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 아카이브의 영토들 이전 다음 목록으로 돌아가기 URL 복사 확인 닫기 아카이브의 영토들 <p style="text-align:right;"><span style="font-size:17px;"><strong>| </strong>아카이브의 영토들 </span></p><p style="text-align:right;"><span style="font-size:17px;">TERRITORIES OF THE ARCHIVE </span></p><p style="text-align:right;"><span style="font-size:17px;"><strong>| </strong>2022 세마피칭 기록집 </span></p><p style="text-align:right;"><span style="font-size:17px;">DOCUMENTATION OF 2022 SeMA PITCHING </span></p><p> </p><p><span style="font-size:19px;"><strong>목차</strong></span></p><p> </p><p><span style="font-size:17px;">4_인사말 </span></p><p><span style="font-size:17px;">6_서문 </span></p><p><span style="font-size:19px;"><strong>Ⅰ. 제도와 지도</strong></span></p><p><span style="font-size:17px;">28_유예동, 조은성: 게임의 법칙-미술아카이브 이니셔티브 </span></p><p><span style="font-size:17px;">45_넬 동커스: 아카이브에 활력을 불어넣기 </span></p><p><span style="font-size:17px;">61_바바라 비더만: 다이내믹 오더-지더베르크 파운데이션 소장품을 활용한 지식의 생산과 조직 </span></p><p><span style="font-size:19px;"><strong>Ⅱ. 나침반</strong></span></p><p><span style="font-size:17px;">82_윤원화: 아카이브 픽션-시간을 분기시키기 </span></p><p><span style="font-size:17px;">93_존 테인: 맥락, 대리자, 원본-문서란 무엇인가? </span></p><p><span style="font-size:17px;">106_이경래: 아카이브의 전회-'아카이브 아트'를 중심으로 </span></p><p><span style="font-size:17px;">114_조민지: 디지털 기억 시대의 아카이브 </span></p><p><span style="font-size:19px;"><strong>Ⅲ. 지층들</strong></span></p><p><span style="font-size:17px;">126_정다영: 건축의 아카이브, 아카이브의 건축 </span></p><p><span style="font-size:17px;">145_김해주: 분류 불가능한 상자들-출발점 아카이브 </span></p><p><span style="font-size:17px;">156_조수진: 가변적 예술을 어떻게 기록할까?-1960~70년대 한국 실험미술 아카이브의 문제들 </span></p><p><span style="font-size:19px;"><strong>Ⅳ. 움직임</strong></span></p><p><span style="font-size:17px;">176_현시원: 미술아카이브에서 글쓰기-미래에 오픈할 텍스트 </span></p><p><span style="font-size:17px;">194_이영남: 밤의 기록 증식자들-아카이브 낭독하기 </span></p><p><span style="font-size:17px;">206_길예경: 디지털 매개 환경과 도구들-새로운 연구 조사의 가능성</span></p> 이전게시물 최민 컬렉션 연구집 다음게시물 오픈 아카이브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