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닫기 인물·단체·사건별 시월모임 이전 다음 목록으로 돌아가기 URL 복사 단체 전거정보 이름 시월모임 대등명 존속일자1985~1986(폐지) 비채택어- 단체역사 ○ 설립 - 1985 결성 ○ 변천 - 1986.12. 그룹 터와 결합하여 민족미술협의회 산하의 여성미술분과로 발전 더 보기 활동 및 배경 ○ 소개 - 결성배경 및 목적, 목표 • 1982년 《소묘11인전》(출판문화회관)에 참여한 김종례, 김인순, 윤석남이 여성문제에 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시월모임의 결성을 준비함 • 창립 당시에 김종례가 빠지고 김진숙이 참여 • 그룹명인 시월모임은 전시의 개최 시기를 1985년 10월로 잡았던 데에서 기인함 • 화가이자 가정주부였던 40대 여성미술인들이 여성의 경험과 가부장제에 대한 불만, 여성미술가의 작업을 평가 절하하는 미술계에 대한 비판의식 등을 작품 창작과 전시 개최를 통해 표현하고자 함 • 《제2회 시월모임전-반에서 하나로》는 사회 전반에 걸쳐 여성문제 담론을 촉발함 • 여성미술에 관한 확장된 논의를 위해 민족미술협의회 내의 여성미술분과로 통합, 여기 김종례가 합류하게 됨 - 주요 인물 : 김인순, 김진숙, 윤석남 ○ 주요 활동 - 참여전시 • 1985.10.09.-10.15. 《제1회 시월모임전》(관훈미술관) : 노동자와 농민의 문제를 다룸 • 1986.10.24.-10.30. 《제2회 시월모임전-반에서 하나로》(그림마당 민) : 가부장적 사회 속 ‘여성문제’를 주제로 나타냄 - 《제2회 시월모임전》의 전시기간 중 “여성과 사회의식”, “여성 문제 어떻게 그릴 것인가?”를 주제로 하는 대담을 기획 더 보기 참고정보원 경기도미술관, 『시점時點·시점視點 – 1980년대 소집단 미술운동 아카이브』, 2019 김달진미술연구소, https://www.daljin.com/?WS=33&BC=cv&DNO=18198, 2021.08.10. 김인순 편, 『여성, 인간, 예술정신 : 두번째 개인전 화집』(과학과 사상, 1995) 김종길(2016), 「[미술] 김인순, 여성의 현실과 맞서다!」, 『황해문화』 93호 김종길(2017), 「[미술] 노동하고 창조하는 우주여자」, 『황해문화』 97호 김종길(2019), 「[민중미술연대기] 1979~1994(29)] 시월모임 - 김인순, 여성의 현실에 맞서다!」, 『미술세계』 4월 김종길(2019), 「[민중미술연대기 1979~1994(30)] 시월모임-노동하고 창조하는 우주여자」, 『미술세계』 5월 경기신문, https://www.kgnews.co.kr/news/article.html?no=567782, 2021.08.10. 최열· 최태만 외, 『민중미술 15년: 1980-1994』(삶과꿈, 1994) 박응주 외, 『민중미술, 역사를 듣는다 1』(현실문화연구, 2017) 이연재(2020), 「1980년대 한국 여성주의 형성과 교차성 개념을 통해 본 김인순의 페미니즘 작업: 한국 페미니즘 미술사 지형도 다시 그리기」, 『현대미술사연구』 48집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미술 전시자료집 Ⅳ 1990-1999』, 2018 한국미술 다국어 용어사전, https://www.gokams.or.kr:442/visual-art/art-terms/index.asp, 2021.08.10.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http://www.art500.or.kr/jwork/boardClientView.do?boardID=1334562da986&boardCD=12d12175e368&boardRef=0&boardDepth=1&searchField=&searchWord=&mode=&returnUrl=&menuId=&category=P0000096, 2021.08.10. 더 보기 관련 전거(인물·단체·사건) 5건더보기 《99 여성미술제-팥쥐들의 행진》 《Women's Art Festival 99: Patjis on Parade》 김인순 Kim Insoon / 金仁順 《제1회 시월모임전》 여성미술연구회 Women‘s Art Research Association / 女性美術硏究會 터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