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닫기 인물·단체·사건별 둥지 이전 다음 목록으로 돌아가기 URL 복사 단체 전거정보 이름 둥지 대등명 존속일자1987~1990(폐지) 비채택어그림패 둥지 단체역사 ○ 설립 - 1987.06. 여성미술연구회의 산하 단체로 설립됨 ○ 변천 - 1989 만화패 미얄이 둥지에서 분리됨 - 1990 노동미술위원회에 결합되며 해체 더 보기 활동 및 배경 ○ 소개 - 결성배경 및 목적, 목표 • 둥지는 여성 노동자들이 직면한 저임금 노동과 열악한 근로 환경을 조명한 여성 미술가들의 모임으로 여성미술분과(이후 여성미술연구회로 개칭) 소속 단체임 • 1987년 7월, 민주시민 대동제에서 여성미술분과는 한국여성단체연합, 시민들과 함께 걸개그림 〈해방의 햇새벽이 떠오를 때까지 하나되어 나아가세〉를 제작함 • 노동운동 현장의 여성노동자들과 직접 소통하고 이를 바탕으로 걸개그림을 제작하는 등 현장 실천 활동을 중요시함 • 1987년 11월 〈해방의 햇새벽이 떠오를 때까지 하나되어 나아가세〉의 엽서 제작과 관련하여 김인순 등을 연행하기 위해 사복형사가 여성단체연합 사무실에 불법 침입한 사건 이후, 미술가 개인의 이름 대신 그림패 둥지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 • 1989년 〈여성만화신문〉의 발간과 더불어 만화패 미얄이 둥지로부터 분리되어 독립적인 단체로서 활동을 이어나감 • 1990년 민족미술협의회의 산하기관인 노동미술위원회가 신설되는 과정에서 노동미술위원회에 결합되어 해체됨 - 주요 인물 : 구선회, 김민희, 김인순, 김진숙, 문샘, 윤석남, 정정엽, 최경숙 등 ○ 주요 활동 - 참여전시 : 1990.03.03.-03.25. 《1990년 동향과 전망-새벽의 숨결》(서울미술관) 등 - 작품 활동 : 예술의 사회적 실천을 위해 여성대회와 노동운동 현장에서 사용될 걸개그림, 깃발, 플래카드, 포스터, 전단, 인형, 마스크 등을 제작 • 〈평등을 향하여〉, 1987, 천에 아크릴릭, 250cm x 400cm : 한국여성민우회 창립대회를 기념하여 제작 • 〈맥스테크 민주노조〉, 1988, 천에 아크릴릭, 108.5cm x 154.3cm • 〈제국의 발톱이 할퀴고 간 이 산하에〉, 1988, 천에 아크릴릭, 158cm x 484cm • 〈숨쉬며 살고 싶어요〉, 1988, 천에 아크릴릭, 236cm x 477cm • 〈여성노동자 만만세〉, 1989 : 제5회 3.8 여성대회를 위해 제작 • 〈단결투쟁도〉, 1989 : 사무직 여성 노동자 문화 대동제를 기념하며 제작 • 〈피코 노동조합 연작〉, 1989 등 더 보기 참고정보원 5.18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 특별 프로젝트: 메이투데이, http://maytoday.org/project/%EA%B7%B8%EB%A6%BC%ED%8C%A8-%EB%91%A5%EC%A7%80/, 2021.08.10. 김달진미술연구소, https://www.daljin.com/?WS=33&BC=cv&DNO=18198, 2021.08.10. 김윤수 교수 정년 기념기획 간행위원회 편, 『민족의 길, 예술의 길』(창작과비평사, 2001) 김인순 편, 『여성, 인간, 예술정신 : 두번째 개인전 화집』(과학과 사상, 1995) 박응주 외, 『민중미술, 역사를 듣는다 1』(현실문화연구, 2017) 오경미(2013), 「민중미술의 성별화된 민중 주체성 연구: 1980년대 후반의 걸개그림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논문 오진경(2000), 「1980년대 한국 ‘여성미술’에 대한 여성주의적 성찰」, 『현대미술사연구』 12집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미술 전시자료집 Ⅳ 1990-1999』, 2018 서울시립미술관, https://sema.seoul.go.kr/, 2021.08.26. 더 보기 관련 전거(인물·단체·사건) 7건더보기 정정엽 Jung Jungyeob / 鄭貞葉 《99 여성미술제-팥쥐들의 행진》 《Women's Art Festival 99: Patjis on Parade》 김인순 Kim Insoon / 金仁順 여성미술연구회 Women‘s Art Research Association / 女性美術硏究會 미얄 엉겅퀴 노동미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