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닫기 인물·단체·사건별 AG 이전 다음 목록으로 돌아가기 URL 복사 단체 전거정보 이름 AG 대등명AG (Korean Avant Garde Association) / 韓國아방가르드協會 존속일자1969.09~1975(폐지) 비채택어A.G.그룹, A.G., 한국아방가르드협회 단체역사 ○ 설립 - 1969.09. 협회지 『AG』 발간 ○ 변천 - 1970.05. 《제1회 ’70·AG전: 확장과 환원의 역학》 개최 - 1975.12. 《제4회 ’75·AG전》을 끝으로 해체 더 보기 활동 및 배경 ○ 소개 - 결성배경 및 목적, 목표 • 1969년, 협회지를 창간하며 활동의 시작을 알린 AG는 아방가르드를 전면에 내세운 전위예술 단체로 우리 조형예술을 발전시키자는 모토를 내세우고 예술에 새로운 생명의 의미를 부여하려 함 • 평론가와 실험적인 작가들이 공동으로 참여한 미술운동임 • 새로운 조형 질서의 모색으로 한국 미술의 문화 발전에 기여함 - 주요 인물 • 협회지 『AG』 1호 발간 시점의 회원(1969) : 곽훈, 김구림, 김차섭, 김한, 박석원, 박종배, 서승원, 이승조, 최명영, 하종현, 오광수, 이일 • 《제1회 ’70·AG전: 확장과 환원의 역학》에 명기된 회원(1970) : 김구림, 김인환, 김차섭, 김한, 박석원, 박종배, 서승원, 신학철, 심문섭, 오광수, 이승조, 이승택, 이일, 이태현, 최명영, 최붕현, 하종현 • 오광수와 이일은 평론가이며 이승조, 서승원, 최명영은 오리진, 곽훈과 김차섭은 회화 68전, 그리고 김구림은 회화 68전과 제4집단의 회원으로도 활동 ○ 주요활동 - 참여전시 • 1970.05.01.-05.07. 《제1회 ’70·AG전: 확장과 환원의 역학》(중앙공보관) • 1971.12.06.-12.20. 《제2회 ’71·AG전: 현실과 실현》(국립현대미술관) • 1972.08.18.-08.23. 《’72·AG판화전》(중앙공보관) • 1972.12.11.-12.25. 《제3회 ’72·AG전: 탈·관념의 세계》(국립현대미술관) • 1974.12.12.-12.19. 《제1회 서울·비엔나레》(국립현대미술관) : AG가 주최와 운영을 맡음 • 1975.12.16.-12.22. 《제4회 ’75·AG전》(국립현대미술관) 등 - 출판 • 『AG』 (1969-1971) : 총 4회 발간. 평론가와 작가의 글을 같은 비중으로 수록했으며 외국의 새로운 미술 경향을 소개함 더 보기 참고정보원 김미경(1998), 「한국의 실험미술 – AG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 6집 「多樣(다양)한表現(표현)·理念展開(이념전개)가능 아방가르드協會(협회) 70年(연)·AG展(전)」, 『동아일보』, 1970.05.05. 「美術誌(미술지)『AG』창간」, 『동아일보』, 1969.09.20. 박은영(2015), 「1960년대에서 1970년대로, 전환의 미술 – 그룹 ‘AG’를 중심으로」, 『미술사논단』 40호 「아방가르드協(협) 72-AG版畵展(판화전)」, 『조선일보』, 1972.08.22.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미술 전시자료집 Ⅱ 1970-1979』, 2015 한국미술 다국어 용어사전, https://www.gokams.or.kr:442/visual-art/art-terms/glossary/art_list.asp, 2021.08.0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2021.08.03. 더 보기 관련 전거(인물·단체·사건) 2건더보기 김차섭 Kim Tchah Sup / 金次燮 하종현 Ha Chonghyun / 河鍾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