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끊임없이 다른 강에 스며든다》
2000년 전후 한국의 기록 분야와 동시대 미술 현장에서는 아카이브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기조가 형성되었다. 지난 세기 굴곡진 한국 근현대사의 희생과 인권 침해에 대한 진상 규명 운동과 함께, 공적 기록에 포착되지 못한 사적 영역의 기록인 매뉴스크립트에 대한 가치가 재평가되었다. 또한 공식 역사와 기억을 뒷받침해 왔던 아카이브에 대한 비평과 대안적 실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동시대 미술 역시 아카이브에 대한 비평적 이론을 수용하면서 기록을 생성·재조직하여 제도권이나 주류 매체에서 다루지 않는 사건이나 대상을 사회적으로 공론화하는 데 연대하였다. 지난 20여 년간 매뉴스크립트와 아카이브 기반 작업은 소외되고 억압되었던 사건과 대상을 발굴하고 사회적 기억으로 환원하는 공동의 지형을 형성해 왔다.
이번 전시는 2025년 서울시립미술관의 기관 의제인 ‘행동’과 연계하여, 기록의 사회적 가치와 실천적 기제를 조망하고자 한다. 오늘날의 시점에서 아카이브 아트라 불려 왔던 흐름, 그리고 매뉴스크립트 역사를 함께 바라본다. 이 두 흐름은 대항 기억을 형성하면서 아카이브에 대한 비평적 담론을 지속적으로 갱신한다. 특히, 디지털 기술과 커뮤니케이션의 확산으로 정보 생산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는 오늘날, 잘못된 정보와 대안적 사실이 범람하는 가운데 최근의 국내외 갈등과 분쟁, 참사 등은 ‘현재를 어떻게 기록하고 해석해야 할 것인가’라는 복합적인 과제를 던진다. 이러한 시대적 과제 속에서 재현과 보존을 넘어 사회적 기억을 복원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드러내는 동시대 미술과 기억 기관인 아카이브의 사회적 역할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전시 제목인 《우리는 끊임없이 다른 강에 스며든다》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기원전 535-475)의 ‘똑같은 강물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다’는 경구에 착안한 것으로, 기록이 항구적인 것이 아닌 그것을 읽고 감각하면서 지금의 인식과 만나는 현재진행형의 과정임을 강조한다. 전시는 사건이나 대상에 대한 섬세한 접근과 입체적인 관계를 따라 ‘지연하는 기억’, ‘목격하는 기록’, ‘던져지는 서사’로 구성하였다. ‘지연하는 기억’에서는 한국 근현대사와 억압된 공동체의 역사를 동시대의 관점으로 해석하는 작품과 연관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의 기록을 전시한다. ‘목격하는 기록’은 사건 이후 오랜 기간 표면화되지 못했던 제주4·3과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제주4·3평화재단과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의 소장 기록과 함께, 이에 대한 섬세한 도큐멘테이션을 통해 정동의 공간을 형성하는 작품을 선보인다. ‘던져지는 서사’에서는 현실 문제와 아카이브에 뿌리를 두면서도 반대로 그 부재의 공간에서 새로운 서사를 구축하여 사회적 통념이나 경계 그리고 단편적인 담론에 가려진 영역을 해방시키는 작업을 선보인다.
《우리는 끊임없이 다른 강에 스며든다》는 과거와 현재의 기록이 계속해서 재구성되고 재해석되는 과정을 통해, 우리의 기억, 정서, 인식을 새로이 환기하고 미래를 향한 우리의 행동을 촉구하는 기록의 행동주의를 다각도로 인식하고자 한다.
협업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제주4·3평화재단,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
참여작가 권은비, 김아영, 나현, 문상훈, 윤지원, 이무기 프로젝트, 임흥순, 타카하시 켄타로
Into Other Rivers
In the wake of the 2000s, both the field of archival studies and the contemporary art scene in Korea have witnessed a growing discourse around archives. Alongside truth-finding movements addressing the sacrifices and human rights violations embedded in Korea’s modern history, the value of manuscripts—records that remained outside official documentation—has been newly recognized. Simultaneously, critiques of institutional archives, which have long reinforced official histories and dominant narratives, have fueled alternative archival practices. Contemporary art has also engaged with archival theory, generating and reorganizing records to highlight events and subjects omitted from mainstream discourse. Over the past two decades, manuscript collections and archive-based artistic practices have played a key role in recovering marginalized histories and shaping a shared terrain of collective memory.
This exhibition aligns with the Seoul Museum of Art’s 2025 institutional theme, “action,” explores the social value and activist potential of archival practices today. Revisiting the trajectory of so-called archival art alongside manuscript practices it considers how these two currents contribute to counter-memory and shape evolving critical discourse on archives. In an era of digital saturation, where the rapid production of information coexists with misinformation and so-called alternative facts, the unfolding global crises urge us to reconsider—how we record and interpret the present. This exhibition seeks to reflect on the social role of contemporary art and archives in expanding social memory and amplifying diverse voices.
The exhibition title Into Other Rivers draws inspiration from the famous saying by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 Heraclitus (BCE 535–475), ‘one never steps into the same river twice.’ It underscores the point that records are not permanent—rather, they represent a process of interacting with today’s awareness as we read and perceive them. The exhibition consists of three sections, based on a detailed approach to incidents and objects and their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s. “Deferred Memory” presents artwork that turns a contemporary perspective on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the suppressed community histories within. In connection with this, it displays archival materials associated with the Korea Democracy Foundation and the Korea Queer Archive Queerarch. “Witnessed Record” presents archival materials from the Jeju 4·3 Peace Foundation and the Art Archives, Seoul Museum of Art (SeMA AA) which concern the history of the Jeju 4·3 and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The section also features artwork that creates a space of affect based on meticulous documentation of these histories. “Projected Narrative” presents work that is rooted in real-world issues and archives while constructing new narratives in those spaces of absence. In the process, it liberates realms that have hitherto been obscured by prevailing social ideas, boundaries, and fragmented discourse.
Into Other Rivers highlights how records of the past and present are continuously reshaped and reinterpreted, prompting a renewed awareness of memory, emotion, and perception while exploring the multifaceted nature of archival activism in driving future action.
Collaboration Korea Democracy Foundation, Jeju 4·3 Peace Foundation, Korea Queer Archive Queerarch
Artists Kwon Eunbi, Kim Ayoung, Na Hyun, Moon Sanghoon, Yoon Jeewon, Imoogi Project, IM Heung-soon, Takahashi Kenta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