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리는 영상, 사진, 책, 설치와 같은 매체를 통해 사라져가는 사물의 세계를 탐구하며, 사물을 감각하는 방식과 그 다양성에 주목한다. 그는 이미지와 언어, 허구와 사실의 관계에 주목하여, 무엇이 어떤 것을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 버려진 것과 통용되는 것, 감춰진 것과 드러나는 것으로 만드는지 추적하며 동시대의 일상 세계를 새롭게 바라보고자 한다. 특히 근래에는 사라짐 앞에 놓인 16mm 필름을 둘러싼 관계들과 그 시간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디지털과 아날로그 매체에 관한 이분법적 관념이 지배적이라면, 그는 매체 그 자체에 대한 탐구를 통해 이해하기보다 그것이 발생시키는 관계를 통해 매체들을 이해할 때, 지금의 미디어 기술이 하는 일을 더 잘 알 수 있으며, 선형적 시간성에 대한 기성의 인식을 갱신할 수 있는 어떤 가능성과 마주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는 이러한 관계적 이야기를 잘 알려진 설화나 신화를 경유해 알레고리의 형태로 풀어내고자한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루프: 개를 흔드는 꼬리》(아마도예술공간, 2024), 《실과 리와인더》(통의동 보안여관, 2022)등이 있으며, 참여한 주요 단체전으로는 《랜덤 엑세스 프로젝트4.0》(백남준아트센터, 2025), 《It was the way of walking through narrative》(frieze film 2023 × 보안, 2023), 《이미지들》(하이트컬렉션, 2023) 등이 있다. 2021년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차세대 예술가(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1)와 2023년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등의 입주작가로 선정된 바 있다.
학력
2017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양화 전공 졸업, 서울
2012 이화여자대학교 회화, 판화과 졸업, 서울
개인전
2024 《루프: 개를 흔드는 꼬리》, 아마도예술공간, 서울
2022 《실과 리와인더》, 통의동 보안여관, 서울
2020 《희미한 파타모르가나》,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2017 《리부트》, 슬로우슬로우퀵퀵, 서울
주요 그룹전 및 스크리닝
2025 《랜덤 엑세스 프로젝트4.0》,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2024 《백남준, 김실비, 얄루, 한우리: 포지티브피드백》, 갤러리박, 서울
2023 《당신에게 말을 거는 이유》,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경기
2023 프리즈 필름 2023 《It was the way of walking through narrative》, 통의동 보안여관, 서울
2023 《이미지들》, 하이트컬렉션, 서울
2023 고양레지던시 × Film & Video 상영 프로그램,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22 《얇은 막 미세한 은》, 얼터사이드, 서울
2022 서울 국제 대안 영상 예술페스티벌 한국 신작전, 서울
2022 《얇고 깊은》, XYZ SEOUL, 서울
2022 《The missing Duduri》, TINC, 서울
2021 Switzerland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oreign Films, 오본느, 스위스
2021 Carmarthen Bay Film Festival, Poetic and Short film, 란데일로, 영국
2021 《Nine Blinks》, 공간 쉬프트, 서울
2020 《절대사라지지않는다》, 17717, 서울
2019 《오픈 코드》,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2018 《미래 도시 : 메트로폴리스 재발견》,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San Francisco, 샌프란시스코, 미국
2018 《인터미션》, 플랜비프로젝트스페이스, 서울
2017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 하이트컬렉션, 서울
2017 비둘기 오디오 & 비디오페스티벌 쇼케이스, 다시세운, 서울
2016 《뉴 드로잉 프로젝트》,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양주
레지던시
2023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고양
2020~2019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청주
수상/선정
2024 예술창작지원금, 서울문화재단, 서울
2023 리서치 기금, 서울문화재단, 서울
2022 예술창작지원금, 서울문화재단, 서울
2021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시각예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나주
2020 신진미술인지원, 서울특별시, 서울
2018 소액닷컴, 서울문화재단, 서울
2017 서울문화재단 최초지원예술, 서울문화재단, 서울
2016 뉴 드로잉 프로젝트 드로잉, 양주시립 장욱진미술관, 양주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정부미술은행
서울특별시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운영하는 레지던시 프로그램 으로서 난지한강 공원 내에 유휴시설을 개조하여 2006년 개관하였습니다. 국내의 역량 있는 미술가 및 연구자를 양성하기 위한 지원프로그램으로서, <난지아트쇼> <비평워크숍> 등 전시 및 연구능력을 계발하는 프로그램, 국제화 추진을 위한 국제 레지던시 네트워크 활용과 다원화 된 교류를 위해 국제 입주작가 교환프로그램, 국내외 미술 전문가를 초청한 강연회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난 2009년까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는 국내 젊은 작가에게 창작공간을 지원하고 작업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면서 창작 스튜디오로서의 기반을 다졌고, 2010년을 기점으로 전시, 연구 및 학술, 교류로 세분화하여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운영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면모를 갖추었으며, 2012년부터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국제적인 레지던시 기관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서울 중구 덕수궁길 61
(대표번호)
02–2124–8800
, 02–120
(직원찾기) 직원 및 연락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