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졸업 (서울, 한국)
2014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대학원 졸업 (서울, 한국)
개인전
2012 <금호 영아티스트전: Launch Pad>, (금호 미술관, 서울, 한국)
2011 , (쿤스트독, 서울, 한국)
2008 김과현씨, , (호기심 갤러리 ,서울, 한국)
주요기획전
2014 김과현씨, ,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한국)
2014 김과현씨, <같은 달 아래>, (서울시청 시티갤러리, 서울, 한국)
2014 <미술과 이상: 현대미술, 이상을 담다>,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서울, 한국)
2014 <2013 플렛폼 아티스트>,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
2013 <대구 미디어아트 ZKM: 우주보다 더 좋은>, (대구예술공장, 대구, 한국)
2013 <경기아트프로젝트: 기계 생명을 꿈꾸다>, (경기도 미술관, 안산, 한국)
2013 <헤이리 슬로우 아트: 달리는 시대>, (논밭예술학교, 파주, 한국)
2013 <2013 플랫폼 액세스>, (인천아트플랫폼, 인천, 한국)
2012 <서울국제미디어아트 비엔날레 ‘Spell on You'>, (DMC홍보관, 서울, 한국)
2012 <난지아트쇼Ⅲ: 서울 해부도>,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난지 갤러리, 서울, 한국)
2011 <이 도시의 사회학적 상상력>, (금천예술공장 PS333, 서울, 한국)
2010 <서울시 창작공간 페스티벌>, (여의도 한강공원, 서울, 한국)
2010 김과현씨 , (KT&G 상상마당, 서울, 한국)
2009 김과현씨, <미술관 봄 나들이 ‘미술관 습격 사건’>,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 한국)
2009 김과현씨, , (쌈지스페이스, 서울, 한국)
2009 김과현씨, , (사비나미술관, 서울, 한국)
2009 김과현씨, <서교육십 2009 ‘인정게임’>, (KT&G 상상마당, 서울, 한국)
2009 , (연희동프로젝트, 서울, 한국)
2008 <청계천예술축제 ‘청계천, 꿈에 물들다’>, (청계천, 서울, 한국)
2008 김과현씨, <신진작가展 ‘내일을 향해 쏴라’>, (충정각, 서울, 한국) 외 다수
수상
2011 금호 영아티스트 (금호미술관, 서울, 한국)
레지던시
2013~2014 인천아트플랫폼 (인천문화재단, 인천, 한국)
2011~2012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
2010~2011 금천예술공장 (서울문화재단, 서울, 한국)
Kim, Wonhwa
1980. 1. 24. born in Seoul
Education
2008 B.F.A.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
2014 M.F.A.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Fine art
Solo Exhibition
2012 Kumho Young Artist 'Launch pad', Kumho Museum, Seoul
2011 Priapism, Kunst Doc, Seoul
2008 Kim&Hyun, BANANA TASTED MILK, Curiosity gallery, Seoul
Group Exhibition
2014 Kim&Hyun, Super Romantics, Daegu Art Factory, Deagu
2014 Kim&Hyun, Under the Same Moon, Seoul City Hall City Gallery, Seoul
2014 Art and Ideals: Pursuit of Ideal in Contemporary Art,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Seoul
2014 2013 Platform Artists, Incheon Art Platform, Incheon
2013 Daegu Media Art ZKM ‘Better Than Universe’, Daegu Art Factory, Deagu
2013 ‘Machine, Dreaming of Life’,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Ansan
2013 Heyri Slow Art ‘The Age of Running’, Farming Art School, Heyri
2013 Platform Access, Inchon Art Platform, Inchon
2012 The 7th international Media Art Biennale ‘Spell on you’, DMC Gallery, seoul
2012 Nanji Art Show Ⅲ 'Seoul Anatomy'、Nanji Gallery, Seoul
2011 Trans-,Trans-,Transition : Detours to Paju city, Makeshop art space, Paju
2011 The Sociological Imagination of the City, Seoul Art Space Geumcheon, Seoul
2010 Kim&Hyun, Bibliotheque, KT&G Sangsang Madang, Seoul
2009 Going up 30, Yeonhee-dong project, Seoul
2009 Kim&Hyun, Double Act, Sabina Arts Museum, Seoul
2009 Kim&Hyun, Arts Museum Spring trip ‘Arts Museum Attack Incident’,Seoul Museum of Art, Seoul
2009 Kim&Hyun, Seogyo Sixty 2009 ‘The game for respect’, KT&G Sangsang Madang, Seoul
2009 Kim&Hyun, EMERGING 9, Ssamzie space, Seoul
2008 Kim&Hyun, Time and Space as the Object, Seoul National Nuniversity Woosuk hall, Seoul
2008 Kim&Hyun, OPEN STUDIO, Seoul National Nuniversity Woosuk hall, Seoul
2008 Kim&Hyun, Rising writer‘Shooting for tomorrow’, Chungjeonggak, Seoul
2008 The Cheonggye stream Arts festival ‘The Cheonggye stream, be dyed in dream', The Cheonggye stream, Seoul
2008 Shift to Third Space,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he Arts, Seoul
2008 animation : motion / emotion 展, Barome gallery, Seoul
Residency
2013 Inchon Art Platform 4th residence program, Inchon
2012 Nanji Residency 6th residence program, Seoul
2010 Geumcheon Arts factory 2nd residence program, Seoul
현재에서 시도된 미래,
라디오키트 세대의 유토피아적 기술-세계 파괴하기:
작가 김원화
유원준
매체미학, 앨리스온 디렉터
1. 라디오키트 세대와 기술 낭만주의
과거, 낭만주의 혹은 관념론적 입장을 지닌 작가들은 산업자본주의의 착취적이고 비인간적인 결과를 과학의 합리성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과학, 기술을 모든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열쇠로, 사회를 발전시키는 주요한동인으로 인식했기 때문에 그 사회에 속한 인간의 고유한 성격 자체도 변화한다는 이유에서이다. 그러나 과학기술 만능주의까지는 아니더라도, 과학-기술적 진보는 우리들에게 미래에 관한 유토피아적 이상을 꿈꾸게 만드는 힘을 지닌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있어 과학 기술의 적극적 행보는 자연스럽게 유토피아적 미래를 꿈꾸게 만들고, 그러한 세계의 주인공으로서의 자아를 설정케 한다. 만약, 일본에 오사카 만국박람회를 기점으로 형성된 ‘마징가Z’ 세대가 있었다면, 우리에게도 과학상자와 라디오키트로 대변되는 80년대의 ‘라디오키트’ 세대가 존재한다. 비록, 그러한 세대의 경험이 해당 국가가 지닌 개발(도상)국으로서의 목표와 이상을 현재화했던 정책상의 이유였다 하더라도 말이다.
김원화는 유년 시절, 과학상자 조립을 좋아하던 앞서 언급한 과학상자-라디오키트 세대로 볼 수 있다. 그에게 있어 당시의 기억은 현재에도 그의 작업성향을 이해하는 주요한 키워드가 된다. 왜냐하면, 그의 작품에서 국가의 정책적 차원에서 진행된 개발 사업과 조립과 해체로 상징되는 과학 상자로의 호기심적 차원이 밀접하게 연결되기 때문이다. 그는 마치 장난감을 조립하듯 사회의 모순을 드러내는 장치들을 만들어낸다. 물론, 이렇게 만들어진 장치의 기능은 기존 장난감들과는 사뭇 다르다. 그는 자신이 만들어내는 장치들이 장난감에서 기대되는 특정 기능을 목표로 제작되지는 않기 때문에, 현실성을 전제한 예술 영역에서 작업을 진행한다고 말한다. 작가의 언급처럼 예술에 있어서 현실 인식은 무척이나 중요하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이러한 시점으로부터 생성된 현실은 예술의 근본적 출발점이자 주요한 내용적 원천으로 체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무리 추상적 흐름의 작업 일지라도 해당 시대의 현실적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은 물론이고 이를 해석하는 이들조차 이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카시러(Ernst Cassirer)는 하나의 인식형식으로서 ‘상징형식’의 개념을 설정하고, ‘상징’ 개념을 통하여 인간문화의 일반적인 현상들에 대한 철학체계를 수립하고자 시도하였다. 그는 “다른 모든 상징형식처럼 예술도 단지 기존의, 주어진 현실의 재생이 아니다. 그것은 사물과 인간생활에 대한 객관적 견해에 이르게 하는 여러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라고 언급하며 예술이 현실에 관한 인식작용을 도울 뿐만 아니라 사물의 존재와 본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보자면, 김원화의 작업은 우리의 현실에 관한 통찰력 있는 인식의 기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현실의 문제를 가상의 차원과 연결시켜 자칫 묵과될 수 있는 잠재적 현실을 가시화한다.
2. 상징과 우의, 바나나맛 우유와 개발도상국
2007부터 2010년까지 진행된 <바나나맛 우유 시리즈>는 ‘바나나 맛 우유’의 형상을 이용하여 70~80년대 한국의 개발상을 조명하는 작품이다. 현창민 작가와의 공동 작업으로 진행된 이 시리즈는 바나나 우유의 외형으로 만들어진 오브제가 5가지의 상이한 형태로 변신하는 작품이다. (공격용) 헬기와 불도저, 장군 로봇과 탱크, 마지막으로 시위진압용 차량 이라는 변신체들은 명확하게 한국 근현대사의 치부를 드러낸다. 근대화와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포장된 당시의 가혹한 상황이 마치 실제 과일이 들어있지 않은 채, 과일의 맛만
제공하여 인기를 끈 과일 음료처럼 달콤하게 제시된다.
“<바나나 맛 우유 시리즈>는 한국의 개발시대가 내포하고 있는 ‘달콤한 추억’과 ‘비극적 폭력성’을, 바나나 맛 우유와 야쿠르트를 사용하여 만든 일종의 우화이다. 서구인 못지않은 한국인을 만들기 위해 우유급식을 시행했으나 유당을 분해하지 못하는 대부분의 한국인을 위해 만들어진 ‘향우유’, 여러 가지 향중에서도 당시엔 너무나 비싸서 쉽게 먹을 수 없었던 과일인 바나나의 향을 첨가한 바나나 맛 우유는 한국의 급속한 근대화의 여러 모습들을 상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소재이다.”
- 김과현씨(김원화, 현창민) 작가 노트에서 발췌
사회상을 조명하고 분석하려는 작가의 시도는 이후의 작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각각 2009년과 2010년부터 진행된 와 가 그것인데, 앞서의 <바나나 맛 우유> 시리즈가 70~80년대의 한국 상황에 관한 조명이라면, 이후의 작업들은 성장기를 거쳐 안정기로 접어든 한국 사회의 모습을 분석한다. 대한민국은 이른바 ‘개발도상국(Developing Country)’으로 분류되어 국가의 근본적 구조 및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로부터 성장을 꾀하는 흐름을 반복해 왔다. 현재 대한민국은 개도국을 벗어나 성장이 완료된 국가로 분류되기에 이르렀지만, 섣불리 ‘선진국(Developed Country)’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힘든, 급격한 성장과 개발에 의한 성장통을 겪는 국가로서 인식된다. 는 말 그대로 ‘지속가능한 세계’를 의미하는데, 이는 현재 한국이 처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시대’를 유비하는 제목으로서 개발에 의해 국가의 발전이 담보되거나 유지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드러낸다. 김원화의 작업은 현실과 가상이라는 존재의 두 가지 방식을 적절히 이용한다. 분명 현실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작품의 전반적인 요소들이 등장하지만, 그러한 현실적 요소를 제시하는 방식이 무척이나 가상적이다. 예를 들어, 5가지의 변신체를 지닌 바나나맛 우유는 그 자체로 추억의 단편을 엿보는 듯한 달콤함을 선사하는 현실적 오브제이지만, 그 속에는 근대사에 함몰되어 버린 아픈 기억이 가상적으로 깃들어있으며, 이러한 기억은 또 다시 매우 현실적인 외형을 지닌 변신체의 모습으로 구체화된다. 또한, 는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의 세계를 통해 우리의 과거와 현재를 들여다보게 만든다. 이 작품은 이순신 동상으로 대변되는 현실의 상징체를 넘어 금속적 표면을 지닌 가상의 세계를 유영하는 구조로 제작되어 있는데, 이 작품에서는 본격적으로 가상의 세계로부터 현실적 문제들을 우의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의 구체적 상징체이자 부속물격인 는 새로운 동력을 찾아 제 2의 성장을 이루려는 국가적 열망을 증기를 내뿜으며 피스톤 운동을 하는 엔진-기계 장치로 치환한다.
3. 가상과 현실의 교차점, 우주발사체
만일, 작가가 제시하는 가상-현실의 연결된 세계관을 엿보게 하는 단초가 에서 제시되었다면, 현재 진행하고 있는 에서는 이러한 관점이 더욱 더 극적인 형태로 드러난다. 시리즈는 초고층 빌딩을 우주발사체(Space Launch Vehicle)로 비유하여 한국의 현재와 미래상을 조명하는 일련의 작품 군이다. 초고층 빌딩이라는 경제 성장의 지표가 우주를 향한 염원의 상징, 즉 우주발사체의 모습과 결합되어 과학 기술에 의해 제시될 수 있는, 그러나 아직 다가오지 않은 미래의모습을 조망케 한다.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발사체의 외형과 이것의 기반이 되는 배경에서 최근까지도 불거졌던 국내 현실의 모순적 상황이 그대로 포착된다는 점이다. 가령, 상암동 DMC(Digital Media City) 지구를 배경으로 하는 <우주발사체 DMC>를 살펴보면, 실제 서울시 상암동 DMC 지구에 들어설계획을 가지고 있었던 ‘라이트타워(지하9층, 지상133층(최고높이 640m),연면적 724,675m2)’의 외형 이 우주발사체의 구조물로 변형되는 동시에 상암동에 우주센터 전망대가 설치된다는 가상적 스토리가 근간을 이룬다. 예컨대 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배경은 현실적 상황 그 자체이지만, 현실의 모순을드러내기 위한 장치로서 가상적 속성이 덧씌워지는 셈이다.
그러나 현실이 지닌 모순적 상황은 작가가 창조한 가상적 환경 속에서 위트있게 제시된다. 구글 어스와 SNS가 결합된 형태의 작품 속 가상공간은 마치게임과 같은 3D 그래픽 환경으로 구현되어 있다. 관객들은 게임기의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발사체를 둘러싼 주변 지역의 이야기들을 엿볼 수 있는데, 여기서 작가가 감추어놓은 현실 풍자적 요소가 드러나게 된다. 가상의 발사체이지만 작품의 곳곳에서 현실적 수치로 구성된 분석 화면들을 찾아볼 수 있으며 지역 주민들의 기대치가 고조되는 장면 등이 펼쳐진다. 특히 발사를 앞둔 우주센터 전망대에서의 희망에 가득 찬 주민들의 포스팅은 미래에 대한 우리의 기대를 드러내는 듯 하지만, 실제로는 좌절된 초고층 빌딩의 어두운 현실을 오버랩시키는 역할 또한 수행하기 때문에, 쓴웃음을 짓게 만드는 블랙 코미디적 상황이 연출된다. 물론, 이러한 구성은 작가가 만들어놓은 가상 세계속의 이야기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상 세계를 단순한 허구적 세계로만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우리에게 주어진 현실의 문제들은 작가가 제시하는 가상 세계에 관한 충실한 참고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가상을 현실의 또 다른 존재 방식으로 보자면, 작가의 가상은 현실과 밀접하게 연동되는 증강 현실적 차원으로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우리의 현실이 꿈꾸는 유토피아적 미래상에 대한 반성적 사유로서 기능한다.
Future, Attempted by Present
Radio Kit Generation Destroying Utopian Technology-World :
Artist KIM Won-hwa
YOO Won-joon
Art Critic, Director / AliceOn
1. Radio Kit Generation and Technoromanticism
In the past, artists in romanticism or idealism stand argued that industrial capitalism’s exploitative and inhuman results were produced by scientific rationality. Considering science and technology as fundamental keys to solve every social problem as well as main drivers of social development, they insisted the members of the society are also going through a change of their inherent nature. Although hardly the almighty science-technology principle, science-technological progress definitely has the power making us dream about utopian ideals for the future. Especially, the youth in the period of growth who are exposed to scientific technology’s active stride naturally dream of utopian future and identify themselves as main characters of the world like that. If we’re allowed to say there was a ‘Mazinger Z’ generation in Japan appeared with the opening of the 1970 Japan World Exposition, we can say we have a ‘radio kit’ generation of the 80’s represented with the science box and radio kit. Even though their experiences were caused by the country that tried to realize a developing country’s goals and ideals.
KIM Wonhwa can be defined as science box-radio kit generation in Korea, as mentioned earlier, who loved to assemble the science box in his early days. His memory in those days is a significant keyword to understand the disposition of his works. Because, in his works, development projects carried on at national policy level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level of individual curiosity represented with the science box which symbolized in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As if he constructs a toy, he creates installations revealing contradictions of the society. Of course, these installations’ function is quite different with other toys. He says he produces his works in the field of art premising reality because his installations are not made for certain functions expected from ordinary toys. Like he mentioned, gripping on reality is very important to the art. Because the reality generated by the past and the present is a fundamental starting point of the art and embodied as major source of the contents. Therefore, however abstract the work could be, it surely connotes realistic problems of the era and its interpreters can’t be free from them. Ernst Cassirer once set up the concept of ‘symbolic form’ as one kind of perception form and tried establish a philosophical system about general phenomena of human culture with the concept of ‘symbol’. As he stated “like all the other symbolic forms, art is not the mere reproduction of ready-made, given reality, but one of the ways leading to a more realistic view of things and of human life.”, he argued that art is not only helping us to be aware of the reality but also offering insight about things’ existence and their nature. With this point of view, KIM’s works can be seen as not just providing the base of insightful perception about our reality but also visualizing potential reality that could be overlooked in a moment by connecting problems of the reality to virtual sphere.
2. Symbol and Allegory, Banana Tasted Milk and Developing Country
lasted from 2007 to 2010 used the shape of ‘Banana Tasted Milk’ to cast light upon the figure of Korean development in 70s and 80s. Co-worked with the artist HYUN Chang-min, this series presented transformation of a banana tasted milk case-shaped objet into five different forms. An (attack) helicopter, a bulldozer, a general robot, a tankand a riot vehicle, these transformed objets obviously reveal the embarrassing part of Korean modern history. The severe situation of the time wrapped with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is sweetly presented like a famous fruit juice which provides the fruit flavor only with no real fruit in it.
is a sort of allegory using banana tasted milk and yoghurt to tell about ‘sweet memory’ and ‘tragic violence’ that Korea’s development era connotes. To make Koreans westernized, the government carried out provision of milk, but because of most Koreans’ lactose intolerance, flavored milk was invented. Since banana was too expensive to buy at that time, the milk with banana flavor among many kinds of flavored milk is the most appropriate material to symbolically show many sides of rapid modernization of Korea.
- From the note of KIM & HYUN(KIM Wonhwa, HYUN Changmin)
His attempt to illuminate and analyze the society becomes more concrete in his later works. While the series is illuminating 70-80s situations in Korea, his later works in 2009 and in 2010 analyze Korean society which had gone through the growth period and now in stability. Since Republic of Korea was classified as a ‘developing country’, Korea had repeated establishing fundamental structures and systems of the nation and, based on them, attempted to develop the country. Currently, Korea has reached to be classified as a completely grown country out of developing status, but it is hard to use the term ‘developed country’ rashly, because the country has been suffering from growing pains caused by rapid growth and development. The title literally means ‘the sustainable world’ and it infers ‘the era of sustainable growth’ that Korea is currently facing and reveals the ironic situation in which development holds the country’s growth as security or maintain it at the same time. KIM’s work properly uses two different existences, reality and virtual reality. Most elements of the work are based on perception of the reality, but its way to present these realistic elements is quite imaginary. For example, the banana tasted milk with five different transformed bodies in itself is a realistic objet providing sweetness of memory.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re are bitter memories hypothetically entombed in modern history and the memory again becomes embodied in transformed bodies having realistic appearance. Also, urges us to look into our past and present through a virtual world created with computer graphics. The work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navigates the virtual world having metal surface beyond an embodied symbol of the reality representing the statue of the admiral LEE Sun-shin. And in this work he started fully using allegory to present problems of the reality out of the virtual world. For example, ’s embodied symbol as well as an appendage is substituted with an engine-machine device looking for new power in piston movement emitting steam of national desire for the second growth.
3. Intersection of Virtual Reality and Reality, Space Launch Vehicle
While suggested the artist’s world view which connects virtual reality and reality, his current project shows this point of view in more dramatic form. The is a series of works illuminating the present of Korea and its future by comparing a super highrise building to a space launch vehicle. This super high-rise building, the indicator of economic growth, is combined with a symbol of desire for the universe, that is, space launch vehicle, to cast light upon the future, which is yet to come, that can be suggested by scientific technology.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 vehicle’s appearance and the background it’s based on show an ironic situation taken place till quite recently. For instance, in the case of with Sangam-dong DMC(Digital Media City) in the background, the Light Tower(with 9 underground floors and 133 stories(640 meters tall at the most), and a gross floor area of 724,675 square metre) which was planned to be built on the Sangam-dong DMC site can transform its appearance into a space launch vehicle while a space center observatory is established at the same time. This imaginary story is the foundation of the work. That is, the background for production of the work is a realistic situation itself and a device wears a hypothetical attribute in order to reveal contradictions of the reality.
The ironic situation of the reality is wittily presented in virtual circumstances created by the artist. The virtual space in the work is a combination of Google Earth and SNS realized in 3D graphics just like a game. The audience can use a controller to see stories in the vicinity of the area surrounding the vehicle and here satiric elements are exposed the artist hid earlier. Although it is an imaginary vehicle, there are analyses filled with realistic figures found in various parts within the work and the screen shows local residents’ increasing expectations. Especially, having the launch event ahead, residents show their hope on their postings and this seems to reveal our own expectations for the future. But in fact, it also plays a role overlapping dark reality of the failed super high-rise building, therefore, a black-comedy-like situation is on making us have a wry smile. Of course, this organization is a story in the virtual world made by the artist. But this virtual world is not just a fictional world. Because every problem of the reality given to us become loyal references to the virtual world in the artist’s work. Considering the virtual world as another way of existence, the artist’s virtual world moves up to the augmented reality sphere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the reality and functions as reflective thinking about utopian future our reality has dreamed about.
서울시립미술관(Seoul Museum of Art. SeMA)은 2008년부터 역량있는 신진작가들에게 전시장 대관료, 홍보 및 인쇄비, 작품 재료비, 전시컨설팅 등을 지원해 왔습니다. 2016년부터는 유망기획자까지 지원의 폭을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역량 있는 신진미술인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서울 중구 덕수궁길 61
(대표번호)
02–2124–8800
, 02–120
(직원찾기) 직원 및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