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진 Sangjin Kim
학력
2015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예술공학 박사과정 재학중
2013 골드스미스 순수미술학과 석사 졸업
2010 서울대학교 조소과 학부 졸업
개인전
2014 <Phantom Sign>, 대안공간 루프, 서울
2013 <Landscape: Chicken or Egg>, 금호미술관, 서울
2011 <Ingredients>, 갤러리 민, 서울
그룹전
2016 <The 4th 아마도 애뉴얼날레_목하진행중>, 아마도 예술공간, 서울
2016 <직지코리아 Golden Seed>, 청주 예술의전당, 청주
2016 <불확실성, 연결과 공존>, 수원 시립 아이파크 미술관(SIMA), 수원
2015 <주목 할 만한 시선>, 금호미술관, 서울
2015 <Robot Essay>,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15 <Into Thin Air>, 금호미술관, 서울
2015 <Rain Doesn’t Fall For Nothing>, New Creative Industries Centre, Kingston College, 런던
2015 <The Brilliant Art Project 3 _ DREAM SOCIETY : Originability>, 서울미술관, 서울
2015 <Hello! Artist>, Arario Museum - 탑동바이크샵, 제주
2014 <Duft der Zeit>, 금호미술관, 서울
2014 <Dreaming Machines>, 4th Moscow International Biennale for Young Art, NCCA, 모스크바
2013 <Location of Reality>, 한미갤러리_2013 London Art Fair/Art Projects, Business Design Centre, 런던
2012 <Situated Senses 02 : 30cm of obscurity>, The Old Police Station, 런던
2012 <Phobia>, 한미갤러리, 런던
2010 <Instant, Unknown, Uncontrolled, Unacclaimed>, KOSA SPACE, 서울
2009 <설화문화전>, KRING, 서울
2007 <Hello chelsea 2007>, PS 35 갤러리, 35 FINE ART, 뉴욕
수상, 선정 및 입주 작가 프로그램
2016 신진미술인 전시지원 프로그램, 서울시립미술관
2013 금호 창작스튜디오 9기 입주작가
2013 대안공간 루프 신진작가, 대안공간 루프
2013 금호 영아티스트, 금호미술관
2013 The Telegraph_London Art Fair: Art Projects the ten best bits
2007 Hello chelsea 2007, 50 emerging artists, 35 FINE ART
Education
2013 MFA Fine Art, Goldsmiths, University of London
2010 BFA Sculpture, College of Fine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Solo Show & Project
2016 <Control beyond control>, Art Platform out_site, Seoul
2014 <Phantom Sign>, Alt Space Loop, Seoul
2013 <Landscape: Chicken or Egg>, Kumho Museum, Seoul
2011 <Ingredients>, Gallery Min, Seoul
Group Show & Project
2016 <4th Amado Annualnale_목하진행중>, Amado Art Space / lab , Seoul
2016 <Jikji Korea ‘Golden Seed’>, Cheongju Arts Center, Cheongju
2016 <Uncertainty, Connection and Coexistence>, Suwon IPARK Museum of Art (SIMA), Suwon
2015 <Un Certain Regard>, Kumho Museum, Seoul
2015 <Robot Essay>,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15 <Into Thin Air>, Kumho Museum, Seoul
2015 <Rain Doesn’t Fall For Nothing>, New Creative Industries Centre, Kingston College, London
2015 <The Brilliant Art Project 3 _ DREAM SOCIETY : Originability>, Seoul Museum, Seoul
2015 <Hello! Artist>, Arario Museum - Tapdong Bikeshop, Jeju
2014 <Dreaming Machines>, 4th Moscow International Biennale for Young Art, NCCA, Moscow
2014 <Duft der Zeit>, Kumho Museum, Seoul
2013 <Location of Reality>, Hanmi Gallery_London Art Fair / Art Projects, Business Design Centre, London
2012 <Situated Senses 02 : 30cm of obscurity>, The Old Police Station, London
2012 <Phobia>, Hanmi Gallery, London
2010 <Instant, Unknown, Uncontrolled, Unacclaimed>, KOSA SPACE, Seoul
2009 <Sul Hwa culture and art exhibition>, KRING, Seoul
2007 <Hello chelsea 2007>, PS 35 Gallery NY, 35 FINE ART, New York
Awards, Grants & Residency
2016 Emerging Artists & Curators Supporting Program, Seoul Museum of Art, S. Korea
2013 The Telegraph_London Art Fair: Art Projects the ten best bits - Link, UK
2013 Kumho Young Artists 2013, Kumho Museum, S. Korea
2013 Alternative Space Loop Young emerging Artists 2013, Alt Space Loop, S. Korea
2013 Kumho Art Studio, 9th Resident Artist, Kumho Art Studio, S. Korea
2007 Hello chelsea 2007, 50 emerging artists, 35 FINE ART, New York
원본없는 사본들
- 김상진(작가)
현재의 디지털 시대에 어쩌면 더이상 어떤 원본들은 사본 보다 가치있는 물건이 아닐지도 모르겠다. 아날로그 시대의 복제행위에 수반되던 손실적 혹은 변형적 특징은 오랜 기간 사본에 대하여 원본이 가지게 되는 가치적 우월성을 확정하는 근거가 되어왔다. 하지만 디지털 시대에 들어와 원본과 사본간의 이러한 가치의 위계는 의심받기 시작하였는데 그것은 원본과 동일한 사본제작능력의 등장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분명 어떤 디지털 자료들은 그 태생부터 디지털에서 태어나 그 스스로의 정보의 유실없는 복제를 반복한다. 이것은 수많은 원본의 존재 가능성과 원본없는 사본의 존재가능성에 관한 이야기일 것이다.
이러한 존재가능성은 분명 과거로부터 끊임없이 이어져왔을 것이다. 일정한 품질로 대량생산되어지는 가공품들과발터 벤야민이 기계적 재생산시대의 예술(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에서 언급한 필름의 원본해체성 또한 그것이 도드라지기 시작할 무렵의 가능성일 것이다. 하지만 오늘의 디지털 복제 기술에서 원본의 아우라(협의적으로 ‘ 권리’)는 제도적(프로그램적)규제에 의해서만 지켜질 수 있는 특성을 보여준다. 즉, 적어도 디지털 세계안에서는 열화없는 동일한 원본의 무한한 생산이 가능한 것이다 (하드디스크에 빈공간이 넉넉하다면). 이 것은 아날로그적 복제행위(대량생산시대의 상품들)와 같은 뿌리를 둔 대중의 소유욕에서 출발되겠지만 원본의 개념이 사라진 사본들(혹은 원본들)은 그 소유욕이 그리워한 대상을 달리하게 된다.
분명 여전히 오늘의 현실은 디지털이 아닌 아날로그의 세계 즉, 물리적, 화학적 영향의 아래에 있는 세계로 존재하며 이 마법같은 모순 혹은 혁명 (원본과 사본의 경계가 사라지는)이 벌어지고 있는 디지털세계도 결국 현실의 일부에 편입되어져 있다 (당신이 버리고 싶은 디지털 세계가 있다면 방법은 간단하다. 하드디스크를 파쇄하라). 그것은 디지털 세계가 그저 아날로그적 프레임 위에 그려진 인간의 꿈이기 때문인 걸까? 하지만 수많은 영상과 사진, 소리들은 디지털 세계를 떠돌고 있으며 이 아날로그적 현실의 일부로 아교처럼 스며들어와 현실보다 현실같은 혹은 이미 현실로서 곳곳에 배치되고 있다.
누실되는 법을 잃어버린 그것들은 언어(기호체계)가 만들어낸 등가 시스템의 유령과도 같다. 그리고 그 유령들은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재현을 위한 또 다른 언어로 규격화 되어진다. 결국 그것들을 구성하는 것은 모두 언어이다. (기호라는 큰 맥락에서) 그리운 가족의 사진들도, 현란한 성의 환희를 노래하는 동영상도 이진법의 숫자들의 연주 위에 그려진다. 달라진 점은 그 정보가 누실되는 법을 잃어버렸다는 점이다. 하지만 언어는 본디 등가적 기호체계로 가정되어 있으며 언어가 아닌 원본에서 언어로의 일차적 누실을 제외하고는 언어 내에서 누실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실제로는 수많은 오류와 누실이 발생하지만). 그러므로 사실 디지털이라는 것은 보다 고도화된 현실의 언어적(기호체계적) 고착현상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파롤이 존재하지 않는 랑그만으로서의 기계어가 만들어 내는 재현은 사람들에게서 그 객관성에 관해 맹목적 믿음을 얻고 있는 듯하다. 혹은 미디엄으로서의 그 기계어는 순간순간 투명해지며 그 존재를 감춘다. 그 투명함은 시대의 가장 확고한 그리고 보편화된 종교와 세계관에게 주어지는 특권이다.
실제에 가깝거나 실제보다 나은 소리를 얻기 위한 프리미엄 오디오 마켓에서의 경쟁은 이제는 조금 구닥다리로 보여질지도 모르겠다 (20세기 초중반에 이미 그것들이 성취되었으므로). 망막의 능력을 뛰어넘기 위한 도발적인 ‘레티나 디스플레이‘ 경쟁은 보다 최신의 움직임일 것이다. 픽셀이 많아질수록 시스템은 현실에서 투명해진다. 3D 프린터가 가져올 혁명에 들떠있는 사람들은 머지 않아 원본에서 추출되지 않은 콩팥이나 간을 쉽게 얻을 수 있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유령들로부터 현실을 끌어내려는 이 끝없는 움직임들은 이 시뮬레이션 현상을 더욱 강화해준다.
인간의 인지체계가 필요로 하는 인지가능범위의 신호들만이 추출된채, 원본은 점점 더 그 유용성(아우라)을 잃어가고 추출된 신호와 기호들은 필요범위 안에서 재조합 조립되어진다. 언젠가 유기체과 동일한 시각신호를 보낼 수 있는 전자망막이 개발된다면 적어도 사람들은 현실을 대체하기 위해 거대한 120인치의 UHD 티브이를 낑낑대며 옮길 필요는 없어질 것이다. 결국은 문제는 기호의 재현이라는 유령에 있는 것이다.
아마 바보같은 이야기라고 여겨지겠지만, 언제일지 모르는 그러나 꽤 가까운 미래에, 생물학적 원본과 사본을 구별할 방법은 제도적 규제장치 밖에 남지 않게 될 지도 모른다. 물론 많은 공상과학소설들이 떠들어댄 우스운 예언처럼 들리겠지만, 기억되어져야 할 것은 이미 우리는 원본 없는 사본들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Chiken or Egg
-Sangjin Kim (Artist)
Originals, in the age of digital, might not be valued over their copies. Qualitative loss or
distortion followed by a copying process in the age of analogue has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the superiority of the originals over the copies. However such hierarchy has
been questioned since the emergence of the digital technology which is capable of
replicating identical copies. Apparently some digital materials that are native to the digital
condition replicate themselves endlessly without loss of data. It brings up the possibility of
numerous originals for a copy or the possibility of copies without an original.
These possibilities are not unprecedented. Commodities of quality controlled mass
production or films deconstructing the concept of originality that Walter Benjamin argued
about in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might be prototypes of the
possibilities. However, the aura of the originals of the digital technology today (or the
copy’right’ in a sense) can only be secured by systematic regulations (serial numbers, for
example). At least within the digital realm, infinite replication of an original without loss of
data is possible (given that unlimited space in a hardware is provided). Even though this
new relation between the copy and the original seems to be derived from the desire that
devised mass production and analogue copying, it is headed to a different destination from
its analogue counterparts as the relation has no original to yearn for.
Obviously we are living in the world of analogue where physical and chemical logics are
still valid, and the controversial and revolutionary digital realm, in which the distinction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copies has been disappearing, is after all part of our
analogue world. (It is easy to escape a digital world that you don’t desire anymore: destroy
the hard disk.) Is it because the digital world is but a dream projected on our analogue
world? But what about all the videos, images, sounds prevailing the digital realm? They
already permeated into our realm of analogue and are deployed in the reality as
substantials, which are more real than the actual real.
Data, which are not capable of being reduced, are like phantoms of the equivalent system
generated by language (or other signification systems). The phantoms are weaved by a
language, binary code, to wander this analog world. They are represented to be more real
than the real itself after all.
It is this language that stands behind all these. (In a bigger context of sign) family photos
that bring nostalgia or pornographic footages with euphoric hymns are all but variations of
binary codes.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codes are never reduced within its own
system. Language aims to be an equivalent system inherently. And except for the loss of
dimension in the initial process of abstracting a thing into a language, language itself
cannot be reduced but breed to justify it self. Despite of the initial loss, the phenomenon of
digital can be seen as a linguistic (or semiology) fixation of reality in which the oversupply
of desires grow gigantic. Representation through a binary code as langue without parole
seems credible because they are considered to be objective. This machine language as
the governing medium of the era is so transparent that it hides itself time to time. And this
transparency is a privilege given to the religion and the view of the world that are most
definite and prevalent in the era.
Competition in the premium audio market to represent sounds that are more real than the
original seems outdated, since the technology has already achieved its goal in the mid
20th century. The market of retinal display and the technological competition within the
market, in order to overcome the capability of vision of the human retina, might be the
most up to date endeavour. The more pixels provided, the more invisible the system
become from the reality. 3D printing technology will soon introduce livers and kidneys that
are printed from data, without originals. These attempts to extract the real from the
phantom reinforce the simulation: simulation of perceivable signs costume-extracted to fit
into the valid range of human perception. The original loses its usefulness(or aura) over
the course, and the extracted sign is reassembled in accordance with its utility. If one day
electronic retinas are transplanted into human organisms we could reserve ourselves from
carrying around 120 inch UHD television. After all, all the problem lies on the phantom: the
phantom of sign and its representation.
It might sound foolish, but in a near future, we might witness the world where systematic
regulation is the only demarcation between an original biological organism and its copy.
The world as such may have been redundantly illustrated by science fictions for many
decades, but it is important to remind ourselves that we are already living in the world of
copies without their originals.
서울시립미술관(Seoul Museum of Art. SeMA)은 2008년부터 역량있는 신진작가들에게 전시장 대관료, 홍보 및 인쇄비, 작품 재료비, 전시컨설팅 등을 지원해 왔습니다. 2016년부터는 유망기획자까지 지원의 폭을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역량 있는 신진미술인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서울 중구 덕수궁길 61
(대표번호)
02–2124–8800
, 02–120
(직원찾기) 직원 및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