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 사진미술관 건립 세미나 <(불)완전한 미술관>
Seoul Museum of Photography Pre-opening Seminar <The Museum is (not) enough>
서울시립 사진미술관의 11월 착공을 기념하며 건립 세미나 <(불)완전한 미술관>을 서울시 문화본부와 서울시립미술관이 공동으로 개최합니다. 공공의 첫 사진미술관이자 서울시립미술관 분관으로서 그간 진행된 건축, 수집, 전시, 교육 연구의 결과가 건립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공유하며 매체와 시대 변화에 따라 요구받는 미술관의 역할에 스스로 질문을 던집니다.
양일에 걸쳐 진행되는 세미나는 위드 코로나 정책과 더불어 조심스럽게 현장에서 대중의 목소리를 들어보고자 합니다. 첫째 날은 ‘미술관의 조건’으로 기관 건립의 기본이 되는 ‘건축’, ‘수집’, ‘전시’를 중심으로 컬렉션부터 공간에서 이미지를 풀어내는 방식까지 일련의 과정을 이야기합니다. 둘째 날은 팬데믹을 포함한 동시대 미술관의 변화에 대응하는사진미술관의 실천적 태도를 ‘교육’, ‘출판’, ‘기술’을 중심으로 제시합니다. 콘텐츠이자 매체인 사진을 다루는 미술관의 탄생을 알리고 대중과 소통하는 첫 공유지가 되길 바랍니다.
■ 개 요
· 일시: 2021. 11. 11.(목) 14:00 – 18:00
11. 12.(금) 14:00 – 18:00
· 장소: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지하1층 다목적홀
· 라이브: 서울시립미술관 유튜브 @SeoulMuseumofArt 바로가기
· 사전 신청: 2021. 10. 26.(화) ~ 11. 7.(일) 17시까지
· 사전 신청 바로가기: 신청하기
· 세부일정:

2021.11.11.(목) 첫째 날. 미술관의 조건들서울시립 사진미술관 건립 세미나 <(불)완전한 미술관> 세부일정 목록 : 2021.11.11(목) 첫째날 미술관의 조건들 시간,일정으로 구성시간 | 일정 |
---|
14:00-14:15 | 개화사 및 인사말 |
---|
14:15-15:10 |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미술관 믈라덴 야드리치(건축가, 빈 공과대학 건축학과 교수) |
---|
구축을 위한 협동의 결과 윤근주 (일구구공도시건축 건축사사무소 소장) |
15:10-15:50 | 공공사진미술관의 수집 방향과 방법론 연구 이경민(사진아카이브연구소 소장) |
---|
15:50:-16:00 | 휴식시간 |
---|
16:00-16:40 | 사진은 동시대 시각예술이 될 수 있는가? 이영준(계원예술대학교 융합예술과 교수) |
---|
16:40-17:20 | 이미지를 경험하는 방식들 - 존재와 작용 김용주 (국립현대미술관 디자인경력관) |
---|
17:20-17:40 | 휴식시간 |
---|
17:40-18:00 | 질의 응답 및 라운드테이블 전체 발표자 및 토론자 모더레이터:김희정, 손현정(서울시 문화본부 박물관과 학예사) |
---|
2021.11.12.(금) 둘째 날. 미술관의 패러다임과 대응하는 매체서울시립 사진미술관 건립 세미나 <(불)완전한 미술관> 세부일정 목록 : 2021.11.12(금) 둘째 날 미술관의 패러다임과 대응하는 매체 시간,일정으로 구성시간 | 일정 |
---|
14:00-14:10 | 인사말 |
---|
14:10-14:50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사진플랫폼으로서의 사진미술관 한금현(독립 기획자) |
---|
14:50-15:30 | 기술변동 시대, 사진미술관 교육의 방향 현혜연(중부대학교 사진영상학부 교수) |
---|
15:40-16:20 | (사진)미술관의 의제를 제시하는 출판 김현호(보스토크 프레스 대표) |
---|
16:20-17:00 | 장치에 맞서는 사진:한국 동시대 사진은 왜 2000년대 이후인가 신혜영(미술 비평가) |
---|
17:00-17:20 | 휴식시간 |
---|
17:20-18:00 | 질의 응답 및 라운드테이블 전체 발표자 및 토론자 모더레이터: 백기영(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운영부장) |
---|
*문의: 서울시 박물관과 02- 2133-4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