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닫기 인물·단체·사건별 열화당 이전 다음 목록으로 돌아가기 URL 복사 단체 전거정보 이름 열화당 대등명Youlhwadang / 悅話堂 존속일자1971.07.02~(존재) 비채택어- 단체역사 ○ 설립 - 1971.07.02. 도서출판 열화당 설립 ○ 변천 - 1975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진동 3-3에 사무실 개설 - 1981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수동 445-5 출판단지 203호로 사무실 이전 - 1988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372-9로 사옥 이전 - 1990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506 강남출판문화센터 신사옥으로 이전 - 2000 열화당 웹사이트 개설 - 2004.02.11.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문발리 520-10 파주출판도시 신사옥으로 이전 - 2004.10. 사옥 내 1층에 아트북 카페 ‘향기있는 책방’과 ‘갤러리 로터스(Lotus)’(개관전시 : 2004.10.15.-10.24. 김종학 개인전, 《자연을 마음대로 그렸습니다》) 개관 - 2009.01.09. 열화당 사옥 신관 증축 완공 - 2009.09.19. 증축한 신관에 ‘도서관+책방’ 오픈 더 보기 활동 및 배경 ○ 단체 소개 - 창립 배경 및 목적 : 미술과 시각 매체, 한국전통문화 분야의 서적 출판을 위해 1971년 열화당 설립 - 목표 : “우리 시대를 담아내고 이끌어 가는 책”과 “한국문화의 미래를 떠받치는 책”의 출판 - 주요 인물 : 이기웅 - 시설 :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문발리 520-10 파주출판도시 열화당 사옥 ○ 주요 활동 - 전시 및 프로그램 • 1982.11.05.-11.14. 『素月詩木版畵集』 출간기념 전시회(교보문고) • 1991 열화당 창립 20주년 기념행사, 20년간 출간된 약 400여 종의 예술도서 전시(강남출판문화센터 이벤트홀) • 1994.05. 작품집 『입에서 꼬리까지』 출판기념회 및 저자 홍신자의 <웃는 돌 무용단> 창단공연(예술의전당 토월극장) • 1994.06.17.-06.28. 『우연 또는 필연』 출간과 함께 《강운구 사진전》(학고재) 개최 • 1997.04. 관조 사진집 『生, 滅, 그리고 輪廻』 출판기념회 및 사진전(종로 갤러리) • 1999 제51회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한국관 참가 • 2002.01.16.-01.31. 『영겁 그리고 찰나』 출간과 함께《강우방 사진전》(학고재) 개최 • 2003.11.05.-11.14. 『일상의 풍경』 출간과 함께 《임영균 사진전》(박영덕화랑) 개최 • 2004.06.17.-07.04. 『김종학이 그린 설악의 사계』 출간과 함께 《설악의 사계》(갤러리 현대) 개최 • 2004.10.15.-10.24. 『김종학이 그린 설악의 사계』 출간과 함께 《자연을 마음대로 그렸습니다》(갤러리 로터스) 개최 • 2004.12.01.-12.31. 김혜련 초대전 《정물이 있는 풍경》(갤러리 로터스) • 2005.03.02.-05.15. 최민식 사진전《종이거울 속의 슬픈 얼굴》(갤러리 로터스) • 2005.05.23.-06.30. 최종태 작품전집 전 6권 중 1권 『최종태 소묘-1970년대』 출간기념 소묘전 《내 어두운 삶에서 밝은 형태를》(갤러리 로터스) • 2005.07.20.-10.10. 사진 문고 『황규태』 출간기념 사진전 《DNA·픽셀》(갤러리 로터스) • 2005.08.31.-09.19. 『청산에 살어리랏다』 출간과 함께 《배병우 사진전》(인사아트센터) 개최 • 2005.12.29.-2006.04.09. 『건축이란 무엇인가』 출간기념 건축스케치전 《북시티 디자이너들의 드로잉, 그 사유의 흔적》(갤러리 로터스) • 2005 조각가 김종영 탄생 90주년 기념 『초월과 창조를 향하여』 재발간 및 기념 전시 개최(김종영미술관, 덕수궁미술관, 갤러리 원) • 2005 제57회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참가, 한국어판과 영문판으로 동시 출간한 『굿, 영혼을 부르는 소리』가 큰 호응을 얻었고, 저자 김수남은 베를린에서 《한국의 굿》 사진전 개최 • 2006.05. 상설전시 《헌책방-그리운 책들의 풍경》(열화당 사옥) • 2006.05.01.-06.20. 『옹기』 출간기념 《옹기가 놓인 삶의 풍경》(갤러리 로터스) • 2006.07.03.-09.15. 창립 35주년 기념《명사 35인의 특별한 서한》(갤러리 로터스) • 2006.09.30.-10.22. 《김진석 영상/설치전-視界를 넘어》(갤러리 로터스) • 2007.02.22.-04.30. 『먹빛의 자코메티』와 『자코메티의 아틀리에』 출간기념 《먹빛의 자코메티: 최종태가 그린 가녀린 영혼의 초상》(갤러리 로터스) • 2007.05.04.-06.30. 《근원 김용준 서거 40주기 기념전》(갤러리 로터스) • 2007.10.29.-12.02. 노순택 개인전 《붉은 틀》(갤러리 로터스) • 2008.01.01.-02.29. 『서대문 형무소』 출간기념 《서대문 형무소 백 주년 기념 출판 및 이미지展》(갤러리 로터스) • 2008.04.28.-06.30. 『古書 이야기』 출간 및 <2008 파주출판도시 어린이책잔치> 기념 《우리 집 우리 학교: 1940-1970년대 초등학교 교과서전》(갤러리 로터스) • 2009.12.24.-2010.02.15. 《책 안의 캔버스-김혜련展》(도서관+책방) • 2011.04.16.-07.03. 『오래된 풍경』 출간과 함께 강운구 개인전 《오래된 풍경》(부산 고은사진미술관) 개최 • 2011.07.02.-08.12. 월전 장우성 수필집 『月田隨想』 출간기념 《마음 가다듬고 붓을 드니-월전 장우성 소묘展》(도서관+책방) • 2011 『船橋莊』 출간기념 《차장섭 사진전: 아름다운 사람 아름다운 집, 강릉 선교장》 - 출판 • 1971 열화당의 첫 도서 『闢衛編』 출판, 이후 본격적으로 미술 출판을 시작하는 1975년까지 『楷書正法入門』, 『久菴遺稿』, 『七寶의 美』 1·2 등을 출간 • 1975 미술전문 출판사로서 열화당을 인식시킨 ‘미술문고’ 시리즈 출판 시작(『미켈란젤로』, 『반 고호』, 『폴 고갱』,『피카소』, 『현대미술의 감상』의 5권으로 시작했으며, 이후 67권까지 출간된 이 시리즈는 1994년 ‘열화당 미술문고’ 시리즈로 바뀌어 현재는 절판) • 1977 미술 이론 시리즈인 ‘열화당 미술선서’가 『서양미술사』를 첫 번째 책으로 출판 시작, 이후 1998년까지 70권 출간 • 1978 ‘한국문화예술총서’ 출간 • 1982 『素月詩木版畵集』 출간과 함께 판화(작품별 20점 한정판, 가격 50,000원) 제작, 해당 기획은 아트 에디션의 전범을 보여 주는 최초 사례 • 1983 ‘한국의 굿’ 시리즈 기획, 그해에 『황해도 내림굿』, 『경기도 도당굿』, 『제주도 영등굿』을 출간했으며 1993년에 『거제도 별신굿』, 『황해도 지노귀굿』, 『위도 띠배굿』,『서울 진오기굿』까지 출간하고 20권으로 완간 • 1984 『열화당 미술연감』 출간 시작, 이후 1989년까지 6권 출간했으며 1990년 중단 • 1985 1980년대 미술운동의 중심에 있었던 ‘현실과 발언’의 동인지 『현실과 발언』 출간 • 1986 서울 아시안게임에 맞추어 ‘한국의 고궁’ 시리즈 5권 출간 • 1986 ‘열화당 사진문고’ 시리즈 출판 시작, 이후 1988년까지 16권 출간 • 1987 ‘한국의 탈놀이’ 시리즈 5권 기획, 1991년 완간 • 1988 ‘20세기미술운동총서’ 기획 및 1차분 10권 출간, 1993년까지 총 30권으로 완간 • 1988 ‘한국기층문화의 탐구’ 시리즈 기획 및 출간 • 1989 ‘교양한국문화사’ 시리즈 기획 및 출간 • 1990 한·불 공동출판 세계미술전집 ‘위대한 미술가의 얼굴’ 시리즈 출판 시작, 『반 고흐』, 『고야』, 『로댕』, 『르느와르』를 시작으로 1994년까지 16권 출간 • 1991 ‘일본의 전통연희’ 시리즈 기획, 1997년까지 『노오(能)』, 『교겡(狂言)』, 『분라쿠(文樂)』, 『가부키(歌舞伎)』 총 4권 완간 • 1992 ‘춤과 그 사람’ 시리즈 10권 출간 • 1994 ‘열화당 미술문고’ 출판 시작 • 1996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과 함께 새로운 영화·영상 세대를 위한 ‘영상원총서’ 기획, 1998년까지 『영화에서의 몽타주 이론』, 『시네마, 테크노 문화의 푸른 꽃』, 『할리우드 만화영화』의 3권 출간 • 2000 새로운 시리즈 ‘열화당 미술책방’ 출간 시작 • 2001 ‘우리 문화예술론의 선구자들’ 시리즈 출간 시작 • 2002 ‘열화당 사진문고’ 시리즈 출간 시작 • 2003 영국의 테이트 갤러리와 공동으로 ‘현대미술운동총서’ 1차분 12권 출간 • 2004 창립 33주년 기념 출간된 600여 종의 책을 정리, 수록한 『열화당 도서목록 1971-2005』 발간 • 2004 뉴욕현대미술관(MoMA) 재개관을 기념하여 전 세계 8개국어로 동시 출간되는 『모마 하이라이트』 한국어판 번역 출간 • 2009 ‘2006 한국의 책 100’ 번역출판사업의 지원을 받아 스페인 에디토리알 베레니세 출판사와 공동으로 『경주남산』의 스페인어판인 『Gyeongju Namsan』 출간 • 2010 『열화당 도서목록 1971-2011』 발간 - 학술대회 • 1998 반년간지 『동아시아 문화와 사상』 창간, 창간기념 포럼 <동아시아론, 그 실상과 허상> 개최(성균관대학교) • 2006.07.02. 창립 35주년 『한국근현대미술의 역사』(전2권) 출간, 출간기념 심포지엄 <한국 근대미술사학의 과제와 미래> 개최(열화당 사옥) 더 보기 참고정보원 열화당, youlhwadang.co.kr, 2022.08.14. 최민(1996), 「열화당과 나」, 『글, 최민 : 崔旻 散文』, 파주 : 열화당, 2021, pp. 800-802. 최민, 『글, 최민 : 崔旻 散文』, 파주 : 열화당, 2021, pp. 823-830, 840-842 더 보기 관련 전거(인물·단체·사건) 2건더보기 최민 崔旻 현실과 발언 Reality and Utter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