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서울예술대학교 사진학과 졸업
상명 대학교 사진학과 졸업
(MFA) Slade School of Fine Art, University College, Fine Art Media, London, UK
개인전
2013 Unfamiliar Corner, 갤러리 조선, 서울
단체전
2013 바람난 미술, 서울문화재단 시민청, 서울
2013 콩쥐팥쥐 행진전, 아미 미술관, 당진
2013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NordtArt 2013, Budelsdorf, Germany
2013 PUNK - SALON, Schwartz Gallery, London, UK
2013 광화문 국제 아트 페스티벌 2013, 세종문화회관, 서울
2013 THE WOMAN, THE GAZE, THE WORLD, Hanmi Gallery, London, UK
2013 The International Photography Awards, MOPLA, Los Angeles, USA
2013 Candid Art Exhibition, Candid Art Trust, London, UK
2013 MAKESHOP TOP 10, 메이크샵 아트 스페이스, 파주출판단지
2012 The 2012 Peaches & Creams, DreamSpace gallery, London, UK
2012 Radcliffe & Newlands Juried Art Competition, London, UK
2012 Slade School of Fine Art MFA/MA Degree Show, London, UK
2011 CUBE Open 2011, CUBE Gallery, Manchester, UK.
2011 Slade School of Fine Art MFA/MA Interim Show, London, UK
2011 STEAMING festival Sixth Edition, Isfth Foundation
2008 사진 비평상, 아트비트갤러리, 서울
2008 사진 비평상, 아이포스갤러리, 서울
2007 제 8회 팀브리뷰 프로그램, 대안공간, 서울
‘Unfamiliar Corner’, 단순한 공간에 담긴 끝 없는 질문
최창호 (사진가)
가장 발전된 현대 물리학의 이론에 따르면 우주 즉 ‘존재하는 모든 것’은 우주 가장자리 어딘가의 표면에 기록된 2차원 정보의 3차원적 투영일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이른바 블랙홀의 성질에 대한 연구가 발전되면서 블랙홀 안의 상태에 대한 모든 정보는 ‘event horizon’이라고 불리는 블랙홀의 경계에 해당하는 2차원 표면에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3차원에 관한 정보가 어떻게 모두 2차원 평면에 있다는 것인지 우리로서는 선뜻 이해가 되지 않지만 그들은 정확하고도 탄탄한 수학적 근거를 가지고 이론을 펼치고 있고 따라서 그것이 사실이라면 우리의 3차원 세상은 허상(虛像)일 뿐 오히려 평면이 근본적 실상(實像)인 것이다. 그러니 이를 놓고 보면 평면의 예술인 사진은 어떤 의미에서 허상을 다시 사실(寫實)로 옮기는 작업일지도 모르겠다.
기슬기의 ‘Unfamiliar Corner’는 사진이라는 이미 2차원적인 특성을 빼놓고라도 그 모습이 매우 평면적이다. 그 납작한 무기질 표면들 안 어딘가에 한 조각의 신체가 놓여 있음으로 인해 마치 아코디언 주름상자가 부풀듯 깊이가 살아나면서 보는 이로 하여금 공간을 상상하게 하고 사각형 속에 한 장의 슬라이스로 갇힌 틀을 넘어서 의미의 맥락을 확장하게 한다. 하지만 되살아난 공간은 여전히 우리가 그것을 너무나 태연히 여길 수 있을 만큼 친숙하게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묘한 긴장과 못내 편치 않은 비일상적인 분위기를 매력적으로 간직하고 있다.
우리는 맥락 즉 상황이라는 구조 안에서의 비교 해석을 통해 의미를 주고받는다. 말하거나 보여주는 그것 자체에 더해서 그 전후의 직간접적인 요소들과의 관계 안에서만 더욱 풍부하고도 정확한 의미가 전달될 수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우리가 언제나 그것을 원하는 것 같지는 않다. 예컨대 우리가 어떤 영화를 볼 때 화면으로 갇힌 공간을 확장해 봄으로써 그 주위에 있는 온갖 스탭들과 조명 기기와 감독의 모습이 눈에 보이듯 상상된다면 그 영화가 전달하려는 느낌이나 의미는 고스란히 사라질 것이다. 따라서 재능 있는 감독이라면 그 묘한 낯섦을 여전히 간직할 수 있도록 모든 요소들을 섬세하게 만져내야 한다. 이 점에서 작가는 과연 낯선 공간의 단면을 솜씨 있게 잘라내 보여주면서 자신의 작가적 감성을 전혀 손해보지 않고 간직함으로써 ‘내로라’고 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기슬기의 이미지들은 단순한 평면의 틀 안에서 평면과 공간, 허상과 실상, 낯섦과 친숙함, 전체와 일부의 관계에 대해 생각하고 느껴봄 직한 새삼스런 ‘꺼리’를 던지고 있다. 어디까지 확장되고 어디 사이를 오가며 어디에서 생각이 멈추는지는 오직 보는 이의 일로 남아 있다.
서울시립미술관(Seoul Museum of Art. SeMA)은 2008년부터 역량있는 신진작가들에게 전시장 대관료, 홍보 및 인쇄비, 작품 재료비, 전시컨설팅 등을 지원해 왔습니다. 2016년부터는 유망기획자까지 지원의 폭을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역량 있는 신진미술인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서울 중구 덕수궁길 61
(대표번호)
02–2124–8800
, 02–120
(직원찾기) 직원 및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