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닫기 인물·단체·사건별 현실과 발언 이전 다음 목록으로 돌아가기 URL 복사 단체 전거정보 이름 현실과 발언 대등명Reality and Utterance 존속일자1979~1990(폐지) 비채택어현발 단체역사 1979 현실과 발언 결성 1990 창립 10주년에 해산 더 보기 활동 및 배경 ○ 소개 - 창립배경 및 과정과 목적 • 산업사회의 모순과 미술계의 보수성을 비판하며 미술가와 평론가가 모여 1979년에 조직한 단체로, 4·19 혁명(1960) 20주년 기념 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결성됨 • 기존 미술이 ‘유한층의 속물 취향에 아첨’하거나 ‘고답적인 관념의 유희만을 고집’함으로써 현실과 유리되었음을 지적하고 당대 현실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사회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비판적 예술 활동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삼음 • 현실과 발언은 11번의 동인전과 기획전을 개최하고 창립 10주년인 1990년에 해산함 - 주요 인물, 시설 • 창립발기인 (1979.12.): 김경인, 김용태, 김정수, 김정헌, 성완경, 손장섭, 오수환, 오윤, 원동석, 윤범모, 주재환, 최민 • 창립전 직전 확정 회원(1980.01.): 김건희, 김용태, 김정헌, 노원희, 민정기, 백수남, 손장섭, 신경호, 심정수, 오윤, 임옥상, 주재환, 성완경, 원동석, 윤범모, 최민 ○ 주요활동 - 전시 • 1980.10.17.-10.23. 《현실과 발언 창립전》(문예진흥원 미술회관, 현 아르코미술관) : 개막 직전 전시 불가 판정을 받아 3주 뒤 장소를 변경하여 개최함 • 1980.11.13.-11.19. 《제1회 현실과 발언 동인전》(동산방화랑) • 1981.07.22.-07.27. 《제2회 현실과 발언 동인전: 도시와 시각》(롯데화랑) • 1981.09.09.-09.15. 《제2회 현실과 발언 동인전: 도시와 시각》 순회전(광주 아카데미미술관) • 1981.09.22.-09.27. 《제2회 현실과 발언 동인전: 도시와 시각》 순회전(대구 대백문화관) • 1982.10.16.-10.22. 《제3회 현실과 발언 동인전: 행복의 모습》(덕수미술관) • 1983.07.13.-07.19. 《제4회 현실과 발언 동인전》(관훈미술관) • 1983.12.16.-12.25. 《현실과 발언 판화전》(한마당화랑) • 1984.06.26.-07.01. 《제5회 현실과 발언 동인전: 6.25》(아랍미술관) • 1986.12.19.-12.27. 《제6회 현실과 발언 동인전》(그림마당 민) • 1988.11.25.-12.01. 《제7회 현실과 발언 동인전: 한반도는 미국을 본다》(그림마당 민) • 1990.09.28.-10.11. 《현실과 발언 신작전》(그림마당 민) • 1990.10.03.-10.09. 《현실과 발언 10년전》(관훈미술관) - 해체 이후 전시 • 2010.07.29.-08.09. 《현실과 발언 30주년 기념전: 사회적 현실과 미술적 현실》(인사아트센터) • 2019.10.29.-2020.02.02. 《시점時點·시점視點-1980년대 소집단 미술운동 아카이브》(경기도미술관) • 2020.07.01.-07.31. 《현실과 발언 40주년 기념전: 그림과 말 2020》(학고재갤러리) - 출판 • 현실과 발언(1982), 『그림과 말: ‘82 행복의 모습전, 글모음, 자료』 • 현실과 발언(1985), 『현실과 발언: 1980년대의 새로운 미술을 위하여』, 열화당 • 현실과 발언 편집위원회(1990), 『민중미술을 향하여: 현실과 발언 10년의 발자취』, 과학과사상 더 보기 참고정보원 오마이뉴스 임옥상 인터뷰,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36432&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2020.07.24. 용태 형과 문화운동시대, 한겨례신문,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648822.html, 2020.08.07. 현실과 발언 30주년 기념전에 대한 미술평론가 이안의 글, https://www.eyeball.or.kr/332, 2020.08.07.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미술 전시자료집Ⅲ 1980-1989』, 2017, p.15, 105 김무경(1997), 「소집단의 생성과 소멸: '현실과 발언'의 경우」, 『사회과학연구』, Vol.6 이설희(2016), 「‘현실과 발언’ 그룹의 작업에 나타난 사회비판의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김진주(2016), 「선언의 관점에서 본 예술가의 사회적 발화 : ‘제4 집단’ 과 ‘현실과 발언’ 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전승보(2009), 「불발로 끝난 현실동인, 어둠 속에서 현실과 발언으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인터넷 글, https://iminju.tistory.com/333 윤범모, 『현실과 발언 10년의 발자취, 민중미술을 향하여』(과학과 사상, 1990) 더 보기 관련 전거(인물·단체·사건) 10건더보기 김정헌 Kim Jungheun / 金正憲 노원희 Noh Wonhee / 盧瑗喜 민정기 Min Joungki / 閔晶基 임옥상 Lim Oksang / 林玉相 최민 崔旻 《제1회 현실과 발언 동인전》 《제5회 현실과 발언 동인전: 6.25》 성완경 Sung Wankyung / 成完慶 주재환 Joo Jaehwan 열화당 Youlhwadang / 悅話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