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닫기 인물·단체·사건별 쌈지스페이스 이전 다음 목록으로 돌아가기 URL 복사 단체 전거정보 이름 쌈지스페이스 대등명Ssamzie Space 존속일자1998~2008.09(폐지) 비채택어- 단체역사 ○ 설립 - 1998 개관 (서울시 강동구 암사동) ○ 변천 - 2000.06. 서울시 마포구 홍익대학교 부근으로 이전, 복합문화공간으로 확장 - 2008.09. 폐관 더 보기 활동 및 배경 ○ 소개 - 창립배경 및 목적, 목표 • 쌈지 스페이스는 패션기업 ㈜쌈지의 문화예술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1998년 개관한 복합문화공간임 • 초창기부터 쌈지 스페이스는 실험적인 작업을 이어나가는 젊은 작가들에게 스튜디오를 제공하는데 주력함 • 공모를 통해 선정된 국내·외의 작가들에게 스튜디오 공간을 제공하는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국내에 정착하는데 공헌함 • 2000년에는 작가 레지던시뿐만 아니라 전시장과 공연장, 아카이브 겸 도서실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시설을 확장, 홍익대학교 부근으로 이전 • 2008년까지 레지던시와 전시에 참여한 작가는 400여 명에 달함 - 주요 인물 및 시설 • 김홍희 • 쌈지스페이스는 전시, 워크숍, 언더그라운드 록 음악 공연과 무용, 영상, 연극, 이벤트 등이 어우러지는 다원예술 공간을 표방함. 건물에는 지하의 “클럽쌤”과 더불어 각각 다른 전시를 개최했던 차고갤러리(1층), 프로젝트갤러리(2층), 메인갤러리(3층), 그리고 10개의 작가 스튜디오(4-6층)가 자리함 ○ 주요 활동 - 주요 전시 • 2000.06.26.-08.20. 《무서운 아이들…1990…2000…-21세기를 준비한 앙팡테리블》 : 쌈지스페이스 개관전. 고낙범, 이불, 최정화, 이형주, 안상수, 홍성민 참여 • 2000-2009 《이머징(Emerging)》 : 신진 작가를 발굴하여 소개하는 전시 • 2001-2006 《픽 앤 픽(Pick and Pick)》 : 중견 작가가 자신이 추천한 신진작가와 함께 꾸리는 그룹 기획전 • 2001-2007 《국제교류전》 • 2002-2005 《타이틀매치》 : 원로 작가와 신진 청년 작가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전시 • 레지던시 작가들의 개인전 등 - 레지던시 프로그램 • 쌈지스페이스 작가 명단 1998 : 고낙범, 김승영, 김홍석, 박병춘, 박영국, 박찬경, 서원영, 손봉채, 이상현, 이윰, 이주요, 장영혜, 정서영, 최정화, 홍순명 2001 : 김상길, 이경, 정연두, 조습 외 2002 : 신미경, 윤정미 외 2003 : 김기수, Sasa[44], 이형구, 정정주 외 2004 : 홍영인 외 2005 : 잭슨홍, 정소연, 정은영 외 2006 : 이재이, 신창용 외 2007 : 박지은, 안옥현 외 2008 : 권경환 외 - 1999-2013 쌈지사운드페스티벌 더 보기 참고정보원 김달진미술연구소, 『미술인 인명사전』, 2018 김달진미술연구소, http://www.daljin.com, 2021.08.08. 김선정 외, 『큐레이팅 9X0X』(아트선재센터, 2021) 김재석(2018), 「쌈지스페이스: 1998-2008-2018 여전히 무서운 아이들」, 『아트인컬쳐』 9월 백송민(2019), 「한국 대안공간의 실태와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서울시립미술관, https://sema.seoul.go.kr/, 2021.07.26. 이동연, 『한국의 대안공간 실태연구』(문화사회연구소, 2007)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미술 전시자료집 Ⅴ 2000-2004』, 2020 더 보기 관련 전거(인물·단체·사건) 5건더보기 김홍석 Gim Hongsok / Kim Hongsok / 金泓錫 박찬경 Park Chankyong / 朴贊景 김홍희 Kim Honghee / 金弘姬 《무서운 아이들…1990…2000…-21세기를 준비한 앙팡테리블》 사단법인 비영리전시공간협의회 Nonprofit Art Space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