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은구_‘Night For All’
작가에게 재료가 어떤 의미인지 작품을 보는 관람자가 질문하는 것은 어쩌면 어리석은 일일 지 모른다. 특히 철을 재료로 도시의 밤을 그리는 강은구 같은 작가에게 철은 작품의 재료이기 이전에 그가 현실을 보는 툴이자 궤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만큼 강은구는 철이라는 재료를 떨어뜨려놓고 말하기 힘든 작가이지만, 이것은 그가 작가가 아니라 다른 일을 하고 있는 사람이었다 하더라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그에게 철은 조각과 구성을 위한 재료가 아니라 멀리 하려 해도 늘 지글거리는 생활 속에 있는 그 자체로 충만한 물질이었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부터 작가 아버지의 공간(청계천의 금속 가게)에 가득했던, 철이 잘리고 움직이는 소리와 그곳을 가득 채웠던 냄새들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작가가 외면하고 싶은 대상에서 도저히 거부할 수 없는 체화된 작가의 감각이 되었다. 이 감각은 무엇인가 만들려 하는 조형의지와 구체적인 지금 여기를 바라보는 현실 인식이 겹쳐진 것이다. 철은 그에게 와서 까만 도시의 밤이 되고 조명을 담아내는 어둠의 공간이 된다. 금속은 생각보다 부드럽고 습도와 온도 등의 상태에 따라 색깔이 다르다는 작가의 말에서도 알 수 있듯 그는 자신이 가장 잘 다룰 수 있는 재료 철을 팝업 형식의 레이어로 둔갑시키며 도시의 밤을 제작해낸다.
철이라는 재료가 강은구에게 그러하듯 ‘도시의 밤’이라는 작가가 그려내고 있는 전체 풍경 또한 강은구에게는 답하기는 힘들지만 자신이 가장 알고 싶었던 것이다. 첫 개인전 이후 지속적으로 몰두하고 있는 도시의 밤은 이번 전시에 이르러 ‘모두의 밤(Night For All)’이 되었다. 철제 사이에서 흘러나오는 조명의 빛과 기운 때문에 강은구의 작업은 첫 눈에는 풍요롭고 환상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현실에서 그가 바라보고 마주한 밤들이 결코 ‘모두의 밤’이 될 수 없는 것 아닌지 반문하고 의심하고자 한다. 아늑하게 보였던 도시의 밤 풍경은 이번 전시에서 좀 더 다층적인 겹겹의 실제 상황을 담아내는 듯 보인다. 아현동 재개발지역과 이름을 알 수 없는 고층빌딩, 그리고 그 사이 보이는 철장 등 도시는 어떤 다른 숨겨진 드라마를 보여주기 위해 꿈틀거린다. 건축적인 설계 과정을 거쳐 직접 철을 다루며 밤의 도시를 점검하는 작가는 ""도시의 암울함""과 그에 대한 ""비판적인 생각""을 ""역설적이게도 더 아름답게"" 보여주고자 한다고 말한다. 작업실을 이동해야 할 때마다 겪었던 도시 거주자로서의 고충들과 한 여름 작업실을 고치는 데 소나기와 함께 뜬 환한 무지개 등은 따로 떼어낼 수 없는 작가의 체험이며 이는 작업의 출발점이 된다.
그런 점에서 강은구가 그려낸 도시의 밤은 낯선 이물감과 익숙함이 공존한다. 도시의 낮과 밤, 발전과 쇠락이 그가 보는 도시의 장면 곳곳에 숨어있다. 금속과 이에 투사되는 빛을 이용한 도시의 장면은 사각형의 구도 안에서 익숙하게 반복되지만 들여다보면 볼수록 얇은 1mm의 철은 아슬아슬하게 높이 솟은 건물들과 이름을 알 수 없는 종교의 도상, 또는 모여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다채로운 차이들을 드러낸다. 빛이 꺼지기 직전 도시는 마지막 불을 내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이제 환해지려는 것일까. 이번 전시장에 작가는 '셔터가 반만 열려있는' 축소된 을지로의 골목 풍경을 가져다놓았다. 철로 그려낸 도시의 전체 풍경 이면에는 이처럼 외부와 셔터로 차단된 좁은 공간에서 끊임없이 무엇인가 만들며 '밤'을 보내는 이들이 있다.
글 현시원(미술이론)
서울시립미술관(Seoul Museum of Art. SeMA)은 2008년부터 역량있는 신진작가들에게 전시장 대관료, 홍보 및 인쇄비, 작품 재료비, 전시컨설팅 등을 지원해 왔습니다. 2016년부터는 유망기획자까지 지원의 폭을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역량 있는 신진미술인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서울 중구 덕수궁길 61
(대표번호)
02–2124–8800
, 02–120
(직원찾기) 직원 및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