그로부터 움직임을 수반하는 개체 스스로의 시각에 익숙해져 왔다. 수많은 매체들이 우리의 현실-세계를 반영하며 초점을 맞추었지만 정밀한 상을 얻기 위해 움직여야 하는 개체는 항상 세계를 조명하는 매체였다. 이러한 문법은 세계를 유영하는 ‘세계-내-존재(In-der-Welt-sein)’로서의 시각 투영에 기인한 것이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우리 주변을 탐색하며 주체의 시선 변화에 조응하는 세계-환경을 꿈꾸기도 했었다. 주체의 이러한 욕망은 오히려 현실 세계와는 거리를 전제한 가상적 게임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났다. 게임의 가상적 시뮬레이팅 환경은 현실을 지시하는 또 다른 세계를 상정함으로서 세계-내-존재의 구도를 전복시켜 버릴 수 있었다. 최성록의 작업이 마치 게임 화면과 같이 보이는 이유도 이러한 까닭이다. 화면 속의 풍경은 실제 풍경을 컴퓨터 애니메이션으로 작업한 것이지만, 그러한 실제적 지시 근거들을 화면에서 찾아보기는 힘들다. 화면은 잘 짜여진 인공적 세계 그대로를 직접적으로 제시하기 때문이다.
#2 현기증과 스크롤링의 변증법
앞서의 가정대로 우리를 둘러싼 현실-세계가 고정된 나를 중심으로 움직일 때, 문제가 되는 것은 그러한 세계에 관한 우리의 인식 가능 여부이다. 화면 속의 주체가 고정되어 있다는 점은 관객들에게는 빠른 화면 속 풍경 변화를 부차적으로 만드는 안정적인 요인일지 모르지만, 그것은 철저히 관객의 입장이라는 3자의 측면에서 관찰할 때 나타나는 감성이다. 우리가 생각해봐야 하는 문제는 그렇게 고정된 채로 변화를 맞이하는 주체의 시선이다. 세계를 움직여 내가 원하는 조망을 획득할 수 있다는 점은 비유적으로 세계 전체를 스크롤링 할 수 있는 전지적 관점의 획득으로 인식될 수 있지만, 그러한 환경 변화가 가속화 될 때 우리의 시각은 다시금 인식 가능한 범주 안에서의 시점의 선택 단계로 접어들게 된다. 당연하게도 그러한 세계가 눈 앞에 현전한다고 가정해보면, 우리는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현기증과 같은 어지러움에 노출된다.
이러한 어지러움에 익숙해 질 무렵, 화면 속 자동차는 중심을 이탈한다. 흥미로운 부분은 이렇게 중심을 이탈하는 주체를 대신하여 또 다른 개체들이 화면에 등장한다는 점이다. 자동차를 대신해 커다랗게 화면을 채우는 비행기는 공항에 착륙하며 개체-중심적 시선과는 차별되는 이전의 시선을 다시금 보여준다. 그러나 비행기는 착륙한 이후 곧바로 화면에서 다시 사라진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개체는 그 이후 자동차의 등장과 함께 살며시 나타나는 감시-비행정의 존재이다. 감시-비행정은 두 개의 시각을 보충하는 개체인 동시에, 실재와 가상 세계를 상호 의존케하는 매개체로 존재한다. 작품의 클로징 장면은 이러한 스크롤링의 세계인 가상적 평면 세계가 아주 얇은 피상적 매질이었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중재하는 매개체인 감시-비행정이 화면 저편으로 사라지며 중심적 시선으로서 화면을 이끌어오던 자동차는 얇은 평면을 뒤로 한 채 끝없는 어둠으로 추락한다. 주체 중심의 가상적 세계에 대한 스크롤링은 이렇게 막을 내린다.
#3. 시각-통합체로서의 유령되기
매체에 의한 인간 시각의 확장은 과거로부터 지속되어온 매우 기본적 테마였다. 맥루한을 비롯한 캐나다 학파들의 주장은 여타의 매체 이론가들에 의해 부정되거나 재-매개되긴 하였지만, 그럼에도 일반적인 매체에 관한 인식-체계를 구성해왔다. 우리의 신체적 제약은 매체로 인해 극복되었고 단일 감각에 의거한 인식의 수준은 복합 감각체로서의 매개된 신체성을 상기시켰다. 다만 인공적인 눈, 매개된 시각이 제공했던 시각의 확장은 다분히 시각의 편재성에 기초했다. 기존 인간이 지닌 신체적 한계로 인한 범주화의 수준을 매체들이 스스로의 특성들과 결합해 도처에 편재하는 눈을 만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인칭을 넘나들며 신적 존재가 되기도 하며 프레임 바깥에서의 시선 또한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여기에 추가되어야 할 시선이 또 하나 등장했다. 매체가 지닌 본질적 특성으로부터 파생된 사이-공간에서의 유령적 존재로서의 시각이다.
및 연작들은 이러한 차원에서 우리에게 새로운 시선을 제시하는 작품들로 파악할 수 있다. 세계-사이-존재인 매개체로서의 유령은 과거의 전지적 시점도, 1인칭으로부터 3인칭으로 귀결되는 인간 중심의 시점도 아닌 그 사이 어딘가에 위치한 불분명한 위치성을 지닌다. 그러나 도처에 존재하는 매체적 특성을 매우 강하게 부여받는다. 따라서 감시-비행체와 같은 부유하는 속성으로부터 공중에서의 시각으로 특징화되지만 결코 감시 카메라처럼 우리를 통제하는 시선으로서의 성질로 파악되진 않는다. 우리 곁에 늘 존재하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와 직접적으로 연동되지는 않는 동시에 특정 거리를 전제한 시선이며 그렇기에 안으로부터 바깥을, 바깥으로부터 안을 사유하는 기존의 이분법적 시스템과는 구별된다. 프레임은 고정되어 있고 개체는 그 속에서 움직인다. 그러나 개체의 이동을 따라 프레임이 변동하지는 않는다. 드론을 이용한 항공 촬영 기법을 이용한 이 작품들은 개념적으로 불분명한 위치 값을 역설적으로 분명하게 부여받는 드론의 특성에 놓여 있기 때문에 우리의 움직임과는 별개로 유기적인 공중 부유체로서 활동을 지속한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우리가 시각-확장체로서의 지위를 공인받게 되는 지점은 인간 주체와 매체간의 이분법적 구도를 넘어선 통합체로서의 매개체적 시선이다. 우리의 존재를 초월한 그러나 결코 우리와 다른 존재가 아닌 유령과 같은 지점-높이의 투사체로서 말이다.
Choi Sungrok’s Solo Exhibition The Height of Phantom: Being Ghost, Scrolling the World
Yoo Wonjoon (Art Critic)
#1. Fixed subject, changing reality
A car appears in the middle of a screen. The camera swiftly chases the moving car. Everything changes so quickly but the car and the frame are fixed. The car stays still in the center while the ordinary landscape is passing by. Only the trailing smoke hints at its movement, making us assume that it is going to somewhere. Through this fixed subject, Choi Sungrok’s new work Scroll Down Journey presents changing realities. This is not the change of a subject in reality, but the reality changing and following the fixed subject.
We have taken the reality (world) as a fixed constant from the past. With 'I in the world' as the variable, we got accustomed to the perspective of the shifting subject. A lot of media has focused on and reflected our reality (world). But media, with the subject viewing the world, should always adjust itself in order to frame the precise picture. This principle is based on the view of ‘a Being in the world (In-der-Welt-sein)’ who drifts around the world. Nevertheless, while exploring around, we dreamt of the environment of the world that corresponds to the changing perspective of the subject. The desire of the subject emerged naturally from the virtual game environment that is different from the real world. The simulating environment of virtual games presupposes another world that represents reality; it can subvert the frame of a Being-in-the world. In that sense, Choi Sungrok’s work seems like the screen of a game. Although he creates sceneries based on real landscapes through computer animation, they hardly seem like real referents in the screen because the screen directly presents a well-constructed artificial world.
#2 The Dialectic of Vertigo and Scrolling
If the reality(the world) moves around a fixed subject (I), as I previously presumed, what is at stake is whether or not we can recognize the world. The fixed subject in the screen can be a stable element that makes the rapidly changing landscape on the screen less important; but this is totally the perspective of the third party ― the audience. What we should consider is the perspective of the subject who encounters the changes in a fixed state. The notion of acquiring one’s desired view by shifting the world can be taken as an omniscient viewpoint ― metaphorically speaking, it means to be able to scroll through the entire world. But when the environment increasingly changes, our sight begins to perceive it by selecting certain perspectives within the recognizable scope. If we presume that the world actually exists in front of us, we might get exposed to the dizziness like the experience of uncontrollable vertigo.
When we get used to this dizziness, the car in the screen then deviates from the center. Interestingly, other subjects start to appear instead of the deviating subject. Instead of the car, an airplane takes a large portion of the screen and lands at the airport with a view that is different from the subject-oriented angle. However, the landed airplane soon disappears from the screen. The subject we then focus on is the presence of a surveillance airplane that sneakily appears. The surveillance airplane is another subject that adds another perspective, in addition the previous two perspectives, and becomes a medium that makes the virtual world and real world codependent. The closing scene of the work reminds the viewer that the world of scrolling ― the virtual flat world ― is a very thin and superficial medium. The mediating medium of the surveillance airplane disappears from the screen, and the car, which has led the video as a central figure, falls to deep darkness in the thin screen. The scrolling of the subject-oriented virtual world ends this way.
#3. Being A Ghost as a Synthesis of Vision
The expansion of human vision through the media has been a very basic theme from the past. The Toronto School’s assertions, including Marshall McLuhan’s ideas, were denied or re-configured by other media theories, but they have constructed the general paradigm about the understanding of media: through media, we overcome our bodily limitation and through our perception based on a single sense, we become cognizant of the mediated body as a multi-sensory corporeality. Yet the expanded vision through artificial eyes and mediated vision is very much based on an omnipresent vision. Beyond the humans’ existing categorizations based on our bodily limitations, the omnipresent eyes are made through a combination of different media characteristics. Thus, we become a god-like being by crossing different subject positions, and experience the view beyond a single frame. However, there emerges another view to be incorporated. This is a view of the ghostly being from the in-between-space that stems from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In this respect, the series A Man with a Flying Camera and I Will Drone You are works that present new perspectives to us. As a medium between the world and being, the figure of the ghost has an indeterminate positionality that is neither an omnipresent perspective nor a human-centered perspective that begins from the first person and ends in the third person; its position is somewhere in-between. Nonetheless, its presence is strongly impo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that is present everywhere. Thus, its view is characterized like the aerial view of a floating surveillance airplane, but it is never the controlling view of a surveillance camera. The ghost’s view always exists around us, but it is not directly linked to our world. Additionally, the view presupposes a certain distance and thus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existing binary system in which we think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frame is fixed, and the subject moves within it. However, the frame does not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In the work that employs the technique of aerial photography through drones, the organic floater continues its activity regardless of our movement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drone, which conceptually does not have a clear position but paradoxically attains determinate coordinates. However, fundamentally, we are approved as a being of expanded vision through a synthetic gaze that is beyond the binary frame between the human subject and the media. This is like a projection from a being that transcends us, but is not really different from us, which is like the position-height of a ghost.
서울시립미술관(Seoul Museum of Art. SeMA)은 2008년부터 역량있는 신진작가들에게 전시장 대관료, 홍보 및 인쇄비, 작품 재료비, 전시컨설팅 등을 지원해 왔습니다. 2016년부터는 유망기획자까지 지원의 폭을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역량 있는 신진미술인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서울 중구 덕수궁길 61
(대표번호)
02–2124–8800
, 02–120
(직원찾기) 직원 및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