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관내
2004.12.15~2005.02.20
무료
국제
제3회 서울 국제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는 서울시립미술관에서 2년마다 한 번씩 개최되는 미디어 아트 전시로, 이번 비엔날레의 주제는 ‘게임/놀이’입니다.
컴퓨터와 인터넷을 비롯한 첨단의 미디어와 함께 변화되어 가는 오늘날의 ‘게임’과 ‘놀이’에 대한 예술가들의 다양한 생각과 표현을 만나보게 될 이번 전시는, 본전시뿐만 아니라 ‘매트릭스 A’, ‘퍼니 퍼니처’, ‘m_cs 아카이브’ 등의 특별전시와 강연회, 게임과 미디어 아트를 직접 만들어보는 워크숍과 부대 행사 등 다양한 행사를 함께 만날 수 있습니다.
전 세계 21개국에서 참가하는 색다른 미디어 아트 작품과 함께 신나게 놀아보는 이번 전시는 겨울방학을 맞는 학생들에게도 좋은 선물이 될 것입니다. 많이 많이 보러 오세요.
[(전시 문의 : 02-2124-8947~9(담당 큐레이터)]
서울국제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는 세계적으로도 전례가 드문 국제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로서 2004년 개최로 3회를 마무리한다. 제 1회 비엔날레에서는 미디어 아트의 역사에 길이 남을 만한 최고의 작품들을 한자리에 모아 전시함으로써 국내에는 아직 친숙하지 않았던 미디어 아트 분야를 소개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로 인해 국제적으로도 많은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0과 1’이라는 다소 학술적이고 추상적인 주제와 전시 관람의 어려움, 전시 구성의 방만함으로 인해 대중에게 다가가는 면에서는 미흡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를 거울삼아 제2회 전시는 무엇보다 대중적으로 다가갈 수 있어야 한다는 공감대에서 준비되었으며, 서울의 변화와 성장 자체를 상징적인 미디어로 바라보면서, 예술과 과학 그리고 인접 산업과의 연대를 통해 일상 속에서 미디어 아트를 소개하는 시민 축제의 장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디지털 숭고’라는 다분히 미학적, 학술적, 추상적인 거리감 있는 주제 선정으로 인하여 여전히 관객에게 다가서는 점에서는 아쉬움을 남겼으며, 다양한 부대행사들이 하나의 연결고리를 갖지 못함으로써 행사 전체가 다소 산만하게 비춰졌다.
제 3회 비엔날레는 무엇보다도 일반 대중과 함께 하는 미디어 아트라는 취지 아래 주제 선정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주제는 추상적이고 모호한 개념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쉽게 인지될 수 있는 것이어야 일반 관객들이 쉽게 다가설 수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둘째, 예술과 기술, 산업과의 연계를 자연스럽게 도모할 수 있는 주제여야 한다는 점에도 주목하였다. 또한 여타 비엔날레와 차별화되어야 한다는 점도 놓치지 않았다. 무엇보다 소모적인 행사가 되지 않기 위해서, 다양한 부대행사들이 자연스럽게 전체 주제로 수렴됨으로써 전시의 산만함을 피하는데 주력하였다.
제3회 서울 국제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인해 야기되는 우리 일상생활의 변화를 담을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일반인에게 아직 낯선 미디어 아트를 보다 친숙하게 다가서게 했다.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놀이/유희/게임’을 단순이 어린아이들의 놀이라거나 여가생활이 아니라 일상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비엔날레에서는 ‘게임’을 컴퓨터게임이라는 협의의 관점에서 해석하지 않고, 문화인류학적으로 폭넓게 해석하여 우리의 현대 생활 전반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제목 : 디지털 호모 루덴스(Digital Homo Ludens)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우리의 삶을 여러 면에서 변화시켰다. 특히 인터넷과 컴퓨터의 발전은 문화예술전반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시체를 흉내내고 그것으로 사진으로 찍어 올리는 시체놀이, 기존의 이미지를 조작하고 패러디한 솔로부대·커플부대. 개죽이와 개벽이 등, 유희라는 것이 일상의 삶과 그 어느 때보다 가깝게 다가와 있는 요즈음이다.
본전시
제3회 서울 국제 미디어아트 비엔날레의 본 전시는 오늘날 디지털 문화의 핵심적인 키워드라고 할 수 있는 ‘게임/놀이’를 주제로 하였다. 본 전시를 통해서 놀이와 삶이 구분되지 않는 신세대 디지털 호모루덴스들의 삶의 이면을 되짚어보고 이러한 경향이 어떤 사회적인 파장을 불러일으키는지 이러한 기술의 발전의 배후에는 어떤 논리가 숨어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42점의 미디어 작품을 전시하였다. 세계 18여 개국에서 초청된 42개의 팀의 작품은 유희, 접촉, 상업성, 전쟁이라는 하위 주제에 맞춰 재배열되고 상호 참조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전시장은 서울시립미술관 전시동 1,2,3층 전관을 사용하되, 각 층마다 다른 스토리를 갖게 함으로써 다양한 스펙트럼에 비춰진 게임/놀이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번 | 작가 | 국적 | 작품 | 제작연도 |
---|---|---|---|---|
1 | 자블릭 키스팔 | 헝가리 | 테두리 | 2003 |
2 | 컬렉티브_팩트 | 스위스 | 서커스 2003 | 2003 |
3 | 얀-페터 존락 | 독일 | OMO | 1996 |
4 | 박준범 | 한국 | 25 고소공포증 | 2003 |
5 | 탄 덱 웽 | 말레이시아 | 원형감옥 | 2002 |
6 | 김기라 | 한국 | 0.000km-제로 섬 게임 | 2003 |
7 | 베아트 브로겔, 킬립 짐머만 | 스위스 | 한 단어 영화 | 2004 |
8 | 정동암, 정문열 | 한국 | 앤디의 꿈 | 2004 |
9 | 스테판 어네거, 아노신 헌트 | 호주 | 컨테이너 | 2004 |
10 | ENESS | 호주 | 비주얼-디지털 흔들목마 | 2003 |
11 | 스테판 베라스, 린다 데비, 로버트 데비, 케리 리첸스 | 호주 | 사랑스런 카우치 지지 | 2003 |
12 | 야노베 겐지 | 일본 | 숲 속의 영화관 | 2003 |
13 | 롬 베츠 | 영국 | CCTEX | 2004 |
14 | 펭 멩보 | 중국 | Q3D | 2004 |
15 | 안젤라 데타니코, 라파엘 라인,지리스칼라 | 브라질 | 서울:킬링타임 | 2002 |
16 | 에도스턴 | 미국 | 팔라딘 요새: 미군 | 2003 |
17 | 밀토스 마네타스 | 그리스 | 사물에 반항하는 사람들 | 2001 |
18 | 베아테 가이슬러, 올리버 잔 | 독일 | 저격수 | 2000-2001 |
19 | 엘리자베스 벤터 잭 | 캐나다 | 우리처럼 말 해봐요 | 1999-2000 |
20 | 호세 카를로스 카사도 | 스페인 | 새로운 신체,v01b | 2004 |
21 | 마커스 리올 | 영국 | 슬로우 서비스 | 2003 |
22 | 아키오 카미사토, 사토시 시바타,타케히사 마시모 | 일본 | 무니 | 2004 |
23 | 문경원 | 한국 | 나좀 봐봐 | 2004 |
24 | 이세정 | 한국 | 얼굴 | 2001 |
25 | 플레익스 | 프랑스 | 격자무늬:이추 | 2002 |
26 | 로버트 아놀드 | 미국 | 욕망의 형태학 | 1999 |
27 | 플레익스 | 프랑스 | 미용공구세트 | 2001 |
28 | 반 소워와인, 이소벨 놀레즈,리암 페네시 | 호주 | 기대하기 | 2003 |
29 | 마리나 아브라모빅, 울레이 | 유고슬라비아 | 빛/어둠 | 1977 |
30 | 다니엘 가르시아 | 스페인 | E-서울 | 2004 |
31 | 댄 퍼잡스키 | 독일 | 무제 | 2004 |
32 | 날리니 말라니 | 인도 | 게임 조각들 | 2003 |
33 | 타쿠지 코고 | 일본 | 관객 | 2004 |
34 | 프레데릭 모서, 필립 슈빙어 | 스위스 | 액팅 팩츠 | 2003 |
35 | 왕 지안 웨이 | 중국 | 기념식 | 2002 |
36 | 장영혜 중공업 | 한국 | 오퍼레이션_누코리아 | 2003 |
37 | 랭랜즈 &벨 | 영국 | 오사마 빈 라덴의 집 | 2003 |
38 | 홍성담 | 한국 | 1999-탈옥 | 1999 |
39 | 쉴파 굽타 | 인도 | 무제 | 2004 |
40 | 앤-마리 슐레이너,브로디 콘돈, 호앙 레안드레 | 미국 | 벨벳-스트라이크 | 2001 |
41 | 아부-알리, 레트로유 | 스페인 | 바빌론 아카이브 | 2003 |
42 | 볼프 헬츨레 | 독일 | …그리고 나는 일부이다 | 2004 |
마리나 아브라모빅 Marina Abramovic_울레이 Ulay
빛 어둠 Light Dark
1977_Performance Video
쉴파 굽타 Shilpa Gupta
무제 Untitled 2004
Interactive Video Installation
특별전시
제3회 서울 국제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의 특별전시는 제3회 비엔날레가 단순히 서울시립미술관만의 행사가 아닌 서울시 전체의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서울 국제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를 국제적으로 홍보하는 기회를 마련하며, 아직도 국내에는 낯선 미디어 아트를 대중적으로 소개하고 자료를 구축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기획되었다.
네 명의 미디어 아티스트가 제작한 게임 작품을 전시하였다. 웹을 기반으로 하는 이 게임 작품들은 자본의 논리에서 벗어나 있는 것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누구나 자유롭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여기에 소개된 작품들은 단순히 즐거움만을 주는 것이 아니라, 작가가 바라본 우리의 현실을 함께 생각해보게 한다.(서울시립미술관 2층 휴게실)
연번 | 작가 | 국적 | 작품 | 제작연도 |
---|---|---|---|---|
1 | 퓨쳐 파머스 | 반전게임 | 2004 | |
2 | Jodi.org | SOD | 1999 | |
3 | 이소벨 놀레즈, 반 소워와인 | 나랑 놀아줘 | 2002 | |
4 | 조세핀 스타즈, 레온 츠밀레브스키 | 바이오-테크 키친 |
SOD
jodi.org
바이오-테크 키친 Bio Tek Kitchen_조세핀 스타즈 Josephine Starrs_레온 츠밀레브스키 Leon Cmielewski
비엔날레 기간에 함께 진행된 매트릭스 A 특별전은 서울시에 있는 미술관과 갤러리 등 미술문화 공간을 소개하는 프로젝트이다. 비엔날레 기간 중에 각각의 전시공간에서 개최되는 전시를 하나의 지도에 담아 아트맵을 만들고, 관객이 이 지도를 가지고 각각의 전시를 관람해 볼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각 지역별로 정해진 수만큼의 전시를 관람하고 확인을 받아오면 비엔날레 측에서 준비한 기념품을 제공하였다. 현실과 가상, 시공간을 넘나드는 구조에 관한 내용을 다룬 영화 ‘매트릭스’로 유명해진 매트릭스라는 용어는 자궁 또는 컴퓨터상의 행렬을 의미하는데 미술계의 새로운 지형도를 보여주려는 의미를 담다 매트릭스 뒤에 아트(Art)의 이니셜을 붙여 프로젝트의 명칭으로 사용했다.
매트릭스 A
Experimenta 호주Australia
CC 일본 Japan
NTT InterCommunication Center
MAAP 호주Australia
Multimedia Art Asia Pacific
m
c s archiv
이혁진 Lee Hyuk Jin_최유진 Choi Yu Jin
HOL3
MDF, 고발포 스폰지,알루미늄, 락카도장_100x100x80cm
신성희 Shin Seong Hee
MEI
플라이우드, 베니어, 섬유_110x110x34cm
김도훈 Kim Do Hun_박희원 Park Hee Won
제3회 서울 국제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
The 3rd. Seoul International Media Art Biennale (media_city seoul 2004)
기간
2004. 12. 15. ~ 2005. 2. 20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전시장 및 주변 정동 일대
주최
서울특별시
주관
서울시립미술관, 제3회 서울 국제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 조직위원회
전시추진
서울시립미술관 미디어시티 사무국
전시구성
본전시
40여점의 국내외 미디어아트 작품(미술관 전관)
특별전
game by artists (미술관 2층 휴게실)
Matrix A (서울시내 미술관, 갤러리)
Funny Furniture (미술관 내 2,3층 복도)
media_art.org (미술관 2층 청경자실)
m_c s archive (미술관 2층 청경자실)
워크숍
스몰피시 워크숍 ,게임 공작소
학술행사
국제워크숍 , m_c s 강연회 , 국제 심포지엄 , 아티스크 카페
부대행사
개막식 , 클럽미디어시티
전시주체
게임/놀이
본전시 출품작품
총 42점 (국내 7점, 해외 35점)
행사 주제에 부합하는 세계적인 수준의 학술행사를 구성하고, 시민을 대상으로 한 전 큐레이터의 강연회 및 전문가 계층을 겨냥한 심포지엄을 통해 다양한 계층의 관심을 충족시키고, 나아가 국내외 강연자를 초청함으로써 간접적인 홍보효과를 기대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국내외 전문가집단과의 인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또한 행사기간 중 학술심포지엄 및 특별 강연회를 개최하여 행사 개막이후 감소되는 관심을 다시 활성화시킬 뿐 아니라 지속적인 홍보 전략으로도 활용하였다.
구분 | 행사명 | 기간 | 장소 |
---|---|---|---|
행사홍보 | 기자간담회 | 2004.9.13 | 코리아나 호텔 |
공식행사 | 개막식 | 2004. 12. 13 | 서울시립미술관 전시동 1층 로비 |
전시관련 | 아티스트 까페 | 2004. 12. 13 2004. 12. 16 2004. 12. 22 2004. 12. 29 | 재팬 파운데이션 서울시립미술관 강의동 서울시립미술관 전시동 |
워크샵 | 스몰피시 워크숍 | 2005. 1. 12/13 2005. 1. 15/16 2005. 1. 19/20 | 코리아나 호텔 |
게임공작쇼 | 2005. 1. 12 ~ 16 | 서울시립미술관 전시동 |
개막식
일시
2004. 12. 15.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전시동
아티스트 카페
관객이 제3회 비엔날레에 출품된 작품들을 보다 심도깊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작가가 직접 출품작과 작품 경향에 대해서 발표를 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객과 자유롭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관객은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작가는 관객이 작품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으며, 작가와 관련된 각국 문화원들과의 교류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일본작가와의 대화
참여작가
타쿠지코고, 다케히사마시모, 야노베켄지
일시
2004.12.13.
장소
재팬파운데이션
호주작가와의 대화
참여작가
안소니 헌트, ENESS, 반 소워와인, 조세핀 스타스 & 레온 츠밀레브스키
일시
2004.12.16.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작가와의 대화(참여작가 : 박준범. 김기라)
일시
2004. 12. 22.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작가와의 대화(참여작가 : 이세정, 문경원)
일시
2004. 12. 29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워크숍
장애 어린이와 함께 하는 <스몰 피시> 워크숍
세계적인 미디어 아키스트 키요시 후루카와와 그의 대표작 <스몰 피시>를 이용하는 이번 워크샵은 일반 어린이들과 장애어린이들이 팀을 이루어 함께 토론하여 주제를 선정하고, 그 주제에 맞는 그림과 소리 녹음을 하여 아이들 고유의 미디어아트 작품을 만들어보는 워크샵이다. 하나의 워크샵은 이틀동안 진행되는데, 이틀이라는 짧은 시간이나마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세상의 모습을 아이들에게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일시
2004. 1. 12. ~ 23. (2일씩 4회)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진행
키요시 후루카와 (Kiyoshi Furukawa)
게임공작소
‘게임/놀이’라는 주제와 연관하여 오늘날 컴퓨터 게임의 대중화에 대한 파급효과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자본의 논리와 소비의 논리에 빠져있는 컴퓨터 게임 문화에 대항하여 새로운 문화만들기의 가능성을 모색해 본 워크샵은 ‘사서 가지고 놀’줄은 알지만 그 원리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지 못하는 어린이들에게 직접 게임기를 만들어볼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미디어 아티스트인 울라프 발과 한국인 멘토 선생님들이 함께 아이들과 게임의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퐁 게임을 할 수 있는 게임기를 제작하였다.
일시
2005. 1. 12 ~ 16 (12회 진행)
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진행
울라프 발(Olaf Val)
조직위원
김봉구 (서울미협 회장)
김영용 (서강대학교 교수)
김태호 (홍익대학교 교수)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서정신 (문화컨설팅 스프링 대표)
안창근 ((주)거산기획 회장)
원광연 (KAIST 교수)
유민호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윤진섭 (한국 미술평론가 협회 회장)
이봉재 (서울산업대학교 교수)
정정화 (한국예술종합학교 부교수)
하종현 (서울시립미술관 관장)
기획의원
김봉구 (서울미협 회장)
김동구 (미디어_시티 서울 사무국장)
김선정 (아트선재센터 부관장)
김영용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교수)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배윤호 (공간연출가)
원광연 (KAIST 교수)
유민호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윤진섭 (한국 미술평론가 협회 회장)
하종현 (서울시립미술관 관장)
행사 기획 및 진행
조직위원장
발제자
김인환 (국민대학교 교수)
요한 파인애플 Johan Pijnappel (독립 큐레이터)
히로시 요시오카 Hiroshi Yoshioka (교토 비엔날레 총감독)
한스 D.크리스트 Hans D. Christ (하르트바레 미디어 아트 센터 큐레이터)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질의자
정용도 (미술평론가)
김진엽 (홍익대학교 교수)
심혜련 (건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전임 연구원)
유민호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작품 발표 작가
최우람, 박준범, 양민하, 이종석
국제 심포지엄
발제자
필립 코도네 Philippe Codognet (미디어아트 비평가)
윤진섭 (제3회 서울 국제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 총감독)
마수야마 히로시 Masuyama Hiroshi (ICC 객원 큐레이터)
료타 쿠와쿠보 Ryota Kuwakubo (게임아트 작가)
질의자
유진상 (계원조형예술대학 교수)
김원방 (미술 평론가)
정용도 (미술 평론가)
서울시립미술관은 모두가 만나고 경험하는 미술관입니다. 서울 근현대사의 자취를 고스란히 간직한 정동 한가운데 위치한 서소문본관은 르네상스식 옛 대법원 건물과 현대 건축이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전시, 교육, 스크리닝, 워크숍, 공연, 토크 등 다양한 프로그램과 더불어 SeMA Cafe+, 예술 서점, 로비 공간, 그리고 야외 조각 공원이 모두에게 다양한 미술 체험에 이르는 길을 제공합니다.(전경사진: ⓒ Kim YongKwan)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는 2000년 미디어시티서울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했습니다. 2년마다 열리는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는 도시와 예술, 미디어의 새로운 관계에 대한 전환점을 제공하고 국제 미술계와 대화하며 예술과 문화를 향유하고 지지하는 관객층을 넓혀가는 동시대 국제 미술 축제입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미술관이 주최하는 비엔날레인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는 미술관이라는 제도와 비엔날레라는 격년제 행사가 서로 어떻게 교차하며 문화예술의 장을 확장하는지 살펴봅니다.
서울 중구 덕수궁길 61
(대표번호)
02–2124–8800
, 02–120
(직원찾기) 직원 및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