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유감 時代遺憾⟫은 2001년 가나아트 이호재 대표로부터 기증받은 작품 200점으로 구성된 ‘가나아트 컬렉션’을 소개하는 두 번째 전시이다. “80년대 시대의 복판을 살아가는 미술인 한 사람에게 주어진 당연한 책무”로서 리얼리즘 계열의 작품을 지원했다는 이호재 대표의 회고처럼, 200점의 작품은 격동의 한국현대사를 몸소 헤쳐 온 46명 작가들의 생생한 시대유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중 160여 점은 민중미술을 적극적으로 추동한 작가들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한국현대미술사에서 가장 치열하게 시대성을 구현한 미술로 평가 받고 있다.
1980년대 초 ’88올림픽과 ’86아시안게임의 서울 유치가 차례로 확정되면서 제5공화국은 산업화, 도시화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시키며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스크린(screen), 스포츠(sports), 섹스(sex)를 장려하는 ‘3S’정책에 따라 대중매체는 급속도로 성장했고 각종 프로 스포츠가 출범했으며 야간통행금지가 해제되는 등 일상의 모습은 그 어느 때보다 다채롭고 화려하게 변화되었다. 그러나 유례없는 대규모 유화정책은 도시와 농촌 간의 불균형, 분단의 현실, 불합리한 노동환경 등이 빚어내는 실제 민중들의 삶과 목소리를 외면하게 하고, 민주화를 향한 국민적 열망을 정치적 무관심으로 유도했다
이러한 역사의 흐름 가운데 미술 내부에서는 시대현실에 침묵하는 모더니즘 미술에 대한 자성이 터져 나오며 ‘민중미술’이 태동했다. 당시 20~30대 젊은 작가들과 미술평론가들은 동시다발적으로 ‘소집단을 결성’하고 선언문을 발표하며 정치, 사회적 현실을 비판적으로 다룬 구상회화의 부활을 이끌어내었다. 이번 전시에서 소개하는 작가 대부분은 집단적 연대를 통해 한국의 자생적 미술운동을 견인한 장본인들이다. 특히 전시장 가운데 마련된 섹션에서는 ‘집단적 신명’을 통해 한국사회의 아픔을 어루만지며 현실을 극복하고자 한 김봉준, 오윤, 이응노, 홍성담 등의 작품들이 소개된다. 이들은 시대의 아픔을 신명 나는 굿 한 판, 전통 민속춤, 연희패의 활력과 같은 ‘집단적 신명’으로 풀어냄으로써 민중미술의 고유한 미학을 성취하였다. 어떤 어려움도 거뜬히 극복할 수 있는 역동적인 상태를 의미하기도 하는 ‘신명’은 유화정책이 철회되고 민주화 투쟁이 강력하게 가열되는 1980년대 중〮후반에 제작된 안창홍, 황재형, 박인경 등의 작품들에서도 발견된다. 서울시립미술관의 대표 컬렉션으로 자리 잡은 가나아트 컬렉션을 소개하는 이번 상설전시를 통해 한국현대미술사의 전환기를 견인한 시대정신과 민중미술을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