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닫기 인물·단체·사건별 이영욱 이전 다음 목록으로 돌아가기 URL 복사 인물 전거정보 이름 이영욱 대등명Lee Youngwook / 李英旭 생몰일자1957.09.16~(생존) 비채택어- 주요약력 ○ 출생지 - 서울 ○ 학력 - 1981 서울대학교 미학과 학사 - 1985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석사 - 1989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박사 수료 ○ 단체전 - 2016.10.20.-11.08. 《앉는법》(인디프레스) 기획 ○ 행정 - 1989-1990 미술비평연구회 회장 - 1993-2019 전주대학교 도시환경미술학과 교수 - 1999-2003 대안공간풀 대표 - 1999-2005 미술무크지 포럼A 발행인 - 2003-2006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원장 ○ 연구(출판) - 이영욱 외 공역,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시각과 언어, 1993) - 이영욱 외, 『최민화: 1990-1995: 분홍연작을 중심으로』(미술문화, 1965) - 이영욱, 『미술과 진실?: 우리 미술을 본 한 시점』(미진사, 1996) - 이영욱 역, 『포스트식민주의란 무엇인가』(현실문화연구, 2000) - 이영욱 외 공역, 『문화 이론 사전』(한나래, 2003) - 이영욱 외 공역, 『실재의 귀환: 20세기말의 아방가르드』(경성대학교출판부, 2003) - 이영욱 외, 『동시대 한국미술의 지형』(학고재, 2009) - 이영욱 외 공역,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 지형그리기』(문화과학사, 2010) - 이영욱 외 공역, 『장소 특정적 미술』(현실문화, 2013) - 이영욱 외, 『타이틀매치 2016: 주재환vs김동규』(서울시립미술관, 2016) - 이영욱, 『민중미술, 역사를 듣는다』(현실문화연구, 2017) - 이영욱 외, 『레드 아시아 콤플렉스 = Red Asia complex』(국립현대미술관, 현실문화연구, 2019) - 이영욱(1985), 「게오르그 루카치 후기 美學理論(미학이론) 硏究(연구): 체계연관에 중심을 둔 이론제시」,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석사논문 - 이영욱(1990), 「80년대 미술운동과 현실주의」, 『민중미술을 향하여 : 현실과 발언 10년의 발자취』, 현실과 발언 편집위원회 - 이영욱(1992), 「키취/진실/우리 문화」 『문학과 사회』 통권 20호, 문학과 지성사 - 이영욱(1995), 「문화의 키취화 그리고 미술」 『현대사상연구』 Vol.9, 목원대학교 현대사상연구소 - 이영욱(1996), 「정보화 시대와 미술: 변화의 대응」 『예술문화』 Vol.1, 전주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 이영욱(1998), 「사진이 주는 생각」 『황해문화(HWANG HAE REVIEW)』 Vol.21, 새얼문화재단 - 이영욱(2000), 「대안공간」 『황해문화(HWANG HAE REVIEW)』 Vol.26, 새얼문화재단 - 이영욱(2000), 「지금 이 곳에서의 회화 혹은 전통의 확장」 『황해문화(HWANG HAE REVIEW)』 Vol.27, 새얼문화재단 - 이영욱(2000), 「진정한 축제를 기대하며」 『황해문화(HWANG HAE REVIEW)』 Vol.28, 새얼문화재단 - 이영욱(2000), 「아방궁 프로젝트 전말기」 『황해문화(HWANG HAE REVIEW)』 Vol.29, 새얼문화재단 - 이영욱(2001), 「현대미술과 대중문화: 양자의 관계가 제기하는 몇 가지 미학적 질문」 『美學(미학)』 No.30, 한국미학회 - 이영욱(2003), 「연중기획-‘이달의 책, 이달의 저자’: 옆에서 본 임영방」 『출판저널』 Vol.332, 대한출판문화협회 - 이영욱(2010),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과 그 비판」 『美學(미학)』 Vol.61, 한국미학회 - 이영욱(2011-2012),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공동체-기반 미술/대화의 미학: 새로운 협업적 공공미술에 대한 해석들」, NRF KRM(Korean Research Memory), 안국연구재단 연구보고서 - 1992.11.20.-12.03. 《최민화 개인전》(자하문미술관) 리플릿 서문 「최민화」 - 1992.12.19.-12.28. 《미술의 반성전》(금호미술관) 브로슈어 서문 「미술의 반성 혹은 넘어서기」 - 1995.08.31.-09.07. 《이기칠 조각전》(나무화랑) 브로슈어 서문 「확장된 조각:사물과 공간의 열림에 대한 은밀한 기대」 - 1995.11.20.-12.02. 《오병욱전: 인간/사회/재난》(신세계 동방 갤러리) 브로슈어 서문 「오병욱-인간/사회/재난」 - 1996.03.18.-03.27. 《서용선 개인전》(조현갤러리) 리플릿 서문 「도시에서 살기:의식으로 버텨내기」 - 1996.04.20.-05.15. 《이기칠 조각전》(토탈야외미술관) 브로슈어 서문 「잠정적인 행위의 메시지로서의 조각」 - 1996.11.29.-12.09. 《임송자 조각전》(가람화랑) 브로슈어 서문 「평범한 아름다움의 온전한 드러남」 - 1997.10.10.-10.31. 《송창:기억의 숲-소나무》(동아갤러리) 브로슈어 서문 「분단:기억하는 자의 곤혹스러움」 - 1997.10.24.-11.16. 《이종빈 조각전》(금산갤러리) 브로슈어 서문 「도시의 삶과 꿈꾸는 조각」 - 1999.05.15.-05.24. 《최상철 개인전》(갤러리상) 브로슈어 서문 「‘침묵의 빛’ 그리고 ‘움직임’」 더 보기 참고정보원 국립현대미술관, http://www.mmca.go.kr, 2020.07.27. 김달진미술연구소, 『미술인 인명사전』, 2018 김달진미술연구소, http://www.daljin.com, 2020.07.27. 서울시립미술관, https://sema.seoul.go.kr, 2020.07.28. 한국교육학술정보원, http://www.riss.kr/index.do, 2020.08.05. 전주대학교, http://www.jj.ac.kr/jj-bak/community/news/jjnews.jsp?mode=view&article_no=122880&board_wrapper=%2Fjj-bak%2Fcommunity%2Fnews%2Fjjnews.jsp&pager.offset=4300&board_no=1045, 2020.07.27. 더 보기 관련 전거(인물·단체·사건) 2건더보기 아트 스페이스 풀 Art Space Pool 포럼A Forum A 관련 예술자료 4건더보기 《최민화 분홍연작집》 등록번호MA-01-00020520 수집처최민 생산자심광현, 이영욱, 이주현, 황세준 생산시기19951220 이영욱의 「한국문화예술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원고 등록번호MA-02-00004796 수집처김정헌 생산자이영욱 생산시기20010330 이영욱의 「공공미술/ 제도/ 지금 이 곳의 미술」 원고 등록번호MA-02-00004794 수집처김정헌 생산자이영욱 생산시기00000000 「미술하기의 곤혹스러움에 대하여」 등록번호MA-02-00002157 수집처김용익 생산자이영욱 생산시기00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