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닫기 인물·단체·사건별 《98 도시와 영상 - 의식주》 이전 다음 목록으로 돌아가기 URL 복사 사건 전거정보 이름 《98 도시와 영상 - 의식주》 대등명Seoul in Media - Food, Clothing, Shelter 발생일(기간)1998.10.16~1998.11.04(종료) 비채택어- 사건개요 ○ 전시 소개 - 개요 : 《98 도시와 영상 - 의식주》는 1996년부터 시작된 서울시의 기획전 '도시와 영상'의 세 번째 전시로 1998년 10월 16일부터 11월 4일까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개최된 기획전임 • 추진위원장: 성완경, 추진위원회: 최병상, 박현기, 구본창, 홍순철, 이원곤, 육근병, 초청큐레이터: 이영철 - 주제: 의식주라는 가장 일상적인 주제를 통해 미술과 일상, 순수 미술과 타분야의 경계를 허물고 미디어 테크놀로지가 가져온 변화를 탐구하며 모더니즘 미학을 극복하는 복수성과 복잡성, 혼성성을 구현하는 새로운 전시 방식을 제시함 - 구성: 20, 30대의 신진 작가들을 대거 참여시키는 한편 사진, 건축, 디자인, 퍼포먼스, 비디오, 애니메이션, 전광판 아트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장르와 매체를 아우름 - 참여작가: 강경아, 강민권, 고낙범, 그룹올빼미(김기덕, 이병옥, 정세진), 김두섭, 김범, 김병수, 김상길, 김소라, 김오안, 김용익, 김용철, 김우일, 김홍석, 김희경, 목나정, 민인기, 박이소, 박영국, 박한진, 박혜준, 박활민, 노경애, 김동섭, 서정국, 성남프로젝트(김태헌, 김흥빈, 박용석, 박찬경, 박혜연, 조지은, 임흥순), 손봉채, 안규철, 안승업, 양혜규, 오돌또기, 오정미, 우나 임 & 프레드 레미, 유진상, 유현정, 이성강, 이수경, 이승택, 임정규, 장정연, 전린, 전승일, 전광판아트(최은경, 김윤), 정수진, 정혜승, 조범진, 주명덕, 주재환, 진달래팀(김두섭, 안병학, 이관용, 이세영, 이우일, 최준석, 현태준), 최민화, 함경아, 함양아, 홍승혜, Kimberly SaRee Tomes, Thomas Han, Raymond Hahn - 주요 전시 작품 • 성남 프로젝트의 〈성남 모더니즘/ 성남과 환경미술〉, 1998, 비디오, 슬라이드 프로젝션, 사진, 글, 복합매체 등 (성남프로젝트 : 김홍빈, 김태헌, 박용석, 박찬경, 박혜연, 임흥순, 조지은) • 안승업의 퍼포먼스 〈흙벽 회화 만들기〉 <지우기, 일루전 Erase, Illusion> 1998, 흙 • 함양아의 〈감각의 공간 Sensuous Space〉, 1998, 〈땅에서는(1분30초)〉, 1996 비디오, 〈치즈 On the Earth..., Cheese〉, 1996 비디오 등 더 보기 참고정보원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미술 전시자료집Ⅳ 1990-1999』, 2018, pp.264-265 김성호(1998), 「현장을 찾아서:삶을 드러내고 해부하는 미술」 『미술세계』 1998년 11월호, 미술세계 『98 도시와 영상-의식주전』, 서울특별시문화관광국 문화과, 서울시립미술관, 1998 『도시와 영상-서울 인 미디어 1988-2002』, 서울시립미술관, 1996 더 보기 관련 전거(인물·단체·사건) 6건더보기 김용익 Kim Yongik / 金容翼 서울시립미술관 Seoul Museum of Art / 서울市立美術館 박찬경 Park Chankyong / 朴贊景 성남프로젝트 Seongnam Project 성완경 Sung Wankyung / 成完慶 주재환 Joo Jaeh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