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닫기 [C] 김정헌 컬렉션 계층열기 [S] 작품-일반작업 관련자료 계층닫기 [F] 1970년대 현실과 발언 이전 계층닫기 [F] 1980-1986 현실과 발언 초기 계층닫기 [F] 1987-1988 2회 개인전(《김정헌 작품전》)까지 계층닫기 [F] 1989-1993 3회 개인전(《땅의 길, 흙의 길》)까지 계층닫기 [F] 1994-1995 《광주비엔날레》까지 계층닫기 [F] 1996-1997 4회 개인전(《김정헌 미술》)까지 계층닫기 [F] 1998-2004 6회 개인전(《백년의 기억》)까지 계층닫기 [F] 2005-2016 7회 개인전(《생각의 그림·그림의 생각》)까지 계층열기 [S] 작품-공공미술 관련 자료 계층닫기 [F] 공주 교도소 벽화 〈꿈과 기도〉 계층닫기 [F] 라미화장품 이천공장 로비벽화 〈동서고금 화장하는 미인도〉 계층닫기 [F] 천호역 미술장식 〈별·바람·토성〉 계층닫기 [F] 한국 야쿠르트 유업 본사 예술장식품 〈생명과 평화〉 계층닫기 [F] 한빛플라자 예술장식품 〈네모난 지구〉 계층닫기 [F] 부산 민주공원 상징조형물 〈민주의 횃불〉 계층닫기 [F] 코스트코 양재점 미술장식품 〈가족-숨바꼭질〉 계층닫기 [F] 무령왕 기념비 계층닫기 [F] 기타 계층열기 [S] 전시 관련자료 계층열기 [SS] 개인전 계층닫기 [F] 《김정헌 개인전》(1977) 계층닫기 [F] 《김정헌 작품전》(1988) 계층닫기 [F] 《땅의 길, 흙의 길》(1993) 계층닫기 [F] 《김정헌 미술전》(1997) 계층닫기 [F] 《외출전 - 김정헌》(1999) 계층닫기 [F] 《백 년의 기억》(2004) 계층닫기 [F] 《생각의 그림 그림의 생각 불편한, 불온한, 불후의, 불륜의, ... 그냥 명작전》(2016) 계층열기 [SS] 단체전 계층닫기 [F] 《신체제전》 계층닫기 [F] 《현실과 발언 동인전》 계층닫기 [F] 《평론가 11인 선정 81년 문제작가 작품전》, 《문제작가 81-84전》 계층닫기 [F] 《동북아와 제3세계미술전》 계층닫기 [F] 《실크로드 미술 기행전》 계층닫기 [F] 《코리아 통일 미술전》 계층닫기 [F] 동학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새야 새야 파랑새야》 계층닫기 [F] 《민중미술 15년전》 계층닫기 [F] 《광주 비엔날레 경계를 넘어》 계층닫기 [F] 《광복 60주년 기념 평화와 통일 염원전 베를린에서 DMZ까지》 계층닫기 [F] 《유신40년 공동 주제기획 6부작 유체이탈 維體離脫, 1부 국가의 소리》 계층닫기 [F] 기타 계층열기 [S] 활동 관련자료 계층열기 [SS] 미술활동 계층닫기 [F] 현실과 발언 계층닫기 [F] 민족미술협의회 계층닫기 [F] JAALA 계층닫기 [F] 동학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계층닫기 [F] 민중미술 15년전 계층닫기 [F] 오윤 기념사업회 계층닫기 [F] 미술공간 지원 계층닫기 [F] 공공미술정책·제도 계층닫기 [F] 기타 계층열기 [SS] 미술교육활동 계층닫기 [F] 공주대학교 계층닫기 [F] 문화연대 문화교육위원회 계층닫기 [F] 미술교육정책 계층열기 [SS] 사회문화활동 계층닫기 [F] 문화연대 계층닫기 [F]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계층닫기 [F] 예술과 마을 네트워크 계층닫기 [F] 동학농민전쟁 우금티기념사업회 계층닫기 [F] 서울문화재단 계층닫기 [F] 문화사업·정책 계층닫기 [F] 기타 계층열기 [S] 개인자료 계층닫기 [SS] 노트, 메모 계층열기 [SS] 원고 계층닫기 [F] 연구 논문 및 저술 계층닫기 [F] 기고문 및 기타 원고 계층열기 [SS] 드로잉 계층닫기 [F] 작업 관련 계층닫기 [F] 여행 및 답사 관련 계층닫기 [F] 기타 계층열기 [SS] 스크랩 계층닫기 [F] 보도자료 계층닫기 [F] 평론 계층닫기 [F] 기타 계층닫기 [SS] 서신 계층열기 [SS] 여행 및 답사 계층닫기 [F] 작업 및 전시 관련 계층닫기 [F] 문화 활동 관련 계층닫기 [F] 일반 여행 및 답사 관련 계층닫기 [SS] 약력, 신상자료, 포트폴리오 계층닫기 [SS] 오브제 및 작업 참고 자료 계층열기 [SS] 사진 계층닫기 [F] 개인사 관련 계층닫기 [F] 전시 및 활동 관련 계층닫기 [SS] 기타 소장자료·도서별 동학100주년 작품사진 및 스크랩 이전 다음 목록으로 돌아가기 나의 자료 담기 URL 복사 화면인쇄 동학100주년 작품사진 및 스크랩 이전 다음 등록번호MA-03-00005432 전자여부비전자 수집처김정헌 생산일자 미상 형태사진 생산자 미상 분량107 원본여부원본 자료 내용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가 김정갑 선생님에게 발신한 김정갑 소장 동학농민혁명 관련 물품의 대여 요청 문서 1쪽이다. 1994년 2월 26일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가 조선일보사 사장에게 발신한 조선일보사 소장 슬라이드의 대여 요청 문서 2쪽이며 대여요청자료, 세부항목이 기재되어 있다. 1994년 2월 26일 문화체육부가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에게 발신한 행사후원 승인 문서 1쪽이다. 1994년 1월 28일 문화체육부가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에게 발신한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기념 전시 관련 자료 협조 문서 4쪽으로 관련기관 협조요청공문 사본이 첨부되어 있다. 1994년 2월 1일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가 발신한 경과 보고와 출품작 설명에 관한 요청 문서 2쪽이다. 역사문제연구소 동학농민전쟁백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에서 동학혁명 백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에 보낸 문서 4쪽으로 동학 농민군 후손 증언록 기획안이다. 1994년 3월 15일 한국문화예술진흥원에서 발신한 동학농민혁명 100주년 기념 조직위(김서봉)에게 발신한 동학백주년 관련사업 지원신청에 대한 회식 1쪽이다.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가 농협 중앙회 회장에게 발신한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관련 협조 요청 문서 1쪽이다. 1994년 2월 8일 동학혁명100주년기념사업회에서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 이영욱 기획간사에게 보낸 속달 편지봉투이다.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가 동학농민혁명 유족회에게 발신한 서신 1쪽으로 동학혁명때 사용한 것으로 전해지는 물품들을 전시에 출품할 생각이 있다면 연락을 달라는 내용이다. 동학농민혁명유족회 창립총회 준비위원회에서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에게 발신한 서신 1쪽으로 3가지 결정 사항에대한 정보가 있다. 1994년 2월 17일 동학농민군 유족회 발족에 즈음한 선언문으로 2쪽으로 구성되어있다. 1994년 3월 3일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가 예술의 전당 사장에게 발신한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 개막행사》 관련 협조 요청 문서 1쪽이다. 1994년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가 신청한 육교사용 허가신청서 1쪽으로 행사내용, 신청사항, 제작설치자에 대한 내용이다.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개요 관한 문서1쪽으로 목적과 취지, 전시개요, 전시 부대 행사, 조직위원회 구성, 참여작가에 대한 내용이 있다. 1994년 2월 19일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가 발신한 경과 보고, 전시 준비 진행에 따른 협조 요청 문서 1쪽과 복본1개이다.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가 만든 초청장 1쪽으로 행사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동학농민혁명백주년기념사업 준비현황 문서 5쪽으로 다른 단체와의 연대문제 경과 보고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1994년 3월 5일 MBC 문화방송이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에게 발신한 서신으로 행사후원 승인통보 문서 1쪽과 봉투가 스테이플러로 묶여있다. [확인불가]가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에게 보낸 작가 명단 가나다순 문서6쪽으로 강경구 외 96명의 작가이름, 작품명제, 크기, 특징이 기재되어 있다. 1994년 3월 23일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가 국립공주박물관에게 발신한 동학농민혁명 관련 공주박물관 소장 유물 인수증 1쪽이다.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안내에 관한 보도자료 2쪽으로 복본 1개있다. (첫페이지만 복본1개더있다) 出版契約書(출판계약서) 2쪽으로 도서명은 『새야새야 파랑새야』이며 갑은 동학100주년 준비위 김정헌이고 을은 (도)발언 김선문이다. 1994년 4월 25일 《동학 농민혁명 100주년 기념전시회》 조직위원회가 MBC미술센터 사장에게 발신한 동학농민군 의상 기증에 관한 협조요청 문서 1쪽이다. 더 보기 이미지(107) 전체 보기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소장자료 이미지는 저작권법 등 관계법령에 따라 복제뿐만 아니라 전송, 배포 등 어떠한 방식으로도 무단 이용할 수 없으며, 영리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원작자에게 별도의 동의를 받아야함을 알려드립니다.