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닫기 인물·단체·사건별 《제1회 여성작가 40인의 그림잔치-여성과 현실, 무엇을 보는가?》 이전 다음 목록으로 돌아가기 URL 복사 사건 전거정보 이름 《제1회 여성작가 40인의 그림잔치-여성과 현실, 무엇을 보는가?》 대등명 발생일(기간)1987.09.11~1987.09.17(종료) 비채택어- 사건개요 ○ 전시 소개 - 개요 • 《제1회 여성작가 40인의 그림잔치-여성과 현실, 무엇을 보는가?》는 민족미술연구회 여성미술분과의 창립전으로, 단체가 해체하게 되는 1994년까지 8회에 걸쳐 연례 기획전 형식으로 개최된 《여성과 현실전》의 첫 번째 전시임 • 미술대학을 졸업한 4,000여 명의 여성에게 전시회의 동참을 권하는 공문을 발송하여 작가를 모집함. 이러한 이유에서 전반적으로 통일된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았다는 평이 따르기도 함 • 서울 전시에 이어 여러 대학과 부산, 전주, 공부, 청주를 순회. 직접 대중을 찾아가는 현장 활동의 일환이라는 평가를 받음 - 참여작가 : 김인순, 김진숙, 윤석남(시월모임), 구선회, 신가영, 정정엽, 최경숙(그룹 터), 김선희, 김종례, 문샘 등 38인 - 주요 전시 작품 • 구선회, 김영미, 김인순, 김종례, 최경숙(둥지), 〈평등을 향하여〉, 1987, 천에 아크릴릭, 250cm x 400cm : 한국여성민우회 창립대회용으로 제작된 걸개그림. 서울특별시 경찰국이 전시 출품작인 해당 작품을 불법적으로 압수했다가 민족미술협의회 회원들의 항의로 반환했으며 포스터와 대자보 등도 압수되었음 • 구선회, 김인순, 김종례, 윤석남, 정정엽, 최경숙 등, 〈해방의 첫 새벽이 떠오를 때까지 하나되어 나아가세〉, 1987 : 최루탄거부투쟁과 민주화 투쟁의 의지를 묶기 위해 명동성당에서 열린 민주시민대동제(1987.07.08.-07.11)를 위해 제작되어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완성된 작품임 더 보기 참고정보원 김인순 편, 『여성, 인간, 예술정신 : 두번째 개인전 화집』(과학과 사상, 1995) 김종길(2017), 「[미술] 노동하고 창조하는 우주여자」, 『황해문화』 97호 김종길(2019), 「[민중미술연대기 1979~1994(30)] 시월모임-노동하고 창조하는 우주여자」, 『미술세계』 5월 김현주(2019), 「1980년대 소집단 활동을 통해 본 여성미술의 지형도」, 『시점時點·시점視點 – 1980년대 소집단 미술운동 아카이브』(경기도미술관, 2019) 박응주 외, 『민중미술, 역사를 듣는다 1』(현실문화연구, 2017) 오진경(2000), 「1980년대 한국 ‘여성미술’에 대한 여성주의적 성찰」, 『현대미술사연구』 12집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미술 전시자료집 Ⅲ 1980-1989』, 2017 더 보기 관련 전거(인물·단체·사건) 5건더보기 정정엽 Jung Jungyeob / 鄭貞葉 김인순 Kim Insoon / 金仁順 여성미술연구회 Women‘s Art Research Association / 女性美術硏究會 터 그룹 그림마당 민 Geurim Madang 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