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와 프로그램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사전프로그램 건립 세미나 <(불)완전한 미술관>
2021년 11월 12일까지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에서 진행했습니다.
미술아카데미
  • 평일(화–금) 오전 10시–오후 8시
  • 토 · 일 · 공휴일 하절기(3–10월), 오전 10시–오후 7시
  • 동절기(11–2월), 오전 10시–오후 6시
  • 《서울문화의 밤》 운영 매주  금요일
  • 오전 10시–오후 9시
  • 입장시간 관람 종료 1시간 전까지 입장
  • 휴관일 1월1일 , 매주 월요일
  •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정상 개관
교육장소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B1 다목적홀

교육기간

2021.11.11 – 2021.11.12

교육요일

목요일,금요일

교육시간

오후 2:00 – 오후 6:00

교육대상

성인
일반인

신청구분

개인(1명)

모집정원

80명

모집기간

2021.10.26 오후 6:00 – 2021.11.07 오후 5:00

수강확정 발표일

2021.11.08 오후 2:00

수강료

무료

강사명

이경민 외

교육 안내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건립 세미나 <(불)완전한 미술관>

Seoul Museum of Photography Pre-opening Seminar <The Museum is (not) enough>


서울시립 사진미술관의 11월 착공을 기념하며 건립 세미나 <(불)완전한 미술관>을 서울시 문화본부와 서울시립미술관이 공동으로 개최합니다. 공공의 첫 사진미술관이자 서울시립미술관 분관으로서 그간 진행된 건축, 수집, 전시, 교육 연구의 결과가 건립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공유하며 매체와 시대 변화에 따라 요구받는 미술관의 역할에 스스로 질문을 던집니다. 


양일에 걸쳐 진행되는 세미나는 위드 코로나 정책과 더불어 조심스럽게 현장에서 대중의 목소리를 들어보고자 합니다. 첫째 날은 ‘미술관의 조건’으로 기관 건립의 기본이 되는 ‘건축’, ‘수집’, ‘전시’를 중심으로 컬렉션부터 공간에서 이미지를 풀어내는 방식까지 일련의 과정을 이야기합니다. 둘째 날은 팬데믹을 포함한 동시대 미술관의 변화에 대응하는사진미술관의 실천적 태도를 ‘교육’, ‘출판’, ‘기술’을 중심으로 제시합니다. 콘텐츠이자 매체인 사진을 다루는 미술관의 탄생을 알리고 대중과 소통하는 첫 공유지가 되길 바랍니다.



■ 개 요

· 일시: 2021. 11. 11.(목) 14:00 – 18:00

                   11. 12.(금) 14:00 – 18:00

· 장소: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지하1층 다목적홀

· 라이브: 서울시립미술관 유튜브 @SeoulMuseumofArt 바로가기

· 사전 신청: 2021. 10. 26.(화) ~ 11. 7.(일) 17시까지 

· 사전 신청 바로가기: 신청하기


· 세부일정:


세부일정 이미지. 대체텍스트 다음참고

2021.11.11.(목) 첫째 날. 미술관의 조건들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건립 세미나 <(불)완전한 미술관> 세부일정 목록 : 2021.11.11(목) 첫째날 미술관의 조건들 시간,일정으로 구성
시간일정
14:00-14:15개화사 및 인사말
14:15-15:10사회적 공간으로서의 미술관 믈라덴 야드리치(건축가, 빈 공과대학 건축학과 교수)
구축을 위한 협동의 결과 윤근주 (일구구공도시건축 건축사사무소 소장)
15:10-15:50공공사진미술관의 수집 방향과 방법론 연구 이경민(사진아카이브연구소 소장)
15:50:-16:00휴식시간
16:00-16:40사진은 동시대 시각예술이 될 수 있는가? 이영준(계원예술대학교 융합예술과 교수)
16:40-17:20이미지를 경험하는 방식들 - 존재와 작용 김용주 (국립현대미술관 디자인경력관)
17:20-17:40휴식시간
17:40-18:00질의 응답 및 라운드테이블 전체 발표자 및 토론자 모더레이터:김희정, 손현정(서울시 문화본부 박물관과 학예사)
2021.11.12.(금) 둘째 날. 미술관의 패러다임과 대응하는 매체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건립 세미나 <(불)완전한 미술관> 세부일정 목록 : 2021.11.12(금) 둘째 날 미술관의 패러다임과 대응하는 매체 시간,일정으로 구성
시간일정
14:00-14:10인사말
14:10-14:50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사진플랫폼으로서의 사진미술관 한금현(독립 기획자)
14:50-15:30기술변동 시대, 사진미술관 교육의 방향 현혜연(중부대학교 사진영상학부 교수)
15:40-16:20(사진)미술관의 의제를 제시하는 출판 김현호(보스토크 프레스 대표)
16:20-17:00장치에 맞서는 사진:한국 동시대 사진은 왜 2000년대 이후인가 신혜영(미술 비평가)
17:00-17:20휴식시간
17:20-18:00질의 응답 및 라운드테이블 전체 발표자 및 토론자 모더레이터: 백기영(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운영부장)


*문의: 서울시 박물관과 02- 2133-4197

2022 시민큐레이터 양성교육을 위한
저작물, 개인정보, 초상권 보안 서약

서울시립미술관에서는 코로나19 확산을 예방하고자 2022 시민큐레이터 양성교육을 온라인으로 진행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온라인 수업에서 고려해야 할 저작물, 개인정보, 초상권 보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안내드리며, 반드시 숙지하시고 수업에 참여해주시길 당부드립니다.

◦ 교육용 저작물 복제 및 배포 금지

- 강사가 온라인 강의에서 사용하는 각종 자료는 강사의 저작물로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되며, 무단으로 강의 자료를 사용할 경우 저작권법 위반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저작권법 제136조 제1항)

◦ 강사의 개인정보 및 초상권 보호

- 온라인 수업의 이용자가 사생활 침해 또는 명예훼손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정보를 유통하는 행위는 엄격하게 제한됩니다. 따라서 수업 이용자는 강사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거나 제공받은 목적 외의 용도로 이용할 수 없으며, 온라인 수업 중 노출되는 강사의 모습을 동의 없이 캡처, 촬영, 복제, 유통하는 행위는 법률에 의거 금지되어 있습니다.(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4조)

본인은 위 내용을 확인하였으며, 위와 같은 내용으로 강의 수강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