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닫기 인물·단체·사건별 여성미술연구회 이전 다음 목록으로 돌아가기 URL 복사 단체 전거정보 이름 여성미술연구회 대등명Women‘s Art Research Association / 女性美術硏究會 존속일자1986~1994(폐지) 비채택어여미연 단체역사 ○ 설립 - 1986.12. 민족미술협의회 산하기관인 여성미술분과로 결성 - 1988. 여성미술연구회로 개칭 ○ 변천 - 1994 《제8회 여성과 현실전-웃는 여자들》을 끝으로 해체 더 보기 활동 및 배경 ○ 소개 - 결성배경 및 목적, 목표 • 여성미술연구회는 1986년 12월, 시월모임(김인순, 김진숙, 윤석남)과 이화여대 여성동인 터 그룹(구선회, 신가영, 정정엽, 최경숙), 김종례와 문샘이 결성한 민족미술협의회 산하의 여성미술분과에서 시작된 단체임 • 《제2회 시월모임전-반에서 하나로》 이후 본격적으로 여성미술을 논하고자 했던 시월모임과 터 그룹의 회원, 김종례, 이혜경과 민혜숙 등이 여성 관련 서적과 미술 이론서를 읽고 토론했던 모임이 결성의 계기임 • 사적 영역 내의 여성의 삶에 집중한 시월모임과 달리 여성미술연구회는 노동 현장에서의 여성 문제를 다룸 • 1988년 여성미술분과를 여성 문제를 실천하는 미술을 추구하는 집단 정체성을 분명히 하기 위해 여성미술연구회로 개칭 • 1987년 부천경찰서에서 발생한 성고문 사건을 계기로 올바른 여성운동의 방향을 제시할 목적으로 설립된 한국여성단체연합의 한 단체로 활동 • 1987년부터 1994년까지 연례전시 《여성과 현실전》 개최 • 산하 단체로는 그림패 둥지와 만화패 미얄이 있음 - 주요 인물 : 고선아, 구선회, 권성주, 김선희, 김성자, 김순지, 김영미, 김인순, 김종례, 김지선, 김진숙, 김혜결, 김화선, 노윤경, 문샘, 문재희, 박선미, 신가영, 신봉순, 신해랑, 유진경, 윤석남, 윤장훈, 이경희, 이상홍, 이현순, 이혜원, 이혜정, 전명임, 전성숙, 정정엽, 주명희, 최경숙, 하수경, 홍기자(창립 회원) ○ 주요활동 - 참여전시 • 1987.09.11.-09.17. 《제1회 여성작가 40인의 그림잔치-여성과 현실, 무엇을 보는가?》(그림마당 민) • 1988.10.14.-10.20. 《제2회 여성과 현실전》(그림마당 민) • 1989.09..22.-09.28. 《제3회 여성과 현실전-민족의 젖줄을 거머쥐고 이땅을 지키는 여성이여!》(그림마당 민) : 서로 다른 계급의 여성들의 현실을 형상화한 작품이 전시되고 연계 행사로 〈한국 근현대 미술작품 속에 나타난 여성〉을 주제로 한 슬라이드 강연 및 여성 영화가 상영됨 • 1990.09.21.-09.27. 《제4회 여성과 현실전-우리시대의 모성》(그림마당 민) • 1991.09.27.-10.03. 《제5회 여성과 현실전-여성미술: 열려있는 길, 나아가야 할 길》(그림마당 민) • 1992.10.02.-10.08. 《제6회 여성과 현실전》(그림마당 민) • 1993.11.26.-12.02. 《제7회 여성과 현실전-소비·행복·여성》(그림마당 민) • 1994.12.07.-12.13. 《제8회 여성과 현실전-웃는 여자들》(21세기화랑) - 전시, 작품 창작과 더불어 여성노동자, 여성농민을 교육하고 조직화하는 활동을 수행함 - 작품 활동 • 〈해방의 햇새벽이 떠오를 때까지 하나되어 나아가세〉, 1987 • 〈노동자는 지금〉, 1989 등 - 출판 • 산하단체인 그림패 둥지와 만화패 미얄을 중심으로 교육 자료를 제작, 배포하여 여성 노동운동의 현장을 지원함 • 『위대한 어머니』(형설사, 1989) : 여성미술연구회의 삽화가 수록된 여성농민교재 더 보기 참고정보원 경기도미술관, 『시점時點·시점視點 – 1980년대 소집단 미술운동 아카이브』, 2019 김윤수 교수 정년 기념기획 간행위원회 편, 『민족의 길, 예술의 길』(창작과비평사, 2001) 김인순 편, 『여성, 인간, 예술정신 : 두번째 개인전 화집』(과학과 사상, 1995) 김종길(2017), 「[미술] 노동하고 창조하는 우주여자」, 『황해문화』 97호 김종길(2019), 「[민중미술연대기 1979~1994(30)] 시월모임-노동하고 창조하는 우주여자」, 『미술세계』 5월 김현주(2013), 「한국현대미술사에서 1980년대 여성미술의 위치」,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6집 박응주 외, 『민중미술, 역사를 듣는다 1』(현실문화연구, 2017) 서울시립미술관, https://sema.seoul.go.kr/, 2021.08.26. 오진경(2000), 「1980년대 한국 ‘여성미술’에 대한 여성주의적 성찰」, 『현대미술사연구』 12집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미술 전시자료집 Ⅲ 1980-1989』, 2017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미술 전시자료집 Ⅳ 1990-1999』, 2018 이연재(2020), 「1980년대 한국 여성주의 형성과 교차성 개념을 통해 본 김인순의 페미니즘 작업-한국 페미니즘 미술사 지형도 다시 그리기」, 『현대미술사연구』 48집 「이우정 전 교수 여성단체연합 초대회장에」, 『경향신문』 1987.03.05. 장경화, 『오월의 미학, 뜨거운 가슴이 여는 새벽 : 한국 리얼리즘 미술 30인』(21세기북스, 2012) 조혜옥(2020), 「한국 페미니즘 미술의 역사, 담론의 재구성 : 1980년대 ‘여성미술’과 1990년대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미술’」, 『미술사논단』 51호 한국미술 다국어 용어사전, https://www.gokams.or.kr:442/visual-art/art-terms/glossary/art_list.asp, 2021.08.02.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http://www.art500.or.kr/jwork/boardClientView.do?boardID=1334562da986&boardCD=12d12175e368&boardRef=0&boardDepth=1&searchField=&searchWord=&mode=&returnUrl=&menuId=&category=P0000096, 2021.08.10. 더 보기 관련 전거(인물·단체·사건) 9건더보기 정정엽 Jung Jungyeob / 鄭貞葉 민족미술협의회 Korean People’s Artists Association / 民族美術協議會 《99 여성미술제-팥쥐들의 행진》 《Women's Art Festival 99: Patjis on Parade》 김인순 Kim Insoon / 金仁順 《제1회 여성작가 40인의 그림잔치-여성과 현실, 무엇을 보는가?》 둥지 시월모임 미얄 터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