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닫기 인물·단체·사건별 정이삭 이전 다음 목록으로 돌아가기 URL 복사 인물 전거정보 이름 정이삭 대등명Chung Isak 생몰일자1980.07.04~(생존) 비채택어- 주요약력 ○ 출생지 - 서울 ○ 학력 - 2005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 학사 졸업 - 2008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전문사 졸업 ○ 단체전 - 2017.09.22.-11.19. 《배움의 무대》(아르코미술관) - 2017.09.01.-11.05. 2017 서울도시건축 비엔날레 - 2017.09.29.-10.29. 《Drawing Life》(구리아트홀 갤러리) - 2017.10.20.-11.03. 《Those Except Public, Art and Public Art》(광교 따복하우스 홍보관) - 2018.02.13.-06.10. 《구조의 건축》(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 2018.08.25. 《한강_예술로 멈춰. 흐르다,》(한강예술공원) - 2019.06.10.-09.29. 《잠금해제》(민주인권기념관) - 2019.07.12.-08.25. 《리얼-리얼시티》(아르코미술관) - 2020.06.19.-06.25. 《CAMP 2020》(원주시 캠프롱) - 2021.04.23.-08.29. 《시간여행사 타임워커》(부산현대미술관) ○ 기획 - 2013.07.27.-09.22. 《리얼 디엠지 프로젝트 2013》(아트선재센터, 강원도 철원 DMZ 접경지역) 총괄 코디네이터 - 2015.10.08.-10.15. / 2015.11.03.-11.05. 《Urban Carpenters: 도시를 짓는 목수들》(서울시청 시민청 / 서울시립대학교 자작마루) 전시 총괄기획 - 2015 《서울서울서울》 큐레이터 - 2015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주관 ‘문화를 짓다 = Making Space : 젊은 예술가들의 행복한 공간 만들기 프로젝트’ 큐레이터 - 2016.09.02.-10.06. 베이징 디자인 위크 2016 한국관 큐레이터 - 2016.05.28.-11.27. 2016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 한국관 《용적률 게임》 큐레이터 - 2017.09.01.-11.05. 서울도시건축 비엔날레 협력큐레이터, 《프로젝트 서울 어패럴》 기획 - 2019.05.18.-07.06. 공연 ‘포스트 아파트’(두산아트센터 Space111) 공간/건축 감독 - 2020.06.19.-06.25. 《CAMP 2020》 전시 총감독 ○ 행정 - 2013-현재 a.co.lab(에이코랩) 대표 - 2016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문화예술 명예교사 - 2016 마이크로시티랩 작가 - 2017-현재 동양대학교 디자인학부 교수 - 2019 서울디자인재단 서울디자인컨설턴트 - 서울도시건축연구소(UA-SA), 동우건축, 이앤오건축사사무소, 유타건축사사무소 등에서 건축 및 공공 연구 실무 - 해병대 시설과 설계장교로서 공공 행정업무 및 군 시설 설계 및 감독 - SAMUSO(아트선재센터) 미술 기획 실무 ○ 수상 - 2015 한국디자인기업협회 잇(It)-어워드 공공환경디자인 부문 - 2015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 우수상 - 2016 한국공간디자인단체총연합회 따뜻한 공간상(대상) ○ 연구(출판) - 정이삭 외, 『하이퍼폴리스』(시공문화사, 2015) - 정이삭 외, 『The Seoul, 예술이 말하는 도시미시사』(이안북스, 2016) - 정이삭, 「건축, 모두의 언어」(『건축』 제60권 제12호, 2016) - 정이삭, 「연평 도서관」(『교육시설』 제25권 제4호, 2018) - 정이삭, 「노란 평상」(『건축』 제62권 제11호, 2018) - 정이삭, 「바텀업(Botton-up) 접근법의 참여 디자인을 통한 복합문화공간 디자인 – 동두천 장애인 복지관 ‘햇살큰방’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13권 제4호, 2018) - 정이삭, 「‘기존’과 ‘동시대’ 가치의 충돌과 접점」(『공간』, 2019.09.) - 정이삭, 「[춤과 건축] 우리가 가진 것은 몸뿐」(『춤:in』 웹 매거진, 2020.06.12.) - 정이삭, 「철 이른 해수욕장: 캠프 2020」(『공간』, 2020.08.) - 정이삭, 「나머지론」(『공간』, 2020.09.) - 정이삭, 「찢긴 휘장」(『공간』, 2021.05.) - 정이삭 외, 『할 수 있을 때까지, 원인동』(원주문화재단, 2021) - 정이삭, 「(사회와 건축가의) 새로운 기억을 위한 과정」(『공간』, 2021.09.) 더 보기 참고정보원 『The FAR Game: Constraints Sparking Creativity』 (전시 도록), 2016 a.co.lab, www.acolab.co.kr, 2022.07.31. 한화건설 공식 블로그, http://blog.hwenc.co.kr/459, 2022.08.01. RISS, http://www.riss.kr/index.do, 2022.08.04. 더 보기 관련 전거(인물·단체·사건) 1건더보기 제15회 2016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 《용적률 게임: 창의성을 촉발하는 제약》 귀국전 The FAR(Floor Area Ratio) G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