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찬숙 (1977)
주요 개인전
2017 《Re-move》, 아트선재센터, 서울
2016 《Re move》, 그림미술관, 베를린
2015 《WE remember ME》, Meinblau Projectraum, 베를린
2015 《The Promised land》, 갤러리 Loop, 서울
2013 《90억가지 신의 이름》, 성곡미술관, 서울
2010 《Metamorphose》, 갤러리 쿤스트독, 서울
주요 단체전
2017 《DMZ 아루스에디션》, 덴마크 아루스 쿤스트탈 미술관, 아루스
2017 《No Limite》, UFPA 미술관, 벨렝
2017 《Never ending Song》, Meinblau Projektspace, 베를린
2017 《Dual-Use》, 국제미디어 페스티벌 트랜스미디알레 포어슈필, 논베를린, 베를린
2016 《공허한 빛의 파장》, 천대광 작품전 협업, 현대모터스튜디오, 서울
2016 《6》, 대구 강정 현대미술제, 대구
2015 《Links-Locality and Nomadism》, 갤럭시 현대 미술관, 사천
2014 《Dark Border》, 아시아현대미술플랫폼, 논베를린, 베를린
2014 《3 artist》, 주한 독일문화원, 베를린
2013 《Suspension》, ArtistDock at Galleryweekend, 베를린
2013 《Reality》, 경북도립미술관, 창원
2013 《Believe it or Not》, Gallery ACC, 바이마
2012 《DysTorpia》, International Mediaproject, 퀸스뮤제움 /로컬스페이스, 뉴욕
2012 《Come tu mi vuoi》, Gallery AMY D, 밀라노
2012 《NOT IN MY OUR BACKYARDS》, Schauwerk, 라이프치히 & Akademie Schloss Solitude, 슈투트가르트
2012 《The life is somewhere》, 갤러리 Kornerpark, 베를린
2011 《What happened to god》, Halle14, 라이프찌히
2011 《la vie en ge ne ral》, v-kunst, 갤러리 Greulich, 프랑크푸르트
2010 《과정을묻다》, 모란미술관 20주년 기획전, 경기
2010 《Circulation》, 현대미술 영상&설치전,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09 《Crossbreed 09》, 비엔나 국제 멀티미디어& 퍼포먼스 페스티벌, 비엔나
주요 인터미디어 프로젝트
2017 베를린성 훔볼트 포럼 미디어 파사드, 베를린
2017 베를린 아시아 태평양주간 10주년 기념 오프닝 미디어 퍼포먼스, 베를린
2017 서울스퀘어 미디어 파사드, 서울
2016 현대모터스튜디오 미디어 파사드 (천대광 개인전 협업작가), 서울
2013/14 국가 브랜드 공연 단테 <신곡>, 종합극, 영상, 국립극장, 서울
2011 페스티벌 <장> 남산예술센터 기획, <Privatecollection> 연출 및 영상, 문래예술공장, 서울
2011 <Blumenstaub> 리서치 프로젝트 (베를린시 NaFog 지원작)
2009 <세컨드슬립>, 라디알시스템, 베를린 (인터미디어 공연)
2008 <Wonder Women Teaparty>, Dock11, 베를린 (공동작업. 비디오(최찬숙), 무용(Yuko Caseeki), 퍼포먼스그룹 (De generation ensemble))
2007 <Leben oder Theater?> 유대인박물관, 베를린 (Joanne Glasel의 모노드라마)
기금 및 수상
2017 올해의 시각예술가 지원, Ilse Augustin Foundation, Stadt Museum, 베를린
2017 서울시립미술관 신진미술인 전시지원 프로그램
2017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서울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선정 작가
2017 UIA 세계건축대회 미래자율진화도시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
2015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국제예술교류부분 기금 선정
2015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융복합예술부분 지원작가 선정
2013 갤러리 Loop 신진작가 선정
2012 성곡미술관 내일의 작가상
201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실험적 예술 및 다양성 증진” 지원작가 선정
2011 HALLE14 e.V 펠로십 지원작가 선정, 라이프치히
2010 서울문화재단 NArT 지원작가 선정
2010 베를린시 Nafoeg 유망 신진작가 지원 선정
2008 Bibliartes & 베를린 페르가몬 박물관 주최 "Beyond Babel" 국제미디어아트 부분 대상
2007 Raum for Projektion “loop2007” 비디오아트 당선, 쾰른
2006 빌레펠트 필름연구소 "Digital Rembrandt" 비디오아트 부분 당선, 빌레펠트
레지던시 및 워크샵
2016 ACT 페스티벌, 헤테로토피아 인 아시아 국제포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2016 DMZ 양지리 레지던시, 사무소, 서울
2013 Transplatation 퍼블릭 디스커스 프로그램, ACB, 베를린
2012 Culturia 국제 레지던시 프로그램, 베를린
2011 Studio14: International Fellowship program, Hall 14, 라이프치히
2011 Rex Workshop 국제워크숍 (리사본, 브뤼셀, 라이프치히)
출판
2016 『I HAVE』, 아트북 ISBN 978-89-963389-8-7 93600
2016 『FOR GOTT EN』, 아트북ISBN 978-89-963389-8-7 93600
2016 『THE PROMISED LAND』, 아트북ISBN 978-89-963389-8-7 93600
2014 『독립예술공간의 문법, 베를린&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중심으로』 ISBN 978-3-86387-535-0
2007 논문 「미디어 표면 연구, 어반 미디어파사드」
2007 논문 「프로젝션을 통한 플라톤의 동굴이론과 체용론의 미디어 연구」 Folgen der Spur 228813/B0863 베를린예술대학교 도서관 소장
작품 소장
2017 국립현대미술관
2013 성곡미술관
CHAN SOOK CHOI (1977)
Selected Solo Exhibitions
2017 Re-move, Art Sonjae Center, Seoul
2016 Re move, Grimmmuseum, Berlin
2015 WE remember ME, Meinblau Berlin
2015 The Promised Land, Gallery Loop, Seoul
2013 The nine billion names of God, Sungkok Museum, Seoul
2010 Methamorphose, Gallery KunstDoc, Seoul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17 Real DMZ, Ahrus Edition, Ahrus Kunsthalmuseum, Ahrus
2017 No Limite, Museum of UFPA, Belem
2017 Focus Female Korea, Never ending song, Meinblau Projektraum, Berlin
2017 Dual-Use, Transmediale Vorspiel, NONBerlin, Berlin
2016 Void Color Space, Collaboration with Daegong Cheon’s solo exhibition, Hyundai Motors Studio, Seoul
2016 6, Gangjeon Contemporary art festival, Daegu
2015 Links-Locality and Nomadism, Galaxy Contemporary art museum, Chungqing
2014 Dark Border, Program by Kuture Projact Berlin, NON Berlin, Berlin
2014 3 artist, koreanische Kultur zentrum, Berlin
2013 Suspension, Berlin Art Week, Artistdock, Berlin
2013 Reality, Gyungnam Art Museum, Chang Won
2013 Believe it or Not, Gallery ACC, Weimar
2012 DysTorpia, International Media Project, Local project art space, New York
2012 Come tu mi vuoi, Gallery AMY D, Milano
2012 NOT IN MY OUR BACKYARDS, Schauwerk, Leipzig & Akademie Schloss Solitude, Stuttgart
2012 The life is somewhere, Gallery im Kornerpark, Berlin
2011 What happened to God? Halle14, Spinnerei, Leipzig
2011 la vie en general, v-kunst, Galerie Greulich, Frankfurt
2010 Reflection in Process, Museum Moran, Seoul
2010 Circulation, Daegu Art Center, Daegu
2009 Crossbreeds 09, Medienkunstfestival, Kunsthalle WUK, Wien
Intermediate Projects (Selected)
2017 “Ying Yang Su Wha” Mediafassade Humbolt forum, Berlinerpalas, Berlin
2017 Opening performance, Asia-Pacific Weeks Berlin 2017, Berlin
2017 Seoul Square Media Facade, Seoul
2016 The Calms light from the east, Collaboration with Daegong Cheon’s solo exhibition, Hyundai Motors Studio, Seoul
2013/14 LA DIVINA COMMEDIA di dante alighire, video design, National Theatre of Korea, Seoul
2011 Private Collection, intermedia theatre, video projection and Director, Mullae Art Center, Seoul (supported by Seoul Culture Foundation)
2011 “Blumenstaub” research project of Chan Sook Choi
(supported by Nachwuchsforderung des Landes Berlin (NaFoG) under the theme ”Women’s-Emigration” after the second World War between Korea and Japan. technical and scientific support from Koreaverband e.V. and Daniela Schmidtke)
2009 Second Sleep, Interaction between Dance, Music and Video Projection, Radialsystem, Berlin
2008 Wonder Women Teaparty, video installation with Yuko Kaseki and De generation ensemble, Dock11, Berlin
2007 Leben? Oder Theater?, Solo of Joanne Glasel about Charlotte Salomon as video projection, Ju?disches Museum, Berlin
Prizes & Fellowships
2017 Grant for Visual artist, Ilse Augustin Foundation, Stadtmuseum, Berlin
2017 Emerging Artists & Curators Supporting Program, Seoul Museum of Art, Seoul
2017 Seoul Square Media Facade Projection, Arts Council Korea, Seoul
2017 Won the Open Idea Competition for the Self-Evolving City of the Future, UIA, Seoul
2015 Grant for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Arts Council Korea, Seoul
2015 Grant for Multimedia projects, Arts Council Korea, Seoul
2013 New Rising Artist, Gallery LOOP, Seoul
2012 Artist for Tomorrow, Prize for Artist of the Year, Sungkok Art Museum, Seoul
2012 Increasing Diversity of Experimental Art Sponsorship, Arts Council Korea, Seoul
2011 Studio14, International Fellowship of Halle 14 e.V, Leipzig
2010 “NArT” Promotion for Young-talented-artists, Seoul Art Foundation, Seoul
2010 NaFog Scholarship, Landesgraduiertenforderung des Senats, Berlin
2008 1st Prize “Beyond Babel”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New Media, Bibliartes
2007 Grant for “loop2007” Raum fur Projektion, Koln
2006 Grant for visual artists, “Digital Rembrandt” Filminstitut, Bielefeld
Residencies & Workshops
2016 ACT media festival 2016, Asia Culture Center, Gwangju
2016 Real DMZ Yangji-ri Residency, Samuso, Seoul
2013 “Overcoming the Territorial” Artistic knowledge transfer, performative lectures and speech acts, Arts Club Berlin, Berlin
2012 Culturia, International Artist in Residency, Berlin
2011 Studio14, International Residency Program of Halle 14 e.V, Leipzig
2011 Rex Workshop, International Artist-exchanging workshop, Lisabbon, Brussel, Leipzig(supported by Allianz Culture Foundation)
Publications
2016 I HAVE, Artbook, ISBN 978-89-963389-8-7 93600
2016 FOR GOTT EN, ISBN 978-89-963389-8-7 93600
2016 THE PROMISED LAND ISBN 978-89-963389-8-7 93600
2014 The Grammar of independent art scene Berlin/Seoul, ISBN 978-3-86387-535-0
2007 Diplom Thesis "About Surface on Mediafassade and Urban Media"
2007 Diplom Arbeit “A Study on the Mediations of Platon’s Cave Theory and Theoretical Methodologists through Projection” Folgen der Spur 228813/B0863 University of arts Berlin
Collections
2017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13 Sungkok Art Museum, Seoul
Re-move
최재원 (독립큐레이터, 고등과학원KIAS 초학제연구단 펠로우)
나를 창문으로, 그 그림의 영상으로, 올려주세요,
암석의 무게에 매여 있는 밧줄들을 풀어주세요.
- 차학경, 딕테(Dictee)
“사람들은 대부분 타인이다”라는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의 말처럼 《'리-무브Re-move'》전시는 독보적인 정체성이라는 환영을 유지하지 않으며‘순수한’ 문화라는 개념을 해체하고 혼성화(hybridization)하고 있다. 최찬숙 작가가 다시 도착하는 그 장소에서 다루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해방 직전 일본에 파견된 조선인 노동자와 일본에서 결혼하고 한국으로 이주해 온 일본인 친할머니, 그리고 한반도 비무장지대(DMZ)의 민북마을로 이주한 ‘양지리’ 할머니 등은 지배적인 정체성의 마력에 호소하는 형식과 거리를 취하지만, 동시에 ‘피해자로서’ 선동되는 집단의 정체성 또한 거부하고 있다. 에두아르드 글리상(Edouard Glissant)은 카리브의 흑인 노예들의 ‘흑인성’을 보편성으로 연결하는 ‘우회(le Retour)’에 대해 설명하며 ‘다른 곳에 가서야 자신들의 차이를 각성하기, 그리하여 다시 떠나기-돌아오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다.
“우리는 그 장소로 돌아가야 한다. 우회는 다시 귀환을 통해 이곳을 수태시키는 한에서만 유용한 전략이다. 기원의 꿈을 향한, 존재의 불변하는 동일자를 향한 회귀가 아니라 어쩔 수 없이 등을 돌려야 했던 착잡한 뒤얽힘의 지점으로의 귀환. 바로 이곳에서 마침내 관계의 구성 요소들을 구현하거나 아니면 사라지거나.”
최찬숙의 ‘재이주Re-move’는 정체성이라는, 운명이라는 환영의 단일성을 버리는(remove) 동시에 정체성이라는, 운명이라는 환영 속에서 유지되는세계의 갈등과 만행들을 인식론적인 방편이 아닌, 예술적 연구(Artistic Research)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그녀는 거대서사(HIS-story)에서 말소(removed)되거나 지반을 잃은 여성들을 통해 계급, 젠더, 직업, 언어, 정치, 도덕 등 인간이 가진 다른 정체성들과 가치가 무시되고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과연 종교나 문화, 국적에 따라 독보적으로 범주화할 수 있는 정체성이라는 추정은 유효한 것인가?
(번역: 황선혜)
Re-move
Jaewon Chey (Independent Curator, Visiting Research Fellow of Transdisciplinary Program, KIAS)
Lift me to the window to the picture image
Unleash the ropes tide weights of stones.
- Theresa Hak Kyung Cha, Dictee
Like Oscar Wilde’s statement “Most people are other people”, the project Re-move does not keep a welcoming stance on a matchless identity, but deconstructs and hybridizes the concept of the ‘pure’ culture. The comfort women to Japanese soldiers, Choi’s Japanese grandmother who married a Korean laborer dispatched to Japan just befor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and moved back to Korea, and the grandmothers of ‘Yangji-ri’ who migrated to the DMZ town ― whom we encounter precisely where Chan Sook Choi returns ― keep their distance from a form that appeals to the power of the dominant identity, while also rejecting the collective identity as ‘victims’. In explaining ‘Retour’ in relation to the universality of the ‘blackness’ of the Caribbean black slaves, Edouard Glissant said the following about the idea of ‘awakening themselves of their differences in a different place, and thus leaving-returning again’:
“We must return there. There is no detour without retour (return). It’s not about a return to the unchanging identity of a being towards original dream, but a return to the point of entanglement, from which we were forcefully turned away; that is where we must ultimately put to work the forces of creolization, or perish.”
While removing the illusory unity of identity, or fate, Choi’s ‘Re-move’ also demonstrates the world’s conflicts and brutality perpetuated by the illusion of identity or fate, not through epistemological means but through artistic research. By focusing on women who have lost their grounds or have been removed in HIS-story, it attempts to show how other identities and values pertaining to human kind, such as class, gender, occupation, language, politics and ethics, are being disregarded. The project ultimately asks the question whether there is any validity in the assumption that identity can be uniquely categorized by religion, culture and nationality.
(translated by Sunhye Hwang)
서울시립미술관(Seoul Museum of Art. SeMA)은 2008년부터 역량있는 신진작가들에게 전시장 대관료, 홍보 및 인쇄비, 작품 재료비, 전시컨설팅 등을 지원해 왔습니다. 2016년부터는 유망기획자까지 지원의 폭을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역량 있는 신진미술인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서울 중구 덕수궁길 61
(대표번호)
02–2124–8800
, 02–120
(직원찾기) 직원 및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